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Acad Nurs > Volume 54(4); 2024 > Article
Research Paper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분만 결과와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정미연1orcid, 정향미2orcid
Effect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on Birth Outcomes and Satisfaction during Labor: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Mi-Yeon Jeong1orcid, Hyang Mi Jung2orci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24;54(4):607-619.
DOI: https://doi.org/10.4040/jkan.24097
Published online: November 20, 2024

1제일병원 간호부

2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동의간호과학연구소

1Department of Nursing, Jeil Hospital, Miryang, Korea

2Department of Nursing · Research Institute of Dong-eui Nursing Science, Dong-eui University, Busan, Korea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Jung, Hyang Mi Department of Nursing, Dong-eui University, 176 Eomgwang-ro, Busanjin-gu, Busan, Korea Tel: +82-51-890-1559 Fax: +82-505-182-6876 E-mail: hmjung@deu.ac.kr
• Received: August 12, 2024   • Revised: October 7, 2024   • Accepted: October 28, 2024

© 2024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 53 Views
  • 9 Download
prev next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applied during labor on birth outcomes and satisfaction among pregnant women.
  • Methods
    Th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ost-test only design study included 42 participants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the control group). The Spinning Babies program was conducted four times in the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delivery for 50 min per session. The program comprised performing pelvic circles on a birth ball, followed by wide squatting and adopting of open knee-chest and side-lying positions.
  • Result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pregn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ly shorter labor time (t = - 6.64, p < .001), a higher success rate for normal vaginal delivery (χ2 = 4.86, p = .043), improved Apgar scores of newborns (z2 = - 2.18, p = .029), differences in neonatal oxygen therapy use (χ2 = 4.86, p = .043), and improved birth satisfaction (t = 11.99, p < .001).
  • Conclusion
    The Spinning Babies program improves the birth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normal vaginal delivery success rate, as well as pregnant women’s birth satisfaction, and promotes neonatal health.
1. 연구의 필요성
한국은 사회경제적 발전과 함께 의료접근성이 향상되고 출산 문화의 변화 속에서 출생아 1,000명당 연간 제왕절개 건수는 2016년 419.0건에서 2020년 537.7건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가입국가 중에서 두 번째로 많고[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의 제왕절개 분만율 권고기준인 10.0%~15.0% [2]를 훨씬 상회한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의학적 적응증 없이 임산부의 요청으로 시행되는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 on maternal request)의 빈도가 증가 추세이고[3], 분만 전뿐만 아니라 분만 진행 과정에서도 증가하고 있다[4].
임산부의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의 증가의 요인으로 분만 전에는 임산부의 긴 분만 소요시간에 대한 부담감, 내진에 대한 두려움, 고령 임신, 의료진의 도움 부족, 불안감 등이 제기되고 있다[5,6]. 분만 진행과정에서는 규칙적인 진통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태아 만출기까지 임산부의 스트레스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5]. 이 시기에는 태아 심음 모니터 부착과 누워있는 자세 등으로 인해 분만 소요시간이 길어지거나 태아 심박수 감소가 초래될 수 있다[7-9]. 병원환경에서는 지속적 경막외 마취 시스템 사용으로 임산부의 움직임이 제한되어[10,11], 분만을 촉진하기 위한 자궁 수축제 사용으로 이어지게 되고, 자궁수축제의 과도한 사용은 태아 심음 저하, 태반 조기박리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12]. 의료진은 이와 관련한 법적 책임 문제 등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임산부의 제왕절개 분만 요구를 거절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지고 있다[13,14]. 이와 같이 분만 중에 있는 임산부는 정상질식 분만에 대한 두려움과 분만시간 지연으로 인한 체력소진이 증가하고, 태아의 건강변화 등의 이유로 선택적 제왕절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정상질식 분만에 비해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 산후 출혈, 마취 후유증, 산후 통증, 배뇨곤란 등이 증가하고 엄마와 아기의 첫 접촉 시간이 지연되어 분만 만족도가 낮아지게 된다[15]. 또한 태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게 되어 신생아 아프가 점수가 낮을 수 있고 청색증이 빈번히 나타나 산소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16]. 미국산부인과학회[17]는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적응증이 없는 경우에는 정상질식 분만을 권장하고, 임산부에 대한 교육 및 정서적 지지와 같은 비의학적 개입을 적극 활용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또한, 불필요한 제왕절개 분만을 줄이기 위한 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국제산부인과학회[18]에서도 제왕절개 분만율 증가에 따른 정부개입과 건강보험 제도개선 외에도 의료진은 임산부와의 협력을 통해 불필요한 제왕절개 분만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실무현장에서는 임산부의 정상질식 분만을 돕기 위해 라마즈 호흡법, 연상법, 요가, 지압, 음악요법 등 다양한 중재와 연구가 시도되어 왔으나 이러한 중재는 분만 중의 통증조절이나 불안완화 등의 심리적 안정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으며[19], 분만시간 단축이나 정상 질식 분만율 향상에 기여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임산부의 분만시간을 단축시켜 정상질식 분만을 촉진하는 데 영향을 주며[8], 임산부의 자세 변경과 통제력 증진, 비약물적 통증 조절, 분만 진행상황 모니터링 등의 복합적 중재를 통해 임산부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분만 자신감을 높이며 분만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모색이 요구된다[19].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은 현재 미국, 유럽 등에서 정상질식 분만을 지향하는 의료진과 임산부들 사이에서 점점 더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운동프로그램으로[20], 분만 중 태아의 자연스러운 위치 조정에 초점을 두고, 임산부의 몸의 구조와 움직임을 개선시키며 태아와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8]. 즉,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목표는 태아의 회전과 최적의 출산 자세를 돕는 것으로, 임산부의 골반 내에서 태아가 적절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균형, 중력, 움직임을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5]. 이를 통해 분만 진행을 빠르고 원활하게 하여 분만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20]. 또한 정상질식 분만을 가능하게 하며 분만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19].
최근 국외 선행연구[9,21-24]에서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를 기반으로 한 직립 자세를 적용하여 분만 소요시간과 분만 결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분만 1기와 2기에 적용한 직립 자세와 출산 볼 사용은 임산부의 골반을 유연하게 하여 아두의 회전과 하강을 돕고 분만 소요시간을 단축시켜 제왕절개 분만율 감소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8]. 국내에서는 임신 36주부터 분만 전까지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적용한 2건의 연구[19,25] 에서 8~10개의 동작을 주 1회 교육하고 주 3~5회 이상 가정에서 자가운동을 실시한 결과 정상질식 분만율과 분만 자신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산전기간부터 분만 전까지 중재가 진행되어 중재기간이 길고 동작이 많아서 임산부가 프로그램을 이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대조군이 없는 단일군 원시실험설계로 외생변수에 대한 통제가 되지 않아 운동효과에 대한 근거가 미약하다. 또한 Park 등[25]의 연구는 구체적 운동프로그램 제시가 부족하여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자세가 포함된 연구[26]에서는 분만 만족도에 효과가 있었으나 대조군과 정상질식 분만율에 차이가 없었으며, 10개가 넘는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중재 횟수나 시간, 분만 소요시간 등이 제시되지 않았다.
분만진행은 여성 골반의 크기보다 골반의 유연성과 직립 자세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동양인 여성의 경우 서양인 여성보다 골반근육이 더 두껍고 골반출구가 더 작은 특징이 있으므로[27,28], 동양인 임산부에게 적합하고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 분만 1기와 2기의 진행은 분만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5], 분만 중에는 임산부의 체력 소모가 크고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고, 분만 과정이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8], 분만 과정의 변동성을 고려할 때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이며 안전한 분만 중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임산부의 신체적 특성에 적합하게 분만 중 골반을 확장하고 태아의 하강을 촉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임산부의 분만 시간 단축, 정상질식 분만율 증가와 신생아 건강증진 등의 분만 결과와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Spinning Babies program during labor)이 분만 결과와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3. 연구 가설
가설 1: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분만 결과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부가설 1-1: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분만 소요시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부가설 1-2: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분만 형태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부가설 1-3: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신생아 아프가 점수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부가설 1-4: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신생아 산소요법 적용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에 분만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분만 1기와 2기 동안 임신 37주 이상의 임산부에게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만 결과와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 유사 실험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osttest only design)이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임상연구정보서비스(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에 등록되었다(KCT0009947).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표적모집단은 건강한 임산부이며, 근접모집단은 밀양시의 일개 산부인과 의료기관에 분만을 위해 내원하여 분만 시 마약성 진통제(펜타닐 주)가 포함되지 않은 비지속적 투여방식으로 경막외 마취 시술이 예정되어 있고, 자궁수축제(옥시토신) 투여 등의 의료적 개입 하에 정상질식 분만이 예상되는 임산부이다. 연구 대상자는 선정기준에 충족되며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를 임의 표집하였다. 구체적 선정 기준은 임신 37주 이상이며 두정위 태아를 가진 건강한 임산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자, 산과 전문의에 의해 정상질식 분만이 예상되는 자, 임산부 신체활동 준비의학검사(Physical Activity Readiness medical examination for pregnancy [PARmed-X])에서 금기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자이다. 임산부 신체활동 준비의학검사는 신체활동 특성을 묻는 체크리스트로 절대적 금기사항 7문항(1. 양수막 파열, 조기분만, 2. 임신 2~3기 출혈 또는 전치태반, 3. 임신성 고혈압 및 전자간증, 4. 불완전한 자궁경관, 5. 명확한 자궁성장 제한, 6. 고위험임신, 7. 조절되지 않는 제1형 당뇨병, 고혈압, 갑상선질환, 심각한 심혈관 또는 호흡기질환, 전신장애)과 상대적 금기사항 6문항(1. 과거 임신에서 조산 및 자연유산, 2. 경한 심혈관 및 호흡기질환[만성고혈압, 천식], 3. 빈혈 및 철 결핍증[Hb < 10 g/dl], 4. 영양실조 또는 섭식장애[식욕부진/대식증], 5. 쌍태임신, 6. 기타 심각한 건강상태)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외 기준은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진단을 받은 자, 운동 금기 사항이 1개 이상인 자, 정규적으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이다.
대상자 수는 선행연구[29]에 근거하여 효과크기(f) 0.8, 검정력(1 - β) .80, 유의수준(d) .05를 바탕으로 G*Power 프로그램으로 산출한 결과 각 그룹당 21명이었으나, 실험군에서 중도탈락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탈락률을 20%로 하여 26명, 대조군에서는 탈락률 10%로 하여 23명이 산출되었다.
3. 자료수집
본 연구는 분만을 위해 지역사회 의료기관에 내원한 건강한 임산부 중 편의표집하였다. 연구자는 병원 관계자에게 연구목적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뒤 공고문을 통해 대상자 선정을 진행하였다. 연구자의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 의사를 밝힌 지원자의 수는 총 51명이었으며, 그중 학원에서 요가 등을 주기적으로 참여한 2명이 대상자 선정에서 제외되어 49명이었다. 이들을 본 연구의 설계와 산출기준에 따라 대조군에 먼저 23명을 배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후 실험군에 26명을 배정하였으며, 대상자에게 자신이 속한 그룹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연구 진행이 시작된 직후 대조군 3명이 임산부의 요청으로 시행되는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이 결정되어 탈락하였고, 실험군 4명은 중재 횟수 4회 전에 분만하게 되어 탈락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자는 실험군 22명과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Figure 1).
4. 연구 도구

1) 대상자 특성

일반적 특성은 연령, 신장, 임신 전 체중, 출산 시 체중, 최종 학력, 총 월수입, 종교, 직업유무, 결혼생활 만족도 등 9문항, 산과적 특성은 현재 임신형태, 계획임신, 출산력, 자궁수축제 사용 유무, 비마약성 비지속적 경막외 마취 시스템 사용 유무 등 5문항, 신체활동 특성은 임신 중 걷기나 스트레칭 유무 1문항으로 총 15문항이다.

2) 분만 결과

분만 결과는 분만에 따라 나타나는 모체와 신생아의 결과를 의미하며[30], 본 연구에서 분만 결과는 분만 소요시간, 분만 형태, 신생아 아프가 점수, 신생아 산소요법 적용 등 총 4문항으로 분만 기록지와 신생아 기록지를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분만 소요시간은 분만 1기의 잠재기 이후 자궁경부 개대가 3cm에서부터 태아 만출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1문항이다. 산부인과 의사와 조산사인 본 연구자가 내진으로 자궁경부 개대 측정을 하고 그 결과를 분만 기록지에 기록하였다. 분만 형태는 정상질식 분만 또는 제왕절개 분만으로 구분한 1문항이고 분만 후 기록하였다. 신생아 아프가 점수는 분만 직후 1분과 5분에 측정한 신생아의 건강상태를 의미하며 피부색깔(skin color), 맥박(heart rate), 반사(reflex), 근긴장도(muscle tone), 호흡(respiration)의 5개 항목에 각 최소 0점에서 최대 2점을 주어 총 1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신생아 산소요법 적용은 신생아의 출생 직후 청색증, 그렁거림, 호흡곤란 등으로 산소를 공급받는 것을 의미한다.

3) 분만 만족도

분만 만족도는 Hodnett와 Simmons-Tropea [31]의 분만 만족 척도(Labor Agentry Scale)를 Jeong과 Chung [32]이 한국어로 번안하고 10문항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임산부가 분만 시 지각한 통제감의 정도에 대해 긍정적인 문항 6개와 부정적인 문항 4개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7점의 척도이며, 점수의 범위는 10점에서 70점까지이다. 부정적 문항은 역환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스스로의 통제감과 만족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Jeong과 Chung [32]의 연구에서 Chronbach’s α는 .77이었고, 본 연구에서 Chronbach’s α는 .92이었다.
5.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분만 1기와 2기에 적용할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4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문헌고찰 단계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관련하여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였다. 총 23건 중의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에서 프로그램 적용 시기는 분만 중 15건, 산전 2건이었고, 프로그램에 적용된 자세는 출산 볼(birth ball), 와이드 스쿼트(wide squat), 무릎자세(kneeling), 런지(forward lunges), 서기(standing), 앉기(sitting), 측위(side-lying position) 등이 있었다. 자세의 적용 시간과 횟수는 각 자세마다 다양했으며, 적용 기간은 분만 1기부터 태아 만출까지 조산사의 주도 하에 진행되었다. 또한, 복식호흡과 터치와 같은 이완법을 함께 적용한 혼합 프로그램이 분만 만족도와 분만결과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9,25,26].
2단계는 프로그램 구성단계로 문헌고찰 결과[5,19,20,33]에 근거하고 연구자의 조산사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분만 1기와 2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임산부가 따라하기에 용이한 단순한 형태의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동작으로 4개(골반 돌리기, 와이드 스쿼트, 열린 슬흉위, 측위)를 선정하였다. 이 동작들은 임산부 측면에서 골반 균형 유지, 요통 및 분만 진통 완화, 분만 시간 단축, 골반 출구 확장, 근육 이완과 태아 측면에서 하강 촉진, 후방 두정위 교정, 심박수 안정 등의 효과가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분만 1기와 2기에 연속으로 4회 적용되며, 각 회기마다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30분, 이완법 15분으로 총 50분 동안 진행하기로 초안을 구성하였다. 본 운동에서는 각 동작의 적용 시간과 횟수를 고려하여 진행하며, 이완법으로는 터치와 복식호흡을 활용하였다.
3단계는 프로그램 타당도 검정단계이다.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전문가 타당도 평가와 확정을 위해 조산사인 여성간호학 교수 1인, 임산부 운동 연구경력이 있는 체육학 교수 1인, 경력 40년의 현직 조산사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프로그램의 초안을 기초로 한 4개의 동작, 횟수 및 시간, 적용 시기 및 운영 횟수 등의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에 대해 전문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매우 타당하다’ 4점, ‘타당하다’ 3점, ‘타당하지 않다’ 2점, ‘전혀 타당하지 않다’ 1점의 4점 척도로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평가하도록 하였고, 모든 항목에서 3점 또는 4점으로 응답하여 CVI는 1.00으로 나타나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분만 진행 중에 적용하는 프로그램이므로 임산부의 체력 소모와 분만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안전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추가 의견이 있어 안전대책을 보강하였다. 그 이후, 산부인과 전문의 1인의 자문을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대해 재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4단계는 프로그램 확정단계이다. 기존의 국내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주도로 하여 분만 중에 있는 임산부의 자세 변경과 태아 하강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4개의 동작들로 구성하여 4회 반복함으로써, 분만 소요 시간을 단축시켜서 정상질식 분만을 유도하며, 임산부가 동작 수행 시 피로도를 낮추고 이완할 수 있게 하여 분만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는 통합적 중재로 구성하였다(Table 1, Figure 2).
6. 연구진행절차

1) 연구자 및 연구보조원 준비

본 연구의 타당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의 준비와 훈련을 하였다. 연구자는 30년 이상의 산부인과 경력을 가진 조산사로, 20,000건 이상의 분만 경험과 스피닝베이비 워크샵 참석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보조원으로 산부인과 외래 수간호사 1명을 선정하여 연구 윤리와 안전 관리, 자료 비밀 보장, 연구 과정에 대한 설명을 하여 연구의 이해도를 높였고, 설문지 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사전 연습을 실시하였다.

2) 예비연구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밀양시에 소재한 일개의 산부인과 의료기관의 의료기관장과 간호부를 방문하여 연구에 대한 목적과 연구진행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협조요청을 구하여 허락을 받았으며,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내용, 기대되는 효과 등을 공유하기 위해 연구모임을 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만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임산부 3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문제점, 대상자의 반응, 연구 도구의 적절성 등을 확인하였다. 예비연구 결과에서 참여한 임산부들은 4개 동작의 난이도가 적절하여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없고, 조산사의 개인 지도와 격려, 배우자의 지지,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긍정적 피드백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분만 1기와 2기에 안전하게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3) 실험중재: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적용

본 연구는 2024년 1월 31일부터 4월 8일까지 밀양시의 일개의 산부인과 의료기관 분만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연구 시작에 앞서, 병원 외래 대기실과 진료실에 모집 공고문을 게시하여 임산부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였다.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임산부에게는 연구의 목적, 절차, 방법, 기대효과 및 잠재적 위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았다. 대상자 선정을 위해 PARmed-X를 실시하고 산전 운동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확인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임산부만을 연구 대상자로 포함시켰으며, 금기사항이 있거나 산전 운동 프로그램에 이미 참여 중인 임산부는 제외하였다.
실험효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을 시간 차를 두고 모집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는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군에게는 실험중재를 적용하고 대조군에게는 일반적 간호를 제공하였다. 대상자 모두는 입원 후 배우자와 함께 가족 분만실로 이동하여 분만과정에 참여하였다. 대조군에게 제공된 일반적 간호는 평소 산부인과에서 제공하는 표준적인 간호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는 태아 심음 모니터링, 분만 진행 상황 관찰, 통증 관리, 심리적 지지 등을 포함하며,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과 같은 특수한 중재는 제외되었다.
사전조사는 산전진료를 위해 병원 방문 시 외래에서 연구보조원이 임산부의 일반적 특성, 산과적 특성, 신체활동 특성 등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실험군 임산부가 입원하면 연구자는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프로그램 중재의 금기 사항을 재확인하였다.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임산부에게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참여 의사를 재확인하였다. 임산부의 특성, 활력 징후와 태아 심박수를 확인한 후 걷기, 가벼운 음식 섭취, 휴식 등을 권장하였다. 연구자는 분만 진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내진을 실시한 후, 임산부는 배우자와 함께 가족 분만실로 이동하여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중재에 참여하였다.
1회차에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후, 매 회차 5분의 준비운동, 30분의 본 동작(골반 돌리기 20분, 와이드 스쿼트 10회, 열린 슬흉위 5분), 15분의 이완 동작(측위 자세와 배우자의 터치)과 자궁수축 동안 복식호흡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배우자도 함께 훈련하였다. 분만 1기와 2기 동안 총 4회차, 회기당 50분간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중재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태아 심음과 임산부의 활력 징후를 확인하였으며 수분 공급과 배뇨, 배변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임산부를 지속적으로 격려하고 안심시켰다.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주의점 및 안전대책으로 프로그램 시작 전 대상자에게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안전한 운동 환경을 조성하였다. 출산 볼 사용 시 매트를 깔고 대상자의 신체특징에 적절한 크기를 선택하였으며, 와이드 스쿼트와 열린 슬흉위 동작 시 추가적인 안전 조치를 취했다. 프로그램 진행 중 연구자가 지속적으로 임산부를 밀착하여 관찰하고 지지하였으며, 태아의 심박수와 임산부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였다. 응급 상황에 대비한 체계도 마련하였으나, 연구기간 동안 응급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사후조사는 분만 후 대상자가 안정을 취하고 1시간이 경과한 후 분만 만족도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약 5분 정도 소요되었다. 분만 결과 자료는 분만 기록지와 신생아 기록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7.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7 (IBM C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또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χ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고,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test로 하였다.
(3) 가설 검정에서 분만 소요시간과 분만 만족도는 independent t-test, 아프가 점수는 정규성 검정을 충족하지 않아 Mann-Whitney U-test로 분석하였고 분만 형태와 산소요법적용은 χ2 test로 분석하였다.
8.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의 안전과 윤리적 보호를 위해 헬싱키 선언을 준수했으며, 동의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로부터 계획서 심의를 거쳐 연구승인(IRB No. DIRB-202401-HR-E-02)을 받았다. 특히, 임산부는 취약한 연구 대상자로 분류되어 법정대리인의 추가 동의와 특별 관리를 받았다. 연구 참여 동의서에는 연구 목적, 절차, 위험과 이익,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포함되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자율적인 참여를 보장하고, 임산부나 태아의 건강상의 문제나 위험이 감지되면 진료과장으로의 의뢰를 설명하였다. 설명서에는 실험 적용의 참여, 적용 방법, 철회 가능성, 보상 등도 동의서에 명시하였다. 연구데이터의 기밀성과 익명성도 보장하였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연구자만이 관리하며, 연구 목적 외에는 사용되지 않음을 강조하였다. 특별 관리를 위해 임산부의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즉각적인 대처를 할 것이며 임산부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정기적인 상담과 지원을 제공할 것을 설명하였다. 임산부와 법정대리인 모두가 연구참여 동의서와 설명문에 서면동의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종료한 후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1. 대상자의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산과적 특성, 운동관련 신체 활동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 결과,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2.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이 분만 결과에 미치는 효과

1) 분만 소요시간의 차이

전체 분만 소요시간에서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평균은 173.60 ± 52.56분, 대조군의 평균은 358.85 ± 108.99분으로 실험군의 분만 소요시간이 대조군보다 짧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 = - 6.64, p < .001) (Table 3).

2) 분만 형태의 차이

분만 형태는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22명(100.0%) 전원이 정상질식 분만이었고, 대조군의 정상질식 분만은 16명(80.0%), 제왕절개 분만은 4명(20.0%)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 = 4.86, p = .043) (Table 3).

3) 신생아 아프가 점수의 차이

신생아 1분 아프가 점수에서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평균은 9.00 ± 0.00점, 대조군의 평균은 8.80 ± 0.41점이었고, 5분 아프가 점수에서 실험군의 평균은 10.00 ± 0.00점, 대조군의 평균은 9.80 ± 0.41점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2 = - 2.18, p = .029) (Table 3).

4) 신생아 산소요법 적용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신생아에서 산소요법 적용은 없었으며, 대조군의 제왕절개 분만아 4명(20.0%)이 출생 직후 산소요법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χ2 = 4.86, p = .043) (Table 3).
3.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이 분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만 만족도는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평균이 51.59 ± 3.66점, 대조군의 평균은 32.70 ± 6.12점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 = 11.99, p < .001) (Table 3).
본 연구에서 분만 중 적용 가능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임산부의 분만 소요시간과 분만 형태,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와 산소요법 적용 등의 분만 결과와 분만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만 소요시간은 실험군에서 173분으로 나타나서 대조군의 358분에 비해 약 185분, 즉 3시간 정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분만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Ulfa [22]의 연구에서 분만 중에 서기, 앉은 자세, 출산볼, 스쿼트를 30분~1시간 간격으로 10~30분씩 적용하여 실험군의 분만 소요시간이 약 211분이었으며 대조군보다 약 134분이 단축되었고, Tussey 등[34]의 연구에서 실험군의 분만 소요시간이 290분이었으며 대조군보다 약 100분 단축된 결과와 유사하다. 대조군 없이 단일군으로 진행된 선행연구[19,25]에서 산전에 임산부에게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4주간 주 5회, 8~10개의 동작을 중재하여 분만 소요시간이 단축된 것과도 유사한 결과이다.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구성에 있어 Simkin 등[5]은 하나의 동작을 오래 유지하는 것보다 여러 동작을 번갈아 수행하는 것이 분만 시간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하였고, Berta 등[9]도 임산부에게 출산 볼, 무릎 꿇기, 스쿼트와 같은 직립 자세를 두 가지 이상 병행했을 때, 분만 2기의 평균 소요 시간이 21~25분으로 현저히 단축되므로, 단일 동작을 사용했을 때보다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만 1기와 2기의 임산부에게 출산 볼을 이용한 골반 돌리기, 와이드 스쿼트, 열린 슬흉위, 측위 등 4개 동작을 연속적으로 적용하여 임산부 골반의 확장과 아두하강에 기여하였고 분만 소요시간이 단축된 근거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분만 소요시간의 측정 시기를 임산부의 경관이 3 cm 개대된 시점부터 태아 만출 시까지로 하여 실험군에서 분만 소요시간이 173분이었다. 분만 소요시간 측정시기가 동일한 선행연구에서 실험군의 분만 소요시간은 약 211분[22]과 220분[19]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결과의 분만 소요시간이 선행연구보다 약 38분 또는 47분 정도 더 단축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만 소요시간 측정시기가 진진통 시작부터 태아 만출 시까지인 선행연구에서는 실험군의 분만 소요시간이 290분[34]과 363분[25]으로 나타나서 측정시작 시점이 본 연구보다 더 빠른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본 연구결과의 분만 소요시간이 선행연구보다 약 117분 또는 190분이 더 단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이 분만 소요시간 단축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지만 프로그램 종류, 적용 방법과 시기, 분만 소요시간의 측정 시기로 인해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중재 시기와 분만 소요시간 측정 시기를 일관되게 적용한 반복연구를 통해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연주의 출산 상황의 연구[19,25]와 달리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출산을 앞둔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자궁수축제 투여 등의 의료적 개입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다. 자궁수축제는 분만 촉진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약물로 분만 소요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동질한 조건의 대조군을 두어 가설을 검정하였고 두 군 간에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향후 연구에서는 자궁수축제 투여 용량의 차이 등을 비교함으로써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효과를 반복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정상질식 분만율은 실험군에서 100.0%로 나타나서 대조군의 80.0%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분만 중에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에서 정상질식 분만율은 출산 볼을 활용한 골반 돌리기 적용 시 85.0% [23], 무릎꿇기 자세 시 90.0% [21], 듈라지지 프로그램에서는 90.0% [26]이었다. 산전에 4주간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에서는 정상질식 분만율이 100.0% [19]와 89.7% [25]이었고, 산전에 8주간 주 3회 요가를 적용한 연구에서는 76.2% [35]로 나타나서 본 연구의 정상질식 분만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산전이나 분만 중 적용하는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중재를 통해 정상질식 분만율을 개선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하지만 산전에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연구[19,25]는 대부분 4주에서 8주간의 장기간 적용으로 인한 임산부와 간호사의 시간적 부담이 있는 반면, 본 연구의 분만 중 프로그램의 경우 시간 효율적 측면에서 실무에서의 활용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분만 중 한 가지 동작을 중재한 연구[21,23]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가 서로 다른 동작 4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분만 소요시간이 훨씬 단축됨으로써 임산부의 체력 소진을 줄일 수 있어 정상질식 분만율이 높아졌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증가 추세에 있는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의 요구를 일부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통한 운동과 자세변경에 참여함으로써 임산부는 정상질식 분만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이 높아지게 되어 정상질식 분만이 효율적으로 촉진되며 이는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의 가능성을 줄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임산부에 대한 간호사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적시에 적절한 분만중재가 가능하여 선택적 제왕절개 분만으로의 전환을 줄이고 정상질식 분만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의료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촉진하며, 전반적인 출산 환경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분만 후 신생아 아프가 점수를 확인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모두 정상질식 분만으로 신생아가 출생하여 아프가 점수는 1분에 9점, 5분에 10점이었다. 대조군에서 정상질식 분만을 통해 출생한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는 1분에 9점, 5분에 10점이었지만, 제왕절개 분만을 통한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는 1분에 8점, 5분에 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신생아 아프가 점수 범위는 모두 7점에서 10점으로 나타나서 임상적으로는 모든 신생아의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이는 선행연구[36]에서 제왕절개 분만아의 약 30.2%가 1분 아프가 점수가 7점 미만으로 나타난 것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만 후 신생아에게 적용된 산소요법 여부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서 제왕절개 분만아 4명에서 아프가 점수는 정상범위에 있지만 정상질식 분만아보다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고 산소요법이 요구되는 청색증, 그렁거림 등의 임상증상이 있어서 신생아에 따라서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산소요법이 적용되었다. 이는 제왕절개 분만에서 사용되는 마취제가 신생아의 호흡에 영향을 주게 되어 출생 후 일시적으로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실험군의 경우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정상질식 분만이 증가하였고, 신생아 아프가 점수 역시 더 안정적으로 나타나서 산소요법 적용은 불필요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통해 신생아의 출생 후 초기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점에서 이 프로그램의 활용도와 중요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분만 만족도는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에서 51.59점으로 대조군 32.70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입원에서 분만 후 3시간까지 스피닝베이비 자세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26]와 임신 36주부터 4주 간 주 5회 이완법과 스피닝베이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19]의 실험군에서 분만 만족도가 높게 나온 것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산전 12주간 주 3회 50분의 요가프로그램을 적용한 Lee [37]의 연구와 분만 1기에 배우자가 10분씩 아로마테라피 마사지를 적용한 Lee와 Hur [38]의 연구에서는 분만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분만 중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적용 시 연구자는 임산부의 긴장과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면서 임산부와 함께 4개 동작과 자세 변경, 자궁수축 시마다 복식호흡, 이완 시 측위자세 등을 지도하였고, 이를 통해 임산부는 분만과정의 자기통제감이 증가되어 분만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분만실에서의 일상적 간호가 적용되고 배우자가 함께 하였으나, 임산부의 20%에서는 분만 소요시간이 지연되면서 체력 소진이 심하게 나타나서 제왕절개술이 시행되었다. 수술 후 통증과 아기와의 접촉 시간의 지연 등은 분만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모든 대상자는 비마약성 비지속적 경막 외 마취 시스템을 사용하는 임산부이므로 실험군에서 대상자의 협조를 통해 자세 변경과 운동이 가능하였고, 분만과정에 자기통제력 또한 발휘될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의 출산 시 간호사는 임산부의 마약성 지속적 경막외 마취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도록 분만 1기와 2기 동안 임산부를 지지하고 분만 진행에 대한 정보를 주며 자세 변경을 도와야 한다.
본 연구는 마약성 진통제가 포함되지 않은 비지속적 경막외 마취 시스템과 자궁수축제(옥시토신)의 의료적 개입을 받고 있는 저위험 분만 예정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은 준비운동 5분, 저항운동인 와이드 스쿼트, 부드러운 스트레칭 동작인 출산 볼을 이용한 골반 돌리기, 열린 슬흉위 등 4개의 동작이 포함된 본 운동 30분, 측위자세의 이완법(터치, 복식호흡) 15분으로 총 50분이고 4회 반복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운동에서 4개의 동작은 각각 적용효과가 다르므로 총 4회 반복 적용했을 때 각 동작의 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시 임산부와 태아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에 만전을 기함으로써 임산부는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프로그램에 쉽게 적응할 수 있었고 분만 결과와 분만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안전하고 건강한 분만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어 임상실무와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만실에서 간호사는 임산부에게 다양한 스피닝베이비 자세를 교육하여, 자세 변화를 통해 분만 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임산부의 상태, 태아의 심박수와 움직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반면, 한국의 저출산으로 인한 국내 산부인과 의료기관의 재정 악화로, 분만실 인원 감축이란 현실에 부딪히게 되고 실무에서 분만실과 수술실, 병동, 신생아실을 병행해서 봐야 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조산사나 분만실 간호사의 지속적인 일대일 케어가 현실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임산부와 배우자에게 이루어지는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활용한 충분한 교육은 의료현장의 실무자의 체력소진에 대한 부담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첫째, 본 연구는 일개 산부인과 의료기관에서 정상질식 분만이 예상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유사실험연구이므로 의료기관에서 분만 시 사용하는 마약성 진통제(펜타닐 주)가 포함되지 않은 비지속적 투여방식의 경막외 마취 시술과 자궁수축제(옥시토신) 투여 등을 통제할 수 없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조군에서 분만 소요시간의 지연으로 인해 제왕절개술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만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분만 중에 적용 가능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임산부의 분만 소요시간을 단축시키고 정상질식 분만의 성공률을 높이는 동시에 신생아의 아프가 점수를 개선시키고, 산소요법 적용 여부에 기여하고, 분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은 분만 중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 의료 자원의 효율적 사용 등에 기여할 것이며, 임상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산과 경산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 적용 후 자궁수축제 투입량과 분만 통증의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 산전 관리 과정부터 스피닝베이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는 비교 연구를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None.

DATA SHARING STATEMENT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or/and Methodology: Jeong M & Jung H.

Data curation or/and Analysis: Jeong M & Jung H.

Funding acquisition: None.

Investigation: Jeong M.

Project administration or/and Supervision: Jeong M & Jung H.

Resources or/and Software: Jeong M & Jung H.

Validation: Jeong M & Jung H.

Visualization: Jeong M & Jung H.

Writing original draft or/and Review & Editing: Jeong M & Jung H.

Fig. 1.
CONSORT flow diagram of participant allocation, follow-up and analysis.
jkan-24097f1.jpg
Fig. 2.
Body postures to be performed in the program. (A) Pelvic rotation on the birth ball. (B) Wide squat. (C) Open knee-chest position. (D) Side-lying position.
jkan-24097f2.jpg
Table 1.
Spinning Babies Program Activities to be Performed during Labor
Categories Descriptions
Introduction (5 min) Introduction to the Spinning Babies program
 - Methods, effects, and precautions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explanation
 - Should be done during the 1st session only
Warm-up (5 min) Neck, shoulder, back, and leg stretching
Main exercise (30 min) Pelvic circle performance on birth ball
 - Rotating left and right 10 min, once
 - Forward and backward parabolic movements 5 min, once
 - Bouncing up and down 5 min, once
Method:
 - Choose a birth ball size that allows the buttocks to be higher than or, at least, at level with the knees of the woman.
 - Ask the woman to sit on the birth ball with the ischial area touching the ball's surface, and move the ball using the ischial muscles.
 - Ask the woman to draw large circles with the ischial muscles, first to the left and then to the right: 5 min to the left, 5 min to the right (10 min total).
 - Ask the woman to move the ball in a front-to-back parabolic motion with the buttocks: 5 min.
 - Ask the woman to bounce up and down on the ball with the buttocks: 5 min.
Wide squat exercises 5 min, 10 repetitions
Method:
 - Ask the woman to stand with feet wider than shoulder-width apart, with knees aligned with her toes, to slowly bend her knees, and then straighten to rise, and then straighten to rise.
 - Ask the woman to hold onto a sturdy fixed bar if she does not have assistance (from the spouse, for example).
Adoption of an open-knee chest position 5 min, once
Method:
 - Ask the woman to kneel with knees shoulder-width apart, hugging a ball with both arms, and keeping the chest far from shins and abdomen.
Relaxation (15 min) Adoption of a side-lying position
Method:
 - Ask the woman to lie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with cushions between arms and legs for stability.
Touching:
 - Ask the woman’s partner/companion to gently touch her shoulders, back, and waist with their palms.
Abdominal breathing exercises:
 - Inhalation: Ask the woman to inhale slowly and deeply through the nose for 3 s as soon as a uterine contraction begins.
 - Exhalation: Ask the woman to purse lips and exhale slowly for 6 to 7 s.
Table 2.
Homogeneity of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N = 42)
Characteristics Categories Experimental group (n = 22)
Control group (n = 20)
χ2 or t p-value
M ± SD or n (%)
Age (yr) < 35 13 (59.1) 11 (55.0) 0.07 .789
≥ 35 9 (40.9) 9 (45.0)
32.9 ± 5.0 34.5 ± 3.7 – 1.21 .232
Height (cm) 163.82 ± 3.97 162.00 ± 3.31 1.60 .117
Pre-pregnancy weight (kg) 60.18 ± 8.73 61.98 ± 4.38 – 0.83 .413
Weight at delivery (kg) 69.91 ± 7.59 72.68 ± 4.41 – 1.43 .162
Education level High school graduate 4 (18.2) 2 (10.0) 0.57 .665
College graduate or higher 18 (81.8) 18 (90.0)
Income (10,000 won) < 400 9 (40.9) 11 (55.0) 0.83 .361
≥ 400 13 (59.1) 9 (45.0)
Religion No 14 (63.6) 13 (65.0) 0.01 .927
Yes 8 (36.4) 7 (35.0)
Job No 16 (72.7) 16 (80.0) .723
Yes 6 (27.3) 4 (20.0)
Marital satisfaction Satisfied 22 (100.0) 20 (100.0) - -
Average 0 (0.0) 0 (0.0)
Pregnancy type Natural pregnancy 21 (95.5) 20 (100.0) 0.93 > .999
Artificial insemination 1 (4.5) 0 (0.0)
Parity Primipara 16 (72.7) 13 (65.0) 0.29 .588
Multipara 6 (27.3) 7 (35.0)
Planned pregnancy No 9 (40.9) 9 (45.0) 0.07 .789
Yes 13 (59.1) 11 (55.0)
Walking or stretching No 2 (9.1) 0 (0.0) 1.91 .489
Yes 20 (90.9) 20 (100.0)
Oxytocin No 0 (0.0) 0 (0.0) - -
Yes 22 (100.0) 20 (100.0)
Non-narcotic, non-continuous epidural anesthesia system No 0 (0.0) 0 (0.0) - -
Yes 22 (100.0) 20 (100.0)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Fisher’s exact test.

Table 3.
Differences in Childbirth Outcomes and Childbirth Satisfaction between Groups (N = 42)
Variables Experimental group (n = 22)
Control group (n = 20)
t or χ2 or z2 p-value
M ± SD or n (%)
Total duration of labor (min) 173.60 ± 52.56 358.85 ± 108.99 – 6.64 < .001
Type of delivery
 Normal vaginal delivery 22 (100.0) 16 (80.0) 4.86 .043
 Cesarean section 0 (0.0) 4 (20.0)
Apgar score of newbone
 1 min 9.00 ± 0.00 8.80 ± 0.41 – 2.18 .029
 5 min 10.00 ± 0.00 9.80 ± 0.41
Neonatal oxygen therapy
 Yes 0 (0.0) 4 (20.0) 4.86 .043
 No 22 (100.0) 16 (80.0)
Childbirth satisfaction (total score) 51.59 ± 3.66 32.70 ± 6.12 11.99 < .001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Mann-Whitney U-test.

  • 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aesarean sections. OECD; c2023 [cited 2023 Sep 12]. Available from: https://www.oecd.org/en/data/indicators/caesarean-sections.htmlArticle
  • 2. Betran AP, Torloni MR, Zhang JJ, Gülmezoglu AM; WHO Working Group on Caesarean Section. WHO statement on caesarean section rates. BJOG. 2016;123(5):667-670. https://doi.org/10.1111/1471-0528.13526ArticlePubMedPMC
  • 3. Begum T, Saif-Ur-Rahman KM, Yaqoot F, Stekelenburg J, Anuradha S, Biswas T, et al. Global incidence of caesarean deliveries on maternal requ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BJOG. 2021;128(5):798-806. https://doi.org/10.1111/1471-0528.16491ArticlePubMed
  • 4. Atnurkar KB, Mahale AR. Caesarean delivery on maternal request: Need to redefine in view of intrapartum c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production, Contracep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2022;11(2):501-504. https://doi.org/10.18203/2320-1770.ijrcog20220178Article
  • 5. Simkin P, Hanson L, Ancheta R. The labor progress handbook: Early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treat dystocia. 4th ed. Wiley-Blackwell; 2017. p. 1-416.
  • 6. Jenabi E, Khazaei S, Bashirian S, Aghababaei S, Matinnia N. Reasons for elective cesarean section on maternal request: A systematic review.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020;33(22):3867-3872. https://doi.org/10.1080/14767058.2019.1587407ArticlePubMed
  • 7. Stone PR, Burgess W, McIntyre JP, Gunn AJ, Lear CA, Bennet L, et al; Maternal Sleep In Pregnancy Research Group; The University of Auckland. Maternal Sleep In Pregnancy Research Group, The University of Auckland. Effect of maternal position on fetal behavioural stat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healthy late gestation pregnancy. The Journal of Physiology. 2017;595(4):1213-1221. https://doi.org/10.1113/JP273201ArticlePubMed
  • 8. Gupta JK, Sood A, Hofmeyr GJ, Vogel JP. Position in the second stage of labour for women without epidural anaesthesi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5(5):CD002006.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2006.pub4ArticlePubMedPMC
  • 9. Berta M, Lindgren H, Christensson K, Mekonnen S, Adefris M. Effect of maternal birth positions on duration of second stage of lab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9;19(1):466. https://doi.org/10.1186/s12884-019-2620-0ArticlePubMedPMC
  • 10. Kim J. Pregnant women’s perception of epidural anesthesia, labor pain and delivery outcome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1-84.
  • 11. Shmueli A, Salman L, Orbach-Zinger S, Aviram A, Hiersch L, Chen R, et al. The impact of epidural analgesia on the duration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Birth. 2018;45(4):377-384. https://doi.org/10.1111/birt.12355ArticlePubMed
  • 12. Hidalgo-Lopezosa P, Hidalgo-Maestre M, Rodríguez-Borrego MA. Labor stimulation with oxytocin: Effects on obstetrical and neonatal outcomes.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16;24:e2744. https://doi.org/10.1590/1518-8345.0765.2744ArticlePubMedPMC
  • 13. Vimercati A, Greco P, Kardashi A, Rossi C, Loizzi V, Scioscia M, et al. Choice of cesarean section and perception of legal pressure.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2000;28(2):111-117. https://doi.org/10.1515/JPM.2000.014ArticlePubMed
  • 14. Smith-Oka V. Cutting women: Unnecessary cesareans as iatrogenesis and obstetric violence. Social Science & Medicine. 2022;296:114734.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22.114734ArticlePubMed
  • 15. Chen H, Tan D. Cesarean section or natural childbirth? Cesarean birth may damage your health. Frontiers in Psychology. 2019;10:351. https://doi.org/10.3389/fpsyg.2019.00351ArticlePubMedPMC
  • 16. Smith V, Gallagher L, Carroll M, Hannon K, Begley C. Antenatal and intrapartum interventions for reducing caesarean section, promoting vaginal birth, and reducing fear of childbirth: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PLoS One. 2019;14(10):e0224313.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24313ArticlePubMedPMC
  • 17.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 Cesarean birth [Internet]. ACOG. c2024;[cited 2023 Apr 20]. Available from: https://www.acog.org/womens-health/faqs/cesarean-birth
  • 18. Visser GHA, Ayres-de-Campos D, Barnea ER, de Bernis L, Di Renzo GC, Vidarte MFE, et al. FIGO position paper: How to stop the caesarean section epidemic. The Lancet. 2018;392(10155):1286-1287. https://doi.org/10.1016/S0140-6736(18)32113-5Article
  • 19. Lee SY, Jeong MY, Park H. Development and effect of spinning baby-based exercise program for healthy natural childbirth: Focusing on women using a midwif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22;17(4):301-307. https://doi.org/10.21097/ksw.2022.11.17.4.301Article
  • 20. Tully G. Changing birth on earth: A midwife and nurse’s guide to using physiology to avoid another unnecessary cesarean. Maternity House Publishing; 2020. p. 1-422.
  • 21. Dabral A, Pawar P, Bharti R, Kumari A, Batra A, Arora R. Upright kneeling position during second stage of labor: A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Reproduction, Contracep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8;7(2):401-407. https://doi.org/10.18203/2320-1770.ijrcog20175930Article
  • 22. Ulfa RM. Effect of the use of birth balls on the reduction of pain and duration of labor during the first stage of active and second stage of labor in primigravida maternity. Science Midwifery. 2021;9(2):418-430.
  • 23. Sears D. The impact of the spinning babies method on labor duration and delivery outcome [dissertation]. Minneapolis (MN), Walden University. 2023;1-92.
  • 24. Angkut C. The effect of birthing ball on the smooth process of labor in maternity women at TPMB (midwife independent practice) Purwakarta Regency, Indonesia. Archives of the Medicine and Case Reports. 2024;5(1):584-587. https://doi.org/10.37275/amcr.v5i1.475Article
  • 25. Park H, Moon GN, Lee SY.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spinning education program on naturalistic birth and nursing interventio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8;24(5):609-627. https://doi.org/10.24159/joec.2018.24.5.609Article
  • 26. Park J, Park HR. Development and effect of nurse-centered doula support program for mothers with natural childbirth: Pilot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9;23(4):269-279. https://doi.org/10.21896/jksmch.2019.23.4.269Article
  • 27. Kim SH. Is natural childbirth easier if you have a wider pelvis? [Internet]. CHA Medical Center; c2021 [cited 2023 Apr 20]. Available from: https://m.chamc.co.kr/media/magazine_youtube.cha?idx=210
  • 28. Mirgalobayat S, Ghahari L, Allahqoli L, Saadat Mostafavi SR, Safari K, Rikhtehgar M, et al. Evaluation of the link between pelvimetry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and predicting status’ delivery. Journal of Contemporary Medical Sciences. 2019;5(6):313-316. https://doi.org/10.22317/jcms.12201904Article
  • 29. Kim GJ. The effects of doula touch delivery education on self-confidence delivery, knowledge of childbirth, coupl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880-2888. https://doi.org/10.5762/KAIS.2013.14.6.2880Article
  • 30. Sauls DJ. Effects of labor support on mothers, babies, and birth outcom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2;31(6):733-741. https://doi.org/10.1177/0884217502239209ArticlePubMed
  • 31. Hodnett ED, Simmons-Tropea DA. The Labour Agentry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n instrument measuring control during childbirth.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7;10(5):301-310. https://doi.org/10.1002/nur.4770100503ArticlePubMed
  • 32. Jeong YA, Chung CW. Pregnant women’s labor progress, childbirth outcome, and childbirth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bor induc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8;24(1):58-70. https://doi.org/10.4069/kjwhn.2018.24.1.58ArticlePubMed
  • 33. Takeda K, Yoshikata H, Imura M. Do squat exercises with weight shift during pregnancy improve postural control?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and Reproduction Sciences. 2019;7(1):10-16. https://doi.org/10.15296/ijwhr.2019.02Article
  • 34. Tussey CM, Botsios E, Gerkin RD, Kelly LA, Gamez J, Mensik J. Reducing length of labor and cesarean surgery rate using a peanut ball for women laboring with an epidural.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15;24(1):16-24. https://doi.org/10.1891/1058-1243.24.1.16ArticlePubMedPMC
  • 35. Jeong HR, Byun YH. The effects of 8-week prenatal yoga on physical, psychological factors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in third trimester.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8;72(1):415-427. https://doi.org/10.51979/KSSLS.2018.05.72.415Article
  • 36. Obsa MS, Shanka GM, Menchamo MW, Fite RO, Awol MA. Factors associated with Apgar score among newborns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s at Gandhi Memorial Hospital, Addis Ababa. Journal of Pregnancy. 2020;2020:5986269. https://doi.org/10.1155/2020/5986269ArticlePubMedPMC
  • 37. Lee SW. Effects of yoga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recovery and childbirth satisfaction of the postpartum women during pregnancy [master’s thesis]. Seoul,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2016;1-44.
  • 38. Lee MK, Hur MH. Effects of the spouse’s aromatherapy massage on labor pain, anxiety and childbirth satisfaction for labor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3):195-204. https://doi.org/10.4069/kjwhn.2011.17.3.195ArticlePubMed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Effect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on Birth Outcomes and Satisfaction during Labor: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Korean Acad Nurs. 2024;54(4):607-619.   Published online November 20, 2024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We recommend
      Related articles
      Effect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on Birth Outcomes and Satisfaction during Labor: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Image Image
      Fig. 1. CONSORT flow diagram of participant allocation, follow-up and analysis.
      Fig. 2. Body postures to be performed in the program. (A) Pelvic rotation on the birth ball. (B) Wide squat. (C) Open knee-chest position. (D) Side-lying position.
      Effect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on Birth Outcomes and Satisfaction during Labor: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tegories Descriptions
      Introduction (5 min) Introduction to the Spinning Babies program
       - Methods, effects, and precautions of the Spinning Babies program explanation
       - Should be done during the 1st session only
      Warm-up (5 min) Neck, shoulder, back, and leg stretching
      Main exercise (30 min) Pelvic circle performance on birth ball
       - Rotating left and right 10 min, once
       - Forward and backward parabolic movements 5 min, once
       - Bouncing up and down 5 min, once
      Method:
       - Choose a birth ball size that allows the buttocks to be higher than or, at least, at level with the knees of the woman.
       - Ask the woman to sit on the birth ball with the ischial area touching the ball's surface, and move the ball using the ischial muscles.
       - Ask the woman to draw large circles with the ischial muscles, first to the left and then to the right: 5 min to the left, 5 min to the right (10 min total).
       - Ask the woman to move the ball in a front-to-back parabolic motion with the buttocks: 5 min.
       - Ask the woman to bounce up and down on the ball with the buttocks: 5 min.
      Wide squat exercises 5 min, 10 repetitions
      Method:
       - Ask the woman to stand with feet wider than shoulder-width apart, with knees aligned with her toes, to slowly bend her knees, and then straighten to rise, and then straighten to rise.
       - Ask the woman to hold onto a sturdy fixed bar if she does not have assistance (from the spouse, for example).
      Adoption of an open-knee chest position 5 min, once
      Method:
       - Ask the woman to kneel with knees shoulder-width apart, hugging a ball with both arms, and keeping the chest far from shins and abdomen.
      Relaxation (15 min) Adoption of a side-lying position
      Method:
       - Ask the woman to lie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with cushions between arms and legs for stability.
      Touching:
       - Ask the woman’s partner/companion to gently touch her shoulders, back, and waist with their palms.
      Abdominal breathing exercises:
       - Inhalation: Ask the woman to inhale slowly and deeply through the nose for 3 s as soon as a uterine contraction begins.
       - Exhalation: Ask the woman to purse lips and exhale slowly for 6 to 7 s.
      Characteristics Categories Experimental group (n = 22)
      Control group (n = 20)
      χ2 or t p-value
      M ± SD or n (%)
      Age (yr) < 35 13 (59.1) 11 (55.0) 0.07 .789
      ≥ 35 9 (40.9) 9 (45.0)
      32.9 ± 5.0 34.5 ± 3.7 – 1.21 .232
      Height (cm) 163.82 ± 3.97 162.00 ± 3.31 1.60 .117
      Pre-pregnancy weight (kg) 60.18 ± 8.73 61.98 ± 4.38 – 0.83 .413
      Weight at delivery (kg) 69.91 ± 7.59 72.68 ± 4.41 – 1.43 .162
      Education level High school graduate 4 (18.2) 2 (10.0) 0.57 .665
      College graduate or higher 18 (81.8) 18 (90.0)
      Income (10,000 won) < 400 9 (40.9) 11 (55.0) 0.83 .361
      ≥ 400 13 (59.1) 9 (45.0)
      Religion No 14 (63.6) 13 (65.0) 0.01 .927
      Yes 8 (36.4) 7 (35.0)
      Job No 16 (72.7) 16 (80.0) .723
      Yes 6 (27.3) 4 (20.0)
      Marital satisfaction Satisfied 22 (100.0) 20 (100.0) - -
      Average 0 (0.0) 0 (0.0)
      Pregnancy type Natural pregnancy 21 (95.5) 20 (100.0) 0.93 > .999
      Artificial insemination 1 (4.5) 0 (0.0)
      Parity Primipara 16 (72.7) 13 (65.0) 0.29 .588
      Multipara 6 (27.3) 7 (35.0)
      Planned pregnancy No 9 (40.9) 9 (45.0) 0.07 .789
      Yes 13 (59.1) 11 (55.0)
      Walking or stretching No 2 (9.1) 0 (0.0) 1.91 .489
      Yes 20 (90.9) 20 (100.0)
      Oxytocin No 0 (0.0) 0 (0.0) - -
      Yes 22 (100.0) 20 (100.0)
      Non-narcotic, non-continuous epidural anesthesia system No 0 (0.0) 0 (0.0) - -
      Yes 22 (100.0) 20 (100.0)
      Variables Experimental group (n = 22)
      Control group (n = 20)
      t or χ2 or z2 p-value
      M ± SD or n (%)
      Total duration of labor (min) 173.60 ± 52.56 358.85 ± 108.99 – 6.64 < .001
      Type of delivery
       Normal vaginal delivery 22 (100.0) 16 (80.0) 4.86 .043
       Cesarean section 0 (0.0) 4 (20.0)
      Apgar score of newbone
       1 min 9.00 ± 0.00 8.80 ± 0.41 – 2.18 .029
       5 min 10.00 ± 0.00 9.80 ± 0.41
      Neonatal oxygen therapy
       Yes 0 (0.0) 4 (20.0) 4.86 .043
       No 22 (100.0) 16 (80.0)
      Childbirth satisfaction (total score) 51.59 ± 3.66 32.70 ± 6.12 11.99 < .001
      Table 1. Spinning Babies Program Activities to be Performed during Labor

      Table 2. Homogeneity of Characteristics of Study Participants (N = 42)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Fisher’s exact test.

      Table 3. Differences in Childbirth Outcomes and Childbirth Satisfaction between Groups (N = 42)

      M = Mean; SD = Standard deviation.

      Mann-Whitney U-test.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