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Acad Nurs > Ahead-of print articles > Article
Research Paper
산욕기 산모를 위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비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황은숙1orcid, 노주희2orcid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a quasi-experimental study
Eun Suk Hwang1orcid, Ju-Hee Nho2orcid

DOI: https://doi.org/10.4040/jkan.25076
Published online: November 7, 2025

1전북대학교 간호대학

2전북대학교 간호대학ㆍ간호과학연구소

1College of Nurs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College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Ju-Hee Nho College of Nurs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567 Baekje-daero, Deokjin-gu, Jeonju 54896, Korea E-mail: jhnho@jbnu.ac.kr
†이 논문은 제1저자 황은숙의 박사학위논문의 축약본이다(This manuscript is a condensed form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25).
• Received: May 30, 2025   • Revised: September 11, 2025   • Accepted: September 11, 2025

© 2025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 163 Views
  • 14 Download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mothers based on Cox’s 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
  •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was administered 6 times over 2 weeks to postpartum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n=21), while the control group (n=23) received standard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to July 15, 2024,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measuring postpartum fatigue, depression, marital intimacy, and mother-infant attachment.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ver. 23.0.
  •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ostpartum fatigue (Z=–2.00, p=.023), a significantly proportion of improvement in postpartum depression (χ2=10.32, p=.012),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mother-infant attachment (t=1.70, p=.04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intimacy between groups (Z=–0.46, p=.326).
  •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program including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lational suppor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health in postpartum mother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warranted that expands and applies integrated programs for postpartum mothers in various environments in postpartum care centers and communities.
1. 연구의 필요성
산욕기는 분만 후 약 6–8주 동안 산모의 신체가 임신 전 상태로 회복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산모는 신체적 손상 회복뿐만 아니라 심리적 변화, 환경 적응, 어머니 역할에 대한 적응이라는 복합적인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1,2]. 산후관리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산모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회복을 도모하고, 신생아의 건강을 함께 돌보는 통합적 간호활동을 의미한다[3].
산모가 출산 후 가장 흔히 경험하는 문제 중 하나는 산후피로로, 이는 극심한 에너지 고갈감과 신체ㆍ정신기능 저하로 나타나며 주관적으로 인식되는 피로의 정도와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4]. 급격한 호르몬 변화, 유즙 분비, 통증, 수면 부족 등으로 인해 피로는 더욱 악화되며, 특히 산후 초기의 피로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5,6]. 산후피로는 산후우울과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조기 중재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7].
산후우울은 약 50%–80%의 산모가 일시적인 산후우울감(postpartum blues)을 경험하는 것에서 시작되며, 이 중 일부는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으로 진행되기도 한다[8,9]. 산후우울증은 주로 출산 후 4주 전후에 발병하며, 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에 따라 주요 우울장애로 진단한다[10]. 절반 이상의 산모들이 산후우울감을 경험한바 있으며, 이 중 34.7%가 도움을 적절하게 받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1]. 이 결과를 통해 산후 정신건강 관리의 중재가 체계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모아애착(mother-infant attachment)은 임신 중 형성되어 출산 직후 강화되는 정서적 유대로, 어머니가 영아의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필요를 충족시키는 양육행동을 통해 발달한다[12,13]. 안정적인 모아애착은 아동의 정서, 인지,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인간발달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14]. 그러나 산후조리원에서는 산모와 신생아가 분리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아 상호작용 기회가 제한되며, 이로 인해 모아애착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중재가 필요하다[15,16]. 지금까지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이 시도되었으며, 모유수유 및 신생아 돌보기 자기효능감 향상, 산후운동, 모아애착 증진 등의 접근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왔다[17-20].
배우자와의 관계는 산모의 심리적 안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배우자는 산모에게 있어서 가장 가까운 지지자라고 할 수 있으며, 배우자와의 높은 부부친밀도는 산후우울과 불안을 완화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21]. 또한 배우자가 보내주는 정서적 지지와 공감은 산모의 심리적 적응을 도와주며, 부부가 함께 부모 역할에 적응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7]. 따라서 산욕기 초기부터 부부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을 통합한 접근은 건강위험 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본적인 중재로, 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22]. 그러나 영양교육에 대한 중재연구는 주로 임산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23],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단편적이거나 한두 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Cox [24]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interaction model of client health behavior)은 대상자와 전문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전문가가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확인하며 건강정보 제공 시 교육자, 상담자, 정보제공자로서의 중재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건강행위를 유도하는 배경적 이론이다. 국내에서는 과체중 및 비만 임부에게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임부의 적정체중 증가, 피로 및 임신스트레스 증가를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3]. 국외에서는 Wagner 등[25]이 Cox 모델을 기반으로 자가관리 기술과 영아 돌봄 기술을 산모의 요구에 맞추어 제공한 결과, 관리 만족도와 교육효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한 바 있다. 산욕기 산모는 신체적 회복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 부부 및 모아 관계의 재조정이 필요한 시기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기이다. 특히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은 단순한 건강정보 전달을 넘어서, 정서적 지지와 의사결정 참여, 관계적 상호작용을 통한 내적 동기화 과정을 중요시함으로, 산욕기 산모처럼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조절을 돕는 데 적용할 수 있는 적합한 모델이다. 그러나 기존에 진행된 연구는 주로 임부의 신체적 자기관리 또는 산모의 신체적 자가관리 측면과 신생아 관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23,25].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x 모델의 대상자와 전문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지지, 건강정보 제공, 의사결정 통제 및 전문가적/기술역량 제공을 구성요소로 하여, 신체적 건강(영양교육, 신체활동, 산후관리), 심리적 안정(스트레스 관리)뿐 아니라, 관계적 지지(모아관계 및 배우자 지지)를 포괄하는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산모의 건강에 직접적 효과를 미치는 산후피로, 산후우울 및 모아애착과 간접적 효과를 미치는 부부친밀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여 산욕기 산모의 건강증진과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산욕기 산모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고, 그 효과를 주효과 변수인 산후피로, 산후우울, 모아애착과 부효과 변수인 부부친밀도를 통해 평가하는 것이다.
3. 연구가설

1) 주효과 가설

가설 1.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피로가 더 감소될 것이다
가설 2.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 정도가 더 낮아질 것이다.
부가설 2-1)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 점수가 더 낮아질 것이다.
부가설 2-2)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군의 호전 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
가설 3.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모아애착이 더 향상될 것이다.

2) 부효과 가설

가설 4.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부부친밀도가 더 향상될 것이다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Cox [24]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을 기반으로 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ㆍ후 유사 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출산 후 6주까지의 산욕기 산모로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산모 중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서면 동의한 자를 편의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하였다. 자연분만 산모는 출산 후 3일째, 제왕절개 산모는 출산 후 5일째 입소한 자로, 산후조리원에 2주 이상 머무를 예정인 산모를 포함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 중재의 확산 및 오염 방지를 위해, 총 2개의 산후조리원을 선정하였다. 두 기관은 시설규모, 서비스 내용, 지역적 특성이 유사하도록 고려하였으며, 한 기관은 실험군, 다른 한 기관은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이후 각 조리원에 입소하는 산모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를 입소순서에 따라 대상자 연령, 분만방법(자연분만/제왕절개) 등을 고려한 층화 배정을 하여 군 간 주요 변수의 균형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기준은 (1) 재태기간이 37주 이상 42주 미만이고 정상 신생아를 분만한 여성, (2) 임신 중 합병증이 없는 경우, (3) 배우자가 있는 여성, (4) 신체활동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여성을 선정하였다. 제외기준은 (1) 산후우울과 관련이 있는 갑상선질환이나 우울증 병력이 있는 경우, (2) 정신과 질환을 진단받고 치료 중인 경우, (3)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 치료 중인 경우이다.
본 연구의 표본크기는 G*Power ver. 3.1.9.2 프로그램(Heinrich-Heine-Universität Düsseldorf)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26].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피로와 산후우울[27], 모아애착[28], 부부친밀도[29]를 주요 결과변수로 설정한 선행 중재연구들에서 효과크기(d)는 산후피로 0.92–1.84, 산후우울 3.21, 모아애착 1.20, 부부친밀도 0.87로 보고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크기(d) .80, 유의수준(α) .05, 검정력(1-β)은 .80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을 때, 최소 표본 수는 그룹당 21명으로 총 42명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탈락률 약 10%를 고려하여 실험군 대조군 각 23명씩 총 46명을 모집하였다. 1회기 프로그램 진행 중 개인적 사유로 연구참여를 중단한 실험군 2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3명이 참여하여 총 44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Figure 1).
3. 연구도구

1)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은 나이, 학력, 직업, 종교, 수입 정도, 임신횟수, 분만횟수, 분만형태, 자녀성별, 양육 도우미의 유무의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 산후피로

산후피로는 Yoshitake [30]가 개발하고 Pugh와 Milligan [31]이 수정ㆍ보완한 Fatigue Continuum Form을 Song [32]이 번역한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30문항으로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항상 그렇다’ 4점까지의 4점 Likert 척도로, 최저 30점에서 최고 1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피로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Pugh와 Milligan [31]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83, Song 등[32]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92이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2였다.

3) 산후우울

산후우울은 Cox 등[33]이 개발한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을 Kim [34] 이 번안한 EPDS-K를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0문항으로 된 4점 Likert 척도로, 최저 0점에서부터 최고 30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EPDS-K의 문항 중 3, 5, 6, 7, 8, 9, 10번은 역산 처리하였다. EPDS의 절단점(cut off score)은 10점 미만은 비우울군, 10–12점은 경도우울군, 13점 이상은 중증우울군을 의미한다[33,34]. 개발 당시 Cox 등[33]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89, Kim [34]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는 .84이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2였다.

4) 모아애착

모아애착은 Condon과 Corkindale [35]이 개발한 Maternal Postpartum Attachment Scale (MPAS)을 Kim과 Tak [36]이 번안한 MPAS-K를 사용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총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별로 2–5점으로 평가하는 Likert 척도로 되어있다. 2점 척도의 경우 1, 5점, 3점 척도는 1, 3, 5점, 4점 척도는 1, 2.3, 3.6, 5점으로 재코딩하여 모든 문항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과하여 측정하도록 권고되어[35,36], 본 연구에서도 해당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총 점수범위는 14–70점이며, 총점이 낮을수록 애착 혹은 유대 장애가 있고, 총점이 높을수록 산후 모아애착 발달이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Condon과 Corkindale [3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78, Kim과 Tak [3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0이며,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5였다.

5) 부부친밀도

부부친밀도는 Lee [37]가 개발한 15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인지, 정서, 성 영역 각 5문항으로 구성되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최저 15점에서부터 최고 7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부친밀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문항 중 2, 9, 14번은 역산 처리하였다. 도구의 개발 당시 Cronbach’s α는 .90이며[37],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2였다. 도구 사용 전 도구 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4. 연구 진행절차

1)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본 프로그램은 ADDI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개발되었다. 분석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함께 분만 경험이 있는 여성 10명과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제공 시 정보에 대한 요구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욕기 산모들은 체중관리, 규칙적인 운동, 식이조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산후피로, 우울감,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실제적인 건강관리에 어려움 겪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산후 신체활동, 영양관리와 정서적 지지 및 산욕기 간호로 신생아 측면과 산모 측면에서 관리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문헌고찰과 요구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회차별 주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틀을 구성하여 소요시간과 방법을 결정하였다. 전체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1회 40분, 개별교육 4회기와 집단교육 2회기로 구성하였다. 회기별 주제는 영양관리,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 산욕기관리로 설정하였으며, 각 주제에 내에는 산모의 간호요구를 반영하여 전체적으로 구조화한 프로그램 초안을 작성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산욕기 산모를 위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기반으로 선행연구와 산모와 전문가 요구도를 근거로 구성하였다[23-25]. 대상자 고유요소로는 인구학적 특성(나이, 출산력), 사회적 영향(교육수준, 직업), 건강관리 경험(임신 중 합병증), 환경적 자원(수입), 내적 동기화, 인지적 각성, 정서적 반응 등이 포함된다. 대상자-전문가 상호작용 요소는 정서적 지지, 건강정보 제공, 의사결정 통제와 전문가적/기술역량으로 구성된다. 정서적 지지에는 대상자의 의견 경청, 칭찬, 격려를 하는 내용이 포함되고, 건강정보 제공에는 영양,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 산욕기 간호(산모 측면, 신생아 측면), 배우자 참여지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의사결정 통제에는 전화, 문자, 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통해 대상자의 의사결정을 지지하였고, 전문가적/기술역량에는 전문가인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영양,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 및 산욕기 간호에 대한 상담을 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건강산출 요소는 산후피로, 산후우울, 부부친밀도, 모아애착으로 설정하였다(Supplementary Figure 1). 산욕기 산모와 임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의 중재기간은 2주에서 4주[38-40], 회기는 4회기에서 8회기[29,38]로 다양했다. 본 연구의 중재는 산후조리원에 입소해 있는 기간을 고려하여 1회 40분씩 2주간 개별교육 4회와 집단교육 2회로 총 6회기 전문가와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 형식 및 내용에 대해 근무경력 10년 이상이 된 산부인과 간호사 2인, 산후조리원 간호사 1인, 보건소 모자보건팀 간호사 1인, 간호학 교수 2인의 전문가 자문을 거쳐 확정하였다(Table 1).

2) 실험군과 대조군 배정 및 사전조사

본 연구는 2024년 6월 3일부터 2024년 7월 15일까지 전주시 소재 H 산후조리원과 S 산후조리원, 총 2개 기관의 관리자에게 연구 허락을 받은 후, 연구방법, 진행과정과 연구자 연락처 등이 포함된 연구 공고문을 게시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자로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연구참여에 동의한 산모는 연구자가 선정기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기관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사전조사는 양 군 모두 병원에서 퇴원하여 조리원에 입소한 당일에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연구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 산후피로, 산후우울, 모아애착, 부부친밀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고, 응답시간은 약 20분 정도 소요되었다.

3)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적용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는 실험군을 대상으로 2주간 총 6회기의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연구자와 산후요가 전문강사가 진행하였으며, 개별교육 4회와 집단교육 2회로 구성되었다. 교육주제는 영양, 신체활동, 스트레스 관리, 산욕기 및 신생아 관리였다. 중재기간 동안 연구자는 문자와 SNS를 활용하여 매일 아침 격려 메시지를 제공하고, 필요 시 전화상담을 실시하였다. 1회기 중재에서 산욕기 산모의 통합적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격려하였다.
영양교육은 1, 4회기 총 2회에 걸쳐 1회당 20분 동안 개별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내용은 산욕기 산모의 적절한 식이와 영양소 섭취의 필요성, 식단표와 식생활 지침, 모유수유 시 식사방법을 포함하였다. 주의사항으로는 알레르기 음식과 질기거나 딱딱한 음식 섭취 금지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특히 2주차 4회기에는 산모의 식습관 및 식사일기를 확인하여 영양 관련 피드백을 제공하여 개인에게 맞는 맞춤형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 후에도 산모의 궁금한 것을 질문받고, 적절한 영양분 섭취 및 올바른 식습관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고 상담을 통해 상호작용을 하였다.
신체활동은 산후요가 전문가가 산욕기 산모의 적정 신체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그리고 골반저근 운동과 산후운동 방법을 포함한 산후요가 교육을 산후조리원에 입소해 있는 기간을 고려하여 2주 동안 주 3회, 20분으로 총 6회기로 실시하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아직도 감염위험의 이유로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산후요가는 전문 강사가 주 1회 수요일 10시 5층 산후운동실에서 집단교육으로 진행하였고, 연구자는 주 2회 산후요가 전문가에게 자문 받은 내용과 영상을 통해 개별 진행하고, 산후운동으로 인한 불편함 및 신체적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담하였다. 또한 산욕기 산모가 혼자서도 시행할 수 있도록 회기에 진행한 산후요가를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대상자들과 공유 및 격려하였다.
스트레스 관리는 2, 5회기 총 2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교육내용으로 산후우울의 원인과 증상 및 대처방법, 배우자 지지 및 토피어리 화분 만들기 프로그램을 20분씩 실시하였다. 2회기에는 개별교육으로 산모의 산후우울을 파악하고 경험 및 느낌을 나누며, 출산 직후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산후우울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배우자와 함께 하루에 1번 이상 칭찬 및 격려 문자를 보내게 함으로써 배우자로 지지를 제공받고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5회기 교육은 목요일 오후 2시에 6층 세미나실에서 집단교육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토피어리 미니화분 만들기를 주제로 구성하였다. 본 활동은 산모의 우울감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1], 산욕기 산모들이 서로의 감정과 상태를 나누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후에도 문자 및 SNS를 활용하여 산모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감정 변화에 대해 지속적인 상담과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상호작용을 유지하였다.
산욕기 관리는 총 2회에 걸쳐 20분씩 개별교육을 진행하였다. 산모 관리 측면에서 3회기 교육은 산욕기 산모의 신체 변화 및 이상 반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유방, 회음부, 오로 관리 방법 등을 포함한 자가관리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산모의 신체적 변화에 따른 불편감을 듣거나 관찰을 통해 파악하고, 이에 대해 적절한 상담을 제공하였다. 문자와 SNS를 활용하여 산모의 신체 불편감과 통증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자가관리 할 수 있도록 상담과 동기부여를 지속하였다. 신생아 관리 측면에서 6회기 교육은 교육요구도가 높았던 신생아 목욕, 모유수유 방법, 제대관리 방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딸꾹질, 위식도 역류, 발열, 배변문제, 신생아 황달, 청색증, 이상행동 등 신생아의 일반적인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방법을 안내하였으며, 모아애착 증진에 초점을 두고 교육을 구성하였다. 모아애착 형성은 도입–사귐–상호조절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도입 단계에서는 손가락–손바닥–팔을 통해 아기를 만지고, 얼굴을 마주하며 눈을 맞추고 말하는 자세 및 감각적 접촉(시각, 촉각, 청각)을 통해 상호작용을 시작하였다. 사귐 단계에서는 아기의 외모나 행동에서 닮은 점을 인식하고 이를 자신과 연결시키며, 아기의 행동을 주변 사람과 연결하여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고유한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 상호조절 단계에서는 모유수유, 목욕, 기저귀 갈이 등을 통해 아기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정서적 돌봄을 실천하고, 아기를 독립된 존재로 인식하고 수용한다. 이 과정은 아기와의 상호유희를 격려하고, 고유성에 대한 존중을 통해 모아애착을 증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신생아 건강관리와 관련된 문의사항이나 어려움에 대해서는 문자 및 SNS를 통해 상담과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연구의 특성상 대상자와 연구자 모두에게 눈가림을 적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제공 시 개입의 객관성과 중재효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고자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한 방식과 언어로 교육 및 피드백을 제공하는 표준화된 절차를 준수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4) 대조군 관리

대조군은 산후조리원에서 제공되는 일반적인 산욕기 간호인 신생아 목욕, 모유수유, 신생아 응급처치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받았다.

5) 실험군과 대조군 사후조사

실험군은 프로그램 종료된 후 마지막 회차 효과를 고려하여 중재 종료 2일 후에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사전조사를 시행한 날로부터 2주 후에 진행하였다.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IRB no., JBNU 2024-04-033-001)을 받고 진행하였으며,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 No. KCT0009901)에 등록되었다. 대상자 모집 시 본 연구에 대한 목적, 내용, 사생활보장, 중도포기 가능성 및 연구자료분석 시 익명성에 대해 설명한 후 자발적인 서면 동의를 받았다. 연구참여 도중 언제든지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알려주었고, 연구과정 동안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와 익명 처리하였고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함을 제시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설문지 회수 후 중재를 원하는 대상자에게 실험군에게 제공된 프로그램의 내용을 축약하여 1회의 중재로 제공하였다.
6. 자료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IBM SPSS WIN ver. 23.0 프로그램(IBM Cor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χ2 test, independent t-test를 통해 사전 동질성 검증을 하였다. 자료의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test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은 서술적 통계를 하였다. 종속변수 측정도구들은 신뢰도 검정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각각 산출하였고, 종속변수의 등분산 가정은 Levene의 등분산 검정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전-사후 조사 차이 값에 대해 정규성과 사전 동질성을 모두 만족한 변수(모아애착)는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고, 정규성 분포를 하지 않은 변수(산후피로, 부부친밀도)에 대해서는 Mann-Whitney U test를, 정규성과 사전 동질성을 모두 만족하지 않은 변수(산후우울)에 대해서는 공변량 처리하여 ranked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시행하였다. 집단별 차이에 따른 변수(산후우울 점수의 절단점에 따른 분류)는 기대빈도가 5 미만인 셀이 전체 셀의 20%를 초과하여 Fisher’s exact 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05 이하로 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산과적 특성과 사전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정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간 평균연령은 32.4±2.08세, 31.9±2.60세였다. 총 임신 횟수에서 첫 임신인 산모는 실험군 16명(76.2%), 대조군 15명(65.2%)이었으며, 분만형태는 제왕절개가 실험군 11명(52.4%), 대조군 15명(65.2%)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은 일반적 및 산과적 특성에서 동질하였다. 사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결과, 산후피로, 부부친밀도, 모아애착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하였다. 그러나 산후우울 점수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공변량 처리하였다. 한편, 산후우울의 절단점 기준(10점 미만, 10–12점, 13점 이상)에 따른 군 간 분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하였다(Table 2).
2. 가설검정

1) 가설 1

산후피로 점수의 중재 전후 차이 값에 대해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중위수와 사분위 범위(interquartile range, IQR)는 –5.00점(IQR, 7.00), 대조군은 –1.00점(IQR, 17.00)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어(Z=–2.00 p=.023), 가설 1은 지지되었다(Table 3).

2) 가설 2

(1) 부가설 2-1

산후우울 점수의 중재 전후 차이 값에 대해 ranked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 –2.43±4.49점, 대조군 –0.17±2.81점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F=0.79, p=.380), 부가설 2-1은 기각되었다(Table 3).

(2) 부가설 2-2

중재 전후 산후우울 점수의 절단점에 따라 세 군(비우울, 경도우울, 중증우울)으로 분류하였을 때, 호전된 산모는 실험군 9명(42.9%), 대조군 2명(8.7%)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비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Fisher exact test, p=.012), 부가설 2-2는 지지되었다(Table 4).

3) 가설 3

모아애착 점수의 중재 전후 차이 값에 대해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 3.31±4.99점, 대조군 0.62±5.4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1.70, p=.048), 가설 3은 지지되었다(Table 3).

4) 가설 4

부부친밀도 점수의 중재 전후 차이 값에 대해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중위수와 사분위 범위는 0.00점(IQR, 4.50), 대조군은 1.00점(IQR, 5.00)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Z=–0.46, p=.326), 가설 4는 기각되었다(Table 3).
본 연구는 Cox [24]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 모델을 기틀로 산욕기 산모를 위한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결과, 실험군의 산후피로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산후우울 호전 비율과 모아애착 수준이 증가하여 산모의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중재는 제한적이었으나,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산모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중재 중의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산후피로의 점수는 프로그램 중재 전 중위수와 사분위 범위는 62.00점(12.50)에서 중재 후 56.00점(12.00)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신체적 회복을 촉진하였으며, 피로 유발의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중재한 결과로 해석된다. 산후피로는 단순한 육체적 피로로 생각하지 않고 수면의 질과 정서적 스트레스, 영양상태, 육아부담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4,42]. 그렇다면 신체활동과 영양관리 그리고 정서적 지지 등이 포함된 통합적 중재가 효과적인 관리전략이 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신체활동 측면에서 살펴보면, 산후요가는 순환 개선과 산욕기 시기의 근골격계 통증을 완화하고 이완, 촉진을 통해 산모의 신체 회복을 도왔으며, 이 결과는 임산부 요가가 산후 불편감과 통증을 완화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43]. 최근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도 요가와 유산소 운동이 산모의 피로, 우울, 불안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고 보고하여[44],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영양관리 측면에서, 출산 이후 에너지 대사 및 면역력 유지를 위해 단백질, 유제품, 철분, 과일, 채소 등의 균형 잡힌 섭취를 하도록 교육하였으며, 이는 출산 후 여성의 영양결핍 상태가 피로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45]. 정서적 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SNS와 문자메시지를 활용한 상담을 통해서 산모의 고립감 및 불안감을 완화하고 자가관리 동기를 강화하도록 하였다. 이는 산욕기 산모들이 육아부담과 사회적인 고립으로 인한 피로를 겪는다는 측면에서 살펴본 의미 있는 접근으로, Hahn-Holbrook 등[46]이 보고한 바와 같이 정서적 지지가 산후 스트레스 호르몬을 조절하고 나아가 피로 감소에도 기여한다는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산욕기 산모의 신체적 회복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건강행위 강화를 유도하여서 산후피로를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였다. 단편적 개입에 그친 것이 아닌, 산모가 실제로 경험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본 프로그램이 향후 산욕기의 건강문제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산후우울 점수는 중재 전 평균 9.95점에서 중재 후 7.52점으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산후우울 점수의 절단점을 기준으로 비우울, 경도우울, 중증우울 세 군으로 분류했을 때, 산후우울 상태가 호전된 산모의 수는 실험군이 9명, 대조군이 2명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산후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산후우울은 출산 이후 급격한 호르몬 변화, 수면 부족, 양육 부담, 사회적 고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정서적 건강문제로 알려져 있다[5-7]. 산모의 절반 이상이 산후우울감을 경험하였고, 이 중 34.7%가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11], Gao 등[47]은 초산모에게 대인관계 중심의 심리치료를 적용하여 산후우울 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지지체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집단교육, 개별상담, 토피어리 만들기 등의 다양한 중재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산후조리원에서 다른 산모들과의 신체적ㆍ심리적 상태 및 양육에 관한 정보 공유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경험하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연구자는 불안을 호소하는 산모들과의 개별면담을 통해 호르몬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제공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은 산후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산후우울 점수는 사전 검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자연분만 산모는 출산 후 3일째, 제왕절개 산모는 출산 후 5일째에 조리원에 입소하여 사전설문을 실시한 시점의 차이에 따른 영향일 가능성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시점과 분만형태를 사전에 통제하거나 분만형태에 따른 하위분석을 포함하여 산후우울에 대한 정확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에서 모아애착 점수는 중재 전 평균 53.78점에서 중재 후 57.0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산모와 신생아 간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다양한 중재요소들이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에 대한 양육기술을 산모의 실제상황에 맞추어 실질적으로 교육하고,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방법을 산모들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신생아 양육기술의 향상이 모아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29]. 특히 본 프로그램은 모아애착 형성을 도입–사귐–상호조절의 3단계로 구조화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은 피부 접촉이 모아애착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한 연구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48]. Keskin과 Yagmur [49]는 배우자의 육아에 대한 참여가 산모의 모아애착 수준을 유의하게 향상시킨다고 보고한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배우자 지지를 유도하는 중재전략을 포함하였고, 이는 모아애착 형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산욕기 초기 산모의 모아애착 형성에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의 부부친밀도 점수는 중재 전 중위수와 사분위 범위는 59.00점(10.50)에서 중재 후 59.00점(12.00)으로 변화가 거의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욕기라는 시기적 특성과 외부환경 요인이 원인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중재가 진행되었던 기간이 코로나19 이후 산후조리원 내 감염예방조치로 가족의 출입이 제한되고 배우자는 면회만 허용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남편과의 물리적 접촉이나 상호작용 기회가 감소함으로 부부친밀도를 형성하기 어려운 환경적 상황이, 부부친밀도를 높이는 데 방해가 된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연구참여자는 출산 후 2–3주에 해당하는 산욕기 초기 산모로, 신체 회복과 심리적 안정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도 산모들이 육아 적응과 신체 회복에 집중하는 시기였던 점이 친밀도 향상에 한계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남편이 함께 참여하는 산후관리 프로그램에서 부부친밀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남편의 지지가 산모의 정서 안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7,29],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와 하루에 1번 이상 칭찬과 격려메시지 교환으로 정서적 지지 및 교류를 유도하였으나, 산욕기라는 시기적 특성과 코로나19 이후 산후조리원의 환경적 상황이 방해요소로 작용했다고 생각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부부친밀도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부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비대면 소통 강화 등의 구성요소로 온ㆍ오프라인 혼합형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연구대상자를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산모를 대상으로 소규모로 편의표집 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전체 산욕기 산모에게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둘째, 총 2주간 중재프로그램 종료 후에 그 효과를 측정하여, 이후 그 효과가 지속될 것인지에 대한 장기간의 효과를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산후우울은 일반적으로 출산 직후 수일 이내 시작되어 1–2주 내에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므로[33], 단일 시점에서 평가만으로는 중재의 효과를 충분히 설명하기에 부족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1주 간격의 반복 측정 또는 4주, 8주 등의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통한 종단적 연구를 진행하여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험군과 대조군은 서로 다른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산모들로 구성되었으며, 두 기관은 시설규모, 서비스 내용, 지역적 특성이 유사하도록 선정되었으나, 산후조리원 간 환경 차이가 중재효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대조군의 산후조리원에서는 일반적인 산욕기 간호인 신생아 목욕, 모유수유, 신생아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만 제공되었고, 본 연구에서 제공된 신체적 건강, 심리적 안정, 관계적 지지에 관한 중재는 시행되지 않았으나, 비공식적인 상호작용이나 간호사의 개인적 지지가 일부 존재했을 가능성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설계하고, 동일 기관 내에서 대상자를 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산후피로와 산후우울 감소, 모아애착 및 부부친밀도 증진을 목적으로 Cox의 대상자 건강행위 상호작용모델에 기반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적용한 결과, 산후피로는 감소하였고, 산후우울군이 호전되었으며, 모아애착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적 건강, 심리적 안정, 관계적 지지를 포함한 통합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산욕기 산모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산모를 대상으로 소규모로 실시되었고, 분만형태에 따른 조사시점의 차이 및 기관 간 환경 차이 등 제한점이 있어 연구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프로그램은 산후조리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로, 특히 산후관리 사각지대에 놓이기 쉬운 결혼이주여성 또는 취약계층 산모를 위한 보건소 및 건강가정지원센터 등의 지역기관을 통한 적용 가능성이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대면교육과 온라인교육을 혼합한 방식으로 모바일 기반 온라인 교육자료 및 상담과 다국어 자료 배포 등으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비대면 전략으로 병행함으로써 참여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의 산후조리원과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적ㆍ사회적 배경을 가진 산모를 포함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확대, 적용한 추가 연구를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Ju-Hee Nho has been the Editor o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since 2022 but had no role in the review process. Except for tha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cknowledgements

None.

Funding

This research received no external funding.

Data Sharing Statement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Supplementary Data

Supplementary data to this article can be found online at https://doi.org/10.4040/jkan.25076.

Supplementary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jkan-25076-Supplementary-Figure-1.pdf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and/or Methodology: ESH, JHN. Data curation and/or Analysis: ESH. Funding acquisition: none. Investigation: ESH, JHN. Project administration and/or Supervision: JHN. Resources and/or Software: ESH, JHN. Validation: ESH, JHN. Visualization: ESH, JHN. Writing: original draft and/or Review & Editing: ESH, JHN. Final approval of the manuscript: all authors.

Fig. 1.
Flow chart of the participants’ enrollment.
jkan-25076f1.jpg
Table 1.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contents of each session
Session Client-Professional Interaction Activities Time (min)
1 Affective support Researcher introduction, rapport building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Education and demonstration of physical activity methods
Nutritional management
 - Education on the need for proper diet and nutrient intake
 - Provides diet plan and necessary nutrient intake information
 - Training on how to write a food diary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regarding nutritional intake and inquiries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provide feedback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2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riences and feelings abou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group education/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group)
 - Postnatal yoga and pelvic floor exercises with experts
Stress management
 -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 Send a supportive and encouraging text message to your spouse at least once a day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to check stress and depression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Identify and provide feedback on stress and depressive feelings
3 Affective support Sharing your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and providing empathy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partum yoga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Postpartum care (maternal aspect)
 - Education on physical changes in postpartum mothers and postpartum abnormalities
 - Education on how to care for the breasts, perineum, and lochia of postpartum mothers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regarding discomfort due to physical changes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consult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provide feedback on discomfort due to physical changes
4 Affective support Sharing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to provide empathy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partum yoga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Nutritional management
 - Check the eating habits and meal diary of postpartum mothers
 - Check the intake and provide education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on nutritional intake and inquiries by phone or text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provide feedback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5 Affective support Share your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and providing empathetic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group education/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natal yoga and pelvic floor exercises
Stress management (group)
 - Send a text message of praise and encouragement to your spouse at least once a day
 - Participate in making a topiary mini pot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on nutritional intake and inquiries by phone or text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Identify and provide feedback on stress and depressive feelings
6 Affective support Share your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and providing empathetic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natal yoga and pelvic floor exercise
Postpartum care (newborn aspect)
 - Education on how to deal with newborn health problems (including bathing and umbilical cord care)
 - Education to promote mother-infant attachment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on how to manage the health of your newborn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consult on newborn health management methods
Table 2.
Homogeneity of baseline characteristics (N=44)
Characteristic Exp. (n=21) Cont. (n=23) χ2 or t or Z p
Age range (yr) 1.15 .587a)
 ≤30 7 (33.3) 7 (30.4)
 31–34 8 (38.1) 12 (52.2)
 ≥35 6 (28.6) 4 (17.4)
Mean age (yr) 32.4±2.08 31.9±2.60 –0.63 .533
Educational level 0.24 .622
 ≤College graduate 5 (23.8) 7 (30.4)
 ≥University graduate 16 (76.2) 16 (69.6)
Religion 0.16 .761
 Yes 7 (33.3) 9 (39.1)
 No 14 (66.7) 14 (60.9)
Occupation 0.05 >.999
 Yes 13 (61.9) 15 (65.2)
 No 8 (38.1) 8 (34.8)
Family income (10,000 won/mo) 2.17 .394a)
 <300 7 (33.3) 5 (21.7)
 300–<500 12 (57.1) 12 (52.2)
 ≥500 2 (9.5) 6 (26.1)
No. of pregnancy 0.64 .426
 First 16 (76.2) 15 (65.2)
 ≥Second 5 (23.8)b) 8 (34.7)b)
No. of delivery 0.76 .384
 First 17 (81.0) 16 (69.6)
 ≥Second 4 (19.0) 7 (30.4)
Type of birth 0.74 .541
 Virginal birth 10 (47.6) 8 (34.8)
 Cesarean section 11 (52.4) 15 (65.2)
Sex of newborn 0.13 .767
 Boy 13 (61.9) 13 (56.5)
 Girl 8 (38.1) 10 (43.5)
Planning childcare assistance 0.78 .545
 Yes 10 (47.6) 14 (60.9)
 No 11 (52.4) 9 (39.1)
Postpartum fatigue: 30–120 62.00±12.74 54.52±11.91 –2.01 .051
Postpartum depression: 0–30 9.95±4.87 7.13±4.81 150 .031c)
Postpartum depression 4.03 .156a)
 Normal: <10 11 (52.4) 17 (73.9)
 Mild depression: 10–12 3 (14.3) 4 (17.4)
 Severe depression: ≥13 7 (33.3) 2 (8.7)
Marital intimacy: 15–75 59.81±6.87 62.65±5.87 1.48 .147
Mother-infant attachment: 14–70 53.73±9.65 57.82±6.27 170.5 .095c)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standard deviation.

Cont., control group; Exp., Experimental group; No., number.

a)By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b)Each group included one mother with a history of one spontaneous abortion. c)By Mann-Whitney U test.

Table 3.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intervention (N=44)
Variable Pre Post Difference t or F or Z p
Median (IQR) Mean±SD Median (IQR) Mean±SD Median (IQR) Mean±SD
Postpartum fatigue –2.00 .023a)
 Exp. 62.00 (12.50) 62.00±12.74 56.00 (12.00) 55.38±9.01 –5.00 (7.00) –6.62±11.03
 Cont. 51.00 (17.00) 54.52±11.91 50.00 (17.00) 53.48±12.34 –1.00 (17.00) –1.04±11.81
Postpartum depression 0.79 .380b)
 Exp. 9.00 (6.50) 9.95±4.87 7.00 (5.00) 7.52±3.49 –2.00 (5.50) –2.43±4.49
 Cont. 6.00 (6.00) 7.13±4.80 6.00 (5.00) 6.96±3.84 0.00 (2.00) –0.17±2.81
Marital intimacy –0.46 .326a)
 Exp. 59.00 (10.50) 59.81±6.87 59.00 (12.00) 59.71±7.42 0.00 (4.50) –0.10±3.32
 Cont. 51.00 (17.00) 62.65±5.87 62.00 (9.00) 61.65±6.25 1.00 (5.00) –1.00±3.63
Mother-infant attachment 1.70 .048c)
 Exp. 53.73±9.65 57.04±6.72 3.31±4.99
 Cont. 57.82±6.27 58.44±5.38 0.62±5.49

Cont., control group (n=23); Exp., experimental group (n=21); IQR, interquartile range; SD, standard deviation.

a)By Mann-Whitney U test. b)By ranked analysis of covariance. c)By independent t-test.

Table 4.
Comparison of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status between groups (N=44)
Variable Difference p
–2 –1 0 1 2
Postpartum depression .012a)
 Exp. 4 (19.0) 5 (23.8) 9 (42.9) 2 (9.5) 1 (4.8)
 Cont. 0 (0.0) 2 (8.7) 20 (87.0) 1 (4.3) 0 (0.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2: from severe depression to normal; –1: from severe depression to mild depression or from mild depression to normal; 0: no change; 1: from normal to mild depression or from mild depression to severe depression; 2: from normal to severe depression.

Cont., control group (n=23); Exp., experimental group (n=21).

a)By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a quasi-experimental study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We recommend
      Related articles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a quasi-experimental study
      Image
      Fig. 1. Flow chart of the participants’ enrollment.
      Effects of an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a quasi-experimental study
      Session Client-Professional Interaction Activities Time (min)
      1 Affective support Researcher introduction, rapport building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Education on the neces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Education and demonstration of physical activity methods
      Nutritional management
       - Education on the need for proper diet and nutrient intake
       - Provides diet plan and necessary nutrient intake information
       - Training on how to write a food diary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regarding nutritional intake and inquiries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provide feedback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2 Affective support Sharing experiences and feelings about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group education/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group)
       - Postnatal yoga and pelvic floor exercises with experts
      Stress management
       - Causes, symptoms, and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 Send a supportive and encouraging text message to your spouse at least once a day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to check stress and depression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Identify and provide feedback on stress and depressive feelings
      3 Affective support Sharing your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and providing empathy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partum yoga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Postpartum care (maternal aspect)
       - Education on physical changes in postpartum mothers and postpartum abnormalities
       - Education on how to care for the breasts, perineum, and lochia of postpartum mothers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regarding discomfort due to physical changes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consult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provide feedback on discomfort due to physical changes
      4 Affective support Sharing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to provide empathy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partum yoga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Nutritional management
       - Check the eating habits and meal diary of postpartum mothers
       - Check the intake and provide education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on nutritional intake and inquiries by phone or text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provide feedback on nutritional intake status
      5 Affective support Share your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and providing empathetic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group education/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natal yoga and pelvic floor exercises
      Stress management (group)
       - Send a text message of praise and encouragement to your spouse at least once a day
       - Participate in making a topiary mini pot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on nutritional intake and inquiries by phone or text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Identify and provide feedback on stress and depressive feelings
      6 Affective support Share your physical condition and feelings and providing empathetic 40
       - Listening, affective support, encouragement, praise
      Health information (individual education) Physical activity
       - Postnatal yoga and pelvic floor exercise
      Postpartum care (newborn aspect)
       - Education on how to deal with newborn health problems (including bathing and umbilical cord care)
       - Education to promote mother-infant attachment
      Decision control Consulta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discomfort by phone or text
      Consultation by phone or text on how to manage the health of your newborn
      Professional/technical competencies Check and feedback on physical discomfort
      Check and consult on newborn health management methods
      Characteristic Exp. (n=21) Cont. (n=23) χ2 or t or Z p
      Age range (yr) 1.15 .587a)
       ≤30 7 (33.3) 7 (30.4)
       31–34 8 (38.1) 12 (52.2)
       ≥35 6 (28.6) 4 (17.4)
      Mean age (yr) 32.4±2.08 31.9±2.60 –0.63 .533
      Educational level 0.24 .622
       ≤College graduate 5 (23.8) 7 (30.4)
       ≥University graduate 16 (76.2) 16 (69.6)
      Religion 0.16 .761
       Yes 7 (33.3) 9 (39.1)
       No 14 (66.7) 14 (60.9)
      Occupation 0.05 >.999
       Yes 13 (61.9) 15 (65.2)
       No 8 (38.1) 8 (34.8)
      Family income (10,000 won/mo) 2.17 .394a)
       <300 7 (33.3) 5 (21.7)
       300–<500 12 (57.1) 12 (52.2)
       ≥500 2 (9.5) 6 (26.1)
      No. of pregnancy 0.64 .426
       First 16 (76.2) 15 (65.2)
       ≥Second 5 (23.8)b) 8 (34.7)b)
      No. of delivery 0.76 .384
       First 17 (81.0) 16 (69.6)
       ≥Second 4 (19.0) 7 (30.4)
      Type of birth 0.74 .541
       Virginal birth 10 (47.6) 8 (34.8)
       Cesarean section 11 (52.4) 15 (65.2)
      Sex of newborn 0.13 .767
       Boy 13 (61.9) 13 (56.5)
       Girl 8 (38.1) 10 (43.5)
      Planning childcare assistance 0.78 .545
       Yes 10 (47.6) 14 (60.9)
       No 11 (52.4) 9 (39.1)
      Postpartum fatigue: 30–120 62.00±12.74 54.52±11.91 –2.01 .051
      Postpartum depression: 0–30 9.95±4.87 7.13±4.81 150 .031c)
      Postpartum depression 4.03 .156a)
       Normal: <10 11 (52.4) 17 (73.9)
       Mild depression: 10–12 3 (14.3) 4 (17.4)
       Severe depression: ≥13 7 (33.3) 2 (8.7)
      Marital intimacy: 15–75 59.81±6.87 62.65±5.87 1.48 .147
      Mother-infant attachment: 14–70 53.73±9.65 57.82±6.27 170.5 .095c)
      Variable Pre Post Difference t or F or Z p
      Median (IQR) Mean±SD Median (IQR) Mean±SD Median (IQR) Mean±SD
      Postpartum fatigue –2.00 .023a)
       Exp. 62.00 (12.50) 62.00±12.74 56.00 (12.00) 55.38±9.01 –5.00 (7.00) –6.62±11.03
       Cont. 51.00 (17.00) 54.52±11.91 50.00 (17.00) 53.48±12.34 –1.00 (17.00) –1.04±11.81
      Postpartum depression 0.79 .380b)
       Exp. 9.00 (6.50) 9.95±4.87 7.00 (5.00) 7.52±3.49 –2.00 (5.50) –2.43±4.49
       Cont. 6.00 (6.00) 7.13±4.80 6.00 (5.00) 6.96±3.84 0.00 (2.00) –0.17±2.81
      Marital intimacy –0.46 .326a)
       Exp. 59.00 (10.50) 59.81±6.87 59.00 (12.00) 59.71±7.42 0.00 (4.50) –0.10±3.32
       Cont. 51.00 (17.00) 62.65±5.87 62.00 (9.00) 61.65±6.25 1.00 (5.00) –1.00±3.63
      Mother-infant attachment 1.70 .048c)
       Exp. 53.73±9.65 57.04±6.72 3.31±4.99
       Cont. 57.82±6.27 58.44±5.38 0.62±5.49
      Variable Difference p
      –2 –1 0 1 2
      Postpartum depression .012a)
       Exp. 4 (19.0) 5 (23.8) 9 (42.9) 2 (9.5) 1 (4.8)
       Cont. 0 (0.0) 2 (8.7) 20 (87.0) 1 (4.3) 0 (0.0)
      Table 1.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contents of each session

      Table 2. Homogeneity of baseline characteristics (N=44)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standard deviation.

      Cont., control group; Exp., Experimental group; No., number.

      a)By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b)Each group included one mother with a history of one spontaneous abortion. c)By Mann-Whitney U test.

      Table 3.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healthcare program intervention (N=44)

      Cont., control group (n=23); Exp., experimental group (n=21); IQR, interquartile range; SD, standard deviation.

      a)By Mann-Whitney U test. b)By ranked analysis of covariance. c)By independent t-test.

      Table 4. Comparison of changes in postpartum depression status between groups (N=44)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2: from severe depression to normal; –1: from severe depression to mild depression or from mild depression to normal; 0: no change; 1: from normal to mild depression or from mild depression to severe depression; 2: from normal to severe depression.

      Cont., control group (n=23); Exp., experimental group (n=21).

      a)By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