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hildren's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sexual knowledge, gender role attitude, parent efficacy for child's sex education, and marital consistency. A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9 couples (58 parents, experimental group=28, control group=30) from G city. The 5-week (5-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 theory of protection: parents as sex educators’ and used the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during July and August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 theoretical-based, client-centered, multi-metho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xual knowledge, gender role attitudes, parent efficacy for child's sex education, and marital consist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sizes of the program were .64 (knowledge), .65 (gender role attitudes), and .68 (parent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parents as effective sex educator and the role expansion of school health nurses.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hildren's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sexual knowledge, gender role attitude, parent efficacy for child's sex education, and marital consistency.
A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9 couples (58 parents, experimental group=28, control group=30) from G city. The 5-week (5-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 theory of protection: parents as sex educators’ and used the case-based small group learn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during July and August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 theoretical-based, client-centered, multi-metho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xual knowledge, gender role attitudes, parent efficacy for child's sex education, and marital consist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sizes of the program were .64 (knowledge), .65 (gender role attitudes), and .68 (parent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parents as effective sex educator and the role expansion of school health nurses.
최근 우리 사회는 초고속 인터넷망의 구축, 스마트 기기의 보급·확대에 따라 무분별한 성 관련 컨텐츠 확산이 아동·청소년의 성행태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국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68,043명을 조사한 제11차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자료에 의하면[1], 최근 10년 간 성관계 경험이 있는 중학생의 성관계 시작 연령의 평균이 낮아지고(2005년 11.7세, 2011년 11.2세, 2015년 10.7세), 중1학생의 초등학교 시기 성관계 경험률은 증가하고(2005년 1.6%, 2013년 3.3%, 2015년 2.6%) 있다. 또한 음란물로 인한 왜곡된 성문화의 유포로 다양한 형태의 초등학생 대상의 성범죄가 발생하고[2], 초등학생 시기의 성폭력의 가해 아동 수와 또래에 의한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3]. 이와 같이 성행태의 급격한 변화의 영향에 따른 초등학생 고학년의 성경험 가능성이 점차 증가하고 성폭력의 피해 및 가해의 범위가 초등학생 시기에까지 이르고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보다 적극적인 중재가 요구된다.
체계적인 성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이 올바른 성 지식을 습득하고 바람직한 성역할 태도 및 성가치관을 갖는 것은 추후 다양한 성문제 발생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4]. 이에, 초등학생의 성적 발달에 따른 변화를 포함한 타인에 대한 존중 및 평등의식, 다양한 성문제에 대한 대처방법 등을 가르치는 포괄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할 때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구분한 교육이 효과적이다[3]. 초등학교 저학년은 여러 성적 자극과 경험에 따라 개인의 성 지식과 인식수준이 매우 다양하므로[5] 이들을 위한 맞춤식 성교육이 필요하다.
실효성 있는 성교육의 미흡, 유해한 환경에의 무방비적 노출 외에도 가정에서의 자녀 성교육이 아동의 성경험이나 성폭력 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부모에 의한 성교육은 올바른 성 지식 습득을 도울 뿐 아니라, 저학년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개별교육과 역할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6]. 실제 저학년 자녀의 부모 역시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6].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와의 성에 대한 대화를 불편해하거나 부끄럽게 생각하고[7] 구체적인 성 지식과 교육 내용 및 방법 등을 잘 알지못해 자녀 성교육에 어려움을 겪는다[8]. 특히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성 지식 수준과 성교육 참여의사, 책임감 및 준비 자세가 부족하고[6] 성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해 올바른 자녀 성교육을 실시하는 데 제한적이다[9]. 효과적인 성교육을 위해서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모두 올바른 성 지식과 바람직한 성역할 태도를 가지고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키워나가야 한다[10]. 성교육에 대한 부모의 자신감은 부모가 성 관련 상황에 보다 적극적으로 직면하게 하고 자녀와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과 관련된 일치 수준이 높을 때 보다 효과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11]. 동성부모는 자녀의 성역할모델로서 중요하고 성관련상황에서 자녀에게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므로 아버지로 하여금 성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6]. 남아의 경우, 주로 어머니에 의해 성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성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는데 부족함을 느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외부의 다른 자원들(친구, 미디어, 인터넷 등)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7]. 앞서 대단위 국가 통계자료에서도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성관계 경험률이 높고 성관계 시작연령은 낮으며, 초등학생 시기 성관계 경험률(2005년 1.9%, 2013년 4.1%, 2015년 3.2%)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1]. 이와 같이 남학생의 성관련 지표가 빠르게 악화되고 있으므로, 남학생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아버지를 포함한 성교육 접근이 요구된다.
성교육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삼위일체가 되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이다[5, 12, 13]. 많은 부모들이 자녀 성교육에 대한 어려움이 발생할 때 학교의 보건교사나 지역사회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한다[14]. 따라서 학교나 보건소와 같은 지역사회에서 부모 대상 성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의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15]. 보건의료전문가인 간호사는 전문지식을 통해 올바른 성 지식과 바람직한 성역할 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참여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인 성교육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9, 16].
부모 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국외 연구들은 성교육자로서의 부모역할, 성에 대한 자녀와의 의사소통, 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와 10대 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7, 8, 12, 14, 17]. 국내의 부모 성교육프로그램은 대개 가정통신문이나 강연회 형식으로 제공되어 그 효과가 미비하였고, 유아 및 학령전기,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부모 대상으로 이루어졌지만 아버지의 참여율이 낮아 실제로는 어머니만의 교육효과를 측정하는 제한점이 있었다[9, 18, 19, 20]. 이와 같이 기존의 부모 성교육프로그램들은 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일회성의 일 방향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고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접근이 미흡했던바, 성교육 서비스의 대상을 초등학교 저학년과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로 확대하고 보다 다양한 학습방법을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 부부 간 일치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1.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가설 2.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역할 태도가 개선될 것이다.
가설 3.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부모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다.
가설 4.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의 부부간 일치정도가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부모의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 부부간 일치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표적모집단은 G광역시 소재 방과 후 교육기관에 등록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부모로 4개 교육기관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 시작 1주일 전 안내문을 통하여 모집하였다.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실험처치의 확산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다른 지역구에 위치한 초등학생 교육기관에서 표집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초등학교 2, 3학년 자녀를 둔 자, 과거 부모 성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는 자,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고 연구 목적을 이해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탈락기준은 연구수행 기간 내 참석하지 못한 경우, 전체 회기 중단 한번이라도 결석한 경우, 한 회기에 10분 이상 지각 또는 조기 종료한 경우로 선정하였다. 사전에 G*power 3.1.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측검정, 유의수준 α=.05, 검정력(1-β)=.80, 학령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한 선행연구[9]에서 핵심변인(부모효능감)의 효과크기 .78을 근거로 설정한 효과크기 d=.70을 기준으로 두 그룹 간 평균차이검정(Difference between two independent means)에 필요한 표본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각 집단별로 요구되는 최소 표본수는 그룹 당 26명(총 52명)으로 본 연구에서는 탈락 가능성을 고려하여 실험군, 대조군 각각 30명(총 60명, 그룹 당 부부 15쌍)을 선정하였다. 사전에 연구 참여자로 선정 하였으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에 1회기부터 참석하지 못한 실험군 부부 1쌍이 탈락하여 실험군 28명, 대조군 30명이 본 연구에 최종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성 지식, 성역할태도,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도구는 도구 개발자에게 도구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초등학생 또는 학부모의 성 지식 측정을 위해 Yang 등[21]과 Jin과 Park [6]이 개발한 각각 39문항과 40문항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들 도구의 신뢰도는 Yang 등[21]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값 .88, Jin과 Park [6]의 연구에서는 .76이었다. 기존 문항에서 직접적인 성행위, 성관계, 임신초기의 인공임신 중절술, 여성의 오르가즘과 남성의 발기 장애, 사정, 콘돔사용과 같이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성교육의 내용으로 부적합한 39개 문항과 내용이 중복되거나 유사한 9개 문항은 삭제하였다. 수정·보완한 도구는 정신간호학 교수 2인, 아동간호학 교수 1인, 모성 간호학 교수 1인, 성교육 전문가 1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내용타당도 계수(Content Validity Index [CVI])가 .80 미만의 한 개 문항은 삭제하였고[9] 최종 도구의 CVI 계수는 .95였다. 본 도구는 남녀 신체 구조, 역할 및 청결, 임신 및 출산, 피임 및 질환, 성폭력내용의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진위형 척도(맞다 1점, 틀리거나 모른다 0점)로 총점의 범위는 0점에서 30점까지이다. 2, 6, 7, 15, 16, 18, 19, 20, 22, 28, 30번 항목은 역 환산 처리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성 지식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 Kuder-Richardson Formula 20 (KR-20) 값은 .72였다.
본 연구에서는 Ahn 등[22]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남녀에 대한 생각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성인지력 척도 중 성역할 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가정생활, 직장생활, 사회문화, 이성관계, 사회 및 제도정책 영역에서의 남녀에 대한 생각과 태도에 대한 내용의 총 15문항으로 이루어진 5점 Likert식 척도(1=전혀 그렇지않다, 5=매우 그렇다)로 총점의 범위는 15점에서 75점까지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성역할 태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88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85였다.
부모효능감은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출간한 성교육 지침서를 기초로 Kim [19]이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 측정을 위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신체 구조, 역할 및 청결, 임신 및 출산, 양성평등, 성문화, 성폭력에 대한 교육을 자녀에게 성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내용의 총 13문항으로 이루어진 5점 Likert식 척도(1=전혀 그렇지않다, 5=매우 그렇다)이다. 가능한 총점 범위는 13점에서 6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값은 .95였고 본 연구에서는 .93이었다.
부부 간 일치도는 부부 간에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 점수가 일치하는 정도로서 위 세 가지 변인을 측정한 값의 부부 간 차이값을 사용하였다. 점수가 0에 가까울수록 일치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제1저자)는 모성간호학 전공 박사 학위자로서 성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사) 푸른 아우성’에서 성교육 전문강사 훈련과정을 이수하였다. 관련 문헌고찰과 함께 학부모지원센터와 성교육 전문기관의 성교육 프로그램 및 강의 자료를 통해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하였다. 또한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성 지식, 성태도, 부모효능감에 의미 있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9]를 수행한 바 있다.
Schuster 등[11]은 부모의 자녀 성교육 시 부모와 자녀 간 역동적 관계와 효과적인 성교육 요소에 관한 보호이론(Theory of Protection: Parents as sex educators)을 제시하였다. 부모는 자녀에게 중요한 최초의 성교육자로서 책임감과 적절한 성교육 기술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녀 성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녀가 자신의 성가치관을 가지고 사회에서 긍정적으로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경계에 대한 통제력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성 관련 문제로부터 자녀를 보호하는 데 있다. 본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은 자녀의 가장 효과적인 성교육자로서 부모를 대상으로 성 관련 위험으로부터 초등학생 자녀를 보호하는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Figure 1).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본 이론에서 보호(protection)는 경계, 경계에 대한 통제력, 지식, 가치관, 상호관계의 5가지 개념으로 구성된다. 경계(boundary)는 성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들(사용 언어, 신체노출, 신체접촉, 관계 형성 등)에 대해 허용 가능한 한계점을 의미한다. 경계에 대한 통제력 (boundary control)은 경계를 잘 만들고 유지하는 것으로 부모가 가지고 있는 성과 관련된 정보와 기본원칙을 자녀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방법 및 능력이다. 특히 지식, 가치관, 상호관계는 자녀보호의 질을 결정하는 부모의 주요변인이다. 지식(knowledge)은 생물학적 성과 같은 성과 관련된 사실에 대한 이해 정도를 뜻하고, 성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적절한 경계를 설정하고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성 폭력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할 수 있는 행동규칙과 대처 방법을 다루었다.
가치관(values)은 성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서 좋고 나쁨에 대한 견해이다. 특히 성역할은 성 관련 견해의 주요 영역으로 부모는 성역할에 관한 올바른 신념과 태도를 갖춤으로써 자녀보호에 이를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에 관한 고정관념과 성 문화를 다룸으로써 부모가 전통적인 성역할, 혼란스럽거나 불평등한 성에 관한 신념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평등한 성에 관한 가치관 및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상호관계(mutuality)는 부모와 자녀 간 그리고 부모 간 성에 대한 지식, 가치관, 기대치 등의 상호교류와 일치성을 나타낸다. 부모가 자녀 성교육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이러한 상호관계가 향상될 때, 성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부부 간의 일치성 부족은 부모 사이의 의견 차이나 충돌을 발생시킴으로써 자녀 보호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정보의 습득과 충분한 연습을 통해 성교육자로서 자신감과 부모효능감을 키워 자녀와의 대화를 시작하는 것을 돕고 부모 간의 상호교류와 일치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과 부모 간의 일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중재 대상으로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를 참여시켰고 부모의 자신감과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효과측정의 지표로서 활용하였다.
적절한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위하여 이론적 기틀, 문헌고찰, 요구도 조사를 수행하였다. 보호이론에서 제시한 부모의 자녀 성교육을 위한 5가지 구성요소를 고려하고, 교육과학기술부[23]와 성교육 전문기관[24]에서 제공하는 성교육자료 및 선행연구[6, 19, 20, 25]를 중심으로 문헌고찰이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작성한 질문지를 통해 자녀 성교육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 대상자 중 5쌍의 부모가 참여하였다. 부모 성교육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내용과 평소 자녀 성교육시 어려웠거나 궁금했던 점에 대해 질문하였다. 그 결과, 성교육에 포함될 내용으로 임신과 출산, 생식기의 역할과 보호, 성폭력 대처방법, 성 고정관념과 성차별, 평등한 성역할과 가치관, 성 예절 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자녀 성교육시 설명의 수준과 방법, 자녀의 성적 변화나 사춘기 특성,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음란물이나 남녀 신체접촉 장면에 노출되는 문제 등에 관해 해소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5개의 주제가 최종 선정되었다(Table 1).
Table 1
Sex Education Program
본 중재프로그램의 운영전략은 성 지식, 기준 및 규칙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고, 부모가 성교육자로서 자신감을 갖고 지속적 성교육 유지능력을 기르고 성 관련 신념과 태도를 개선하며, 자기성찰과 참여자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었다. 부모가 성 관련 문제로 자녀와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황 사례를 중심으로 소그룹 학습, 자기반추(self-reflection), 참여자 간 상호 작용을 도모하기 위한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방법이 활용되었다. 사례 활용 방법은 과거에 문제와 유사한 상황을 나타내는 사례를 제시한 후 이전에 어떻게 문제를 해결했었는지 생각해보고 새로운 문제 해결방법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26].
개발된 자녀 성교육 프로그램은 정신간호학 교수 2인, 아동간호학 교수 1인, 모성 간호학 교수 1인, 성교육 전문가 1인의 전문가집단으로부터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내용 타당도는 선행연구[9]에서 사용한 평가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총 6문항의 4점 척도(매우 적합하지 않다 1점에서 매우 적합하다 4점)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목적이 간호학과 관련되는지, 교육내용이 연구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인지, 교육내용이 프로그램의 목적 달성에 적절한지, 교육내용이 부모의 종속변인 향상에 적절한지,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방법이 프로그램의 목적 달성에 적절한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 실시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는 데 적합한지에 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각 전문가에게 본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을 보여주고 평가를 받은 결과 내용타당도 계수(CVI)는 .97이었다.
실험군의 사전조사는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첫날 교육 장소에서 시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도 표적모집단으로 선정한 두 기관에 연구자가 동일한 날짜에 방문하여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중재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실험군 14쌍의 부모에게 총 5주(주 1회)에 걸쳐 총 5회기(회기 당 90분)로 진행하였다. 회기 구성을 위해 자녀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9]의 프로그램의 주제 및 제공 방법(4회기)을 참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점과 보호기능 향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성 평등을 포함한 사회적 성과 긍정적인 성을 통한 성 관련 가치관을 강화하기 위해 1회기가 추가되었다. 교육 장소는 방과 후 교육기관의 교실이었고 교육시간은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참고하여 토요일 오전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회기별 주제 및 내용은 Table 1과 같다.
매 회기는 들어가기(10분), 전개하기(70분), 마무리(10분)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들어가기 단계에서 출석 확인, 지난 주 학습한 자녀지도방법의 수행 여부, 수행하면서 느낀 점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눈 후 당일 학습주제와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전개하기 단계에서 각 회기마다 주제에 맞게 선정된 사례를 제시하고 사례와 유사한 경험 나누기와 대처 방법에 대해 소그룹별 토의와 팀별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후 각 사례별 대처방법 등에 대해 파워포인트, 그림, 동영상을 활용한 보조강의를 진행하고 학습 자료를 제공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 소그룹 학습과 강의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대상자들끼리 역할극 활동으로 직접 연습해 보도록 하였다. 전체 구성원들과 공유하기 위해 전반적인 소감 및 과거의 경험과 새로 습득한 내용의 차이점 발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으며 학습내용을 실제 자녀 성교육에 적용해 보도록 격려하였다. 필요한 경우 회기 내용과 관련된 개별적인 상담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각 회기마다 퀴즈활동이나 과제수행 정도에 따라 상품을 제공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소그룹은 한 그룹 당 7명의 총 4팀으로 구성되었다. Michaelsen 등[27]은 소그룹 교육은 각 팀원들이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대안을 찾으며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는 토론의 과정으로 적절한 집단의 크기는 6~8명으로 제시하였다. 팀 구성은 연구자가 미리 정해 놓은 4개의 그룹 이름을 대상자 수만큼 폐쇄된 상자 안에 넣어놓고 각 개인이 하나씩 뽑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구성된 각 그룹은 팀장을 정한 후 팀장을 중심으로 팀의 활동 내용에 따라 팀원들의 역할을 정하고 팀장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팀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조사는 실험군의 5주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사전 조사와 같은 장소에서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실험처치인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을 연구가 종료된 후 동일하게 제공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 27일부터 8월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모두 본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설문지 작성 시간은 약 10~15분이었으며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작성이 끝난 직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받은(2-1041055-AB-N-01-2015-0032) 후 진행 되었다. 연구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자료 사용의 제한, 비밀보장, 연구 참여로 인해 가능한 부작용이나 위험성 등에 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 도중 언제라도 참여 철회가 가능하고 어떠한 불이익도 없음을 공지하였다. 자발적 참여에 대한 서면 동의서는 대상자의 익명성 보장을 위해 사인이나 기호로 작성하였고, 수집된 모든 자료는 연구자 개인 노트북과 USB에 저장한 후 암호화해서 논문 게재 후 폐기할 예정이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는 성교육 책자와 소정의 사은품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사전에 Kolmogorov-Smirnov test를 이용하여 정규분포성을 확인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요변인들은 모두 정규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20, p=.117~.139).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측정을 위한 주요변인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실험처치 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한 성 지식, 성역할 태도, 부모효능감의 두 집단 간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각 평가지표의 부부 간 일치정도는 한 쌍의 부모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집단별로 분석단위가 반감됨에 따라 주요 변인들의 정규분포성이 확보되지 않아 (z=.22~23, p=.038~.048) 독립차이 검정의 비모수검정 방법인 Mann-whitney U 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 34.01(±3.74)세, 대조군 35.04(±2.54)세였다(Table 2). 교육수준은 대졸이하 48명(82.8%), 대학원 이상 10명(17.2%)이었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35명(60.3%), 월수입이 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33명(56.8%)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았고, 맞벌이 부부가 대부분(56명, 96.6%)을 차지하였다.
Table 2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in Variables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 사전조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일반적 특성과 효과측정 변인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은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전·후 성 지식, 성역할 태도, 자녀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 부부 간 일치도의 점수 차이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4개의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Table 3). 실험 전·후 차이값에 대한 그룹 간 차이검정에서 성지식은 실험군 6.68±2.72점, 대조군 -0.10±0.30점, 성역할 태도는 실험군 8.14±5.69점, 대조군 -0.03±0.32점, 부모효능감은 실험군 8.75±4.94점, 대조군 -0.10±0.31점으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개선되었다(성 지식 t=13.56, p<.001; 성역할 태도 t=7.86, p<.001; 부모효능감 t=9.80, p<.001). 본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성 지식 .64, 성역할 태도 .65,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 .68로 산출되었다.
Table 3
Comparison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after Treatment
각 효과측정 지표의 부부 간 일치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 전·후 부부 간 점수 차이값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분석 결과, 성 지식 점수 차이는 실험군 -0.72±0.60점, 대조군 0.08±0.48점, 성역할 태도 점수 차이는 실험군 -4.59±3.01점, 대조군 -0.19±0.52점, 부모효능감 점수 차이는 실험군 -1.52±1.78점, 대조군 0.21±0.20점으로 실험군에서 부부 간의 점수 차이가 감소하여 일치도가 향상되는 변화를 보였고, 그 변화된 정도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성 지식 z=-1.91, p=.048; 성역할 태도 z=-2.34, p=.023; 부모효능감 z=-2.01, p=.039).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은 이론 기반, 대상자 중심, 다양한 학습법을 활용한 점을 들 수 있다. 성 교육자로서 부모의 역할과 기능,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구성요소를 제시한 보호이론을 활용함으로써 심리사회중재의 체계성과 과학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관련 문헌고찰과 사전 요구도 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교육내용, 방법, 시기 등을 선정하는 데 반영함으로써 대상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의 주요 운영전략은 사례기반 소그룹 학습방법이었다. 실제적인 사례를 활용하고 소그룹활동을 통해 자기성찰과 상호작용을 극대화하였으며 역할극을 통해 직접 시연해 보임으로써 실험을 통하여 지식의 변화 수준을 넘어 수행능력과 태도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이와 같이 부모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은 경험나누기, 개방적인 의견교환,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해결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20]. 실제로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의 평가 및 소감에서 아버지의 성교육 참여의 중요성, 아버지의 고정관념이 바뀐 점, 자신의 자녀가 성폭력의 피해자 뿐 아니라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경각심, 실제상황에서의 대응능력 향상 등 성 관련 상황에서 수행능력, 태도, 가치의 변화를 시사하는 반응들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프로그램은 개발 전 예비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나,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아버지를 포함하고 다양한 학습방법을 활용한 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의 성 지식, 성역할 태도,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 부부 간 일치도를 증진시키는 데 .60 이상의 효과크기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효과의 측정 변인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은 실험군의 성 관련 지식수준을 향상시켰다. 이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다수의 선행연구[9, 19, 21]에서 중재 적용 후 자녀의 성적발달특성 및 위생, 성폭력을 포함한 이상 성행동, 양성 평등성 등의 성 지식 점수가 상승한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나, 사춘기 자녀를 위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한 Park [20]의 연구에서는 중재 적용후 성 지식의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지식은 부모가 성교육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본 토대가 되고 성교육자로서의 자신감과 관련된다[11]. 본 연구 참여자들도 성에 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자녀의 성적 질문이나 행동에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성지식을 전달할 수 있다는 걱정을 보고하였고, 본 프로그램을 통해 정확한 성 지식과 적절한 활용방법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은 참여자의 성역할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선행연구[9, 20]에서 소그룹 활동과 역할극 활용을 통해 억압되고 차단된 성 태도에서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성 태도로의 변화, 성역할을 포함한 부모의 성 태도가 향상된 연구결과들과 유사하다. 부모의 성역할에 관한 올바른 신념과 태도는 자녀가 확고한 성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11].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의식이 많을수록 성폭력 피해 및 가해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성폭력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양성 평등의식과 올바른 성역할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28]. 향후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성 관련 지식 제공과 같은 인지적 측면 외에 사회적성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위협적 성 환경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며, 올바른 성 가치관 형성을 도울 수 있는 주제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자녀 성교육에 대한 부모효능감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이는 선행연구[9, 19, 20]에서 부모교육을 제공한 후 부모가 기존에 알고 있던 성 관련 내용을 자녀에게 실제적으로 교육시키는 구체적인 방법 등을 알게 되면서 부모 효능감이 향상되었다는 보고와 일치한다. 부모효능감은 성교육자로 서 부모의 자신감과 관련되고[11], 부모를 통해 적절한 성교육을 받은 자녀들은 성문제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므로[29], 성교육을 통한 부모효능감 향상은 자녀의 건강한 성행동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도 실제 가정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를 기반으로 팀원들간에 과거 대처방법 및 바람직한 문제해결방법을 찾아나가는 소그룹 학습과 실제 적용해보는 역할극 연습을 통해 자녀에게 보다 자신있고 자연스럽게 성교육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을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적용 후 아버지와 어머니의 지식, 성역할태도, 부모효능감의 점수 차이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부부 간 일치도가 향상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아버지가 참여한 부모 성교육 프로그램이 드물고 부모 간의 점수 차이를 고찰한 경우가 없어, 기존 연구와 본 변인의 수치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웠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부모 간의 성 관련 가치나 태도의 일치성은 성 발달과 그 결과에 크게 기여한다[30]. 부부 간 일치성이 증가할수록 유해한 성 관련 환경으로부터 자녀의 보호기능이 강화되며[11], 부모의 참여를 포함한 중재가 부모-자녀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함으로써 자녀의 성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1].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성에 관한 가치와 태도 면에서 부모 간의 불일치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어머니가 자녀 성교육에 관심 및 실시 정도가 높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녀와 의사소통하는 반면, 아버지는 성 지식이 부족하고 자녀와 성에 대한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17] 어머니보다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하고 남녀평등의식이 약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32]. 본 연구의 참여자들도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성 지식 점수가 낮고, 주로 어머니를 통해 정보를 얻어 정보 습득에 제한적인 경우가 많으며, 성역할 태도 점수가 낮고 성역할 고정관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에서 양성평등적인 태도가 요구되는 다양한 상황을 보여주는 사례들에 대한 바람직한 문제해결방법을 찾아가는 소그룹 학습을 통해 바람직한 성역할 태도가 비슷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효과적인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하기 위해 부부 간 일치성과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이를 효과검증을 위한 지표로 활용하는 방법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 지역 대상의 편의표집으로 인한 연구결과의 일반화 어려움, 본 연구대상에 적합한 표준화된 연구도구 미비에 의한 측정의 문제, 사전·사후 측정자의 맹검을 수행하지 못한 점, 자녀 성교육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인 자녀의 변화에 대한 자료수집을 하지 못한 점 등의 제한점을 갖는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부모 성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법 활용과 아버지를 포함한 부모를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 부모 대상의 자녀성교육 프로그램이 자녀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중재 연구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학교 및 지역사회 정신보건 현장에서 부모교육의 중요성 인식 제고, 부모교육의 활용 및 활성화, 학생이나 자녀를 위한 성교육자 외에 성인 대상의 부모 성교육자로서 보건교사를 포함한 지역사회간호사 및 정신보건간호사의 역할 확대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이론 기반, 대상자 중심, 다양한 학습법을 활용한 부모를 위한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본 자녀성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참여자의 성 지식, 성역할 태도, 자녀 성교육을 위한 부모효능감, 부부 간의 일치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은 제1저자 이은미의 박사학위논문을 수정하여 작성한 것임.
This manuscript is a revision of the first author's doctoral dissertation from Chosun University.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