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Acad Nurs > Volume 54(4); 2024 > Article
Research Paper
상급종합병원 환자와 보호자의 전문간호사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전미경1orcid, 최수정2orcid, 한지은3orcid, 권은경4orcid, 박정희5orcid, 김정혜6orcid
Experienc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Mi-Kyeong Jeon1orcid, Su Jung Choi2orcid, Ji Eun Han3orcid, Eun Kyung Kwon4orcid, Jeong Hee Park5orcid, Jeong Hye Kim6orci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24;54(4):594-606.
DOI: https://doi.org/10.4040/jkan.24069
Published online: November 4, 2024

1국립창원대학교 간호학과

2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3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4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5서울아산병원 간호부

6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1Department of Nurs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Korea

2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Department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ngnam, Korea

4Department of Nursing,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5Department of Nursing,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6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 University of Ulsan, Seoul, Korea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Choi, Su Jung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 Science, Sungkyunkwan University, 115 Irwon-ro, Gangnam-gu, Seoul 06355, Korea Tel: +82-2-2148-9927 Fax: +82-2-2148-9949 E-mail: sujungchoi@skku.edu
• Received: June 25, 2024   • Revised: August 24, 2024   • Accepted: October 10, 2024

© 2024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 64 Views
  • 6 Download
prev next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have received medical services from advanced practice nurses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in Korea.
  •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ur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0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o had received medical services from advanced practice nurses for more than six months at four tertiary hospitals from November 29 to December 28, 2023. Verbatim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Results
    The four themes extracted from the experienc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ere as follows: unfamiliar medical personnel encounter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exhibited excellence, companions to light my way through the tunnel of illness, and an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that must be activated urgently.
  • Conclusion
    The study’s findings indicate tha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view the care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s excellent, reliable, and holistic. Research suggests that advanced practice nurses are valuable healthcare professionals in team-based care. The findings suggest that hospitals should utilize an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ensure the quality of care.
1. 연구의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해 양적인 의료서비스 수요가 늘어나고, 또한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질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의료서비스 수요는 계속 증가하나 의료시설이나 인력 등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에서,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팀 기반 치료(team-based care) 개념이 대두되었다. 의사, 간호사, 약사, 물리치료사, 영양사 등 두 종류 이상의 전문직이 참여하는 팀 기반 치료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환자의 치료 결과가 개선됨과 환자 만족도가 상승함이 밝혀졌다[1,2]. 다학제 간 협력적 실무를 제공하는 팀 기반 치료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1], 이러한 세계적 변화는 우리나라에도 적용되어 상급종합병원과 일부 종합병원 환경에서 팀 기반 치료가 이루어 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팀 기반 치료는 병원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지만, 일반적으로 상급종합병원에서는 담당의사의 역할을 하는 전문의를 중심으로 전담의, 수련의 등의 의사, 전문간호사 또는 전담간호사와 약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3-5]. 이러한 팀 기반 치료에 포함된 전문간호사는 의사로부터 위임된 동맥혈 채취, 복수 천자,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등의 검사 업무나 발사(stitch out), 중심정맥관 제거, 인공호흡기 모드 설정 등 기존의 간호업무와는 다른 수준의 의료관련 업무를 하면서 간호사의 확장된 역할을 하고 있다[6].
전문간호사의 임상 결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미국과 캐나다, 뉴질랜드와 호주 등에서는 전문간호사제도 활용으로 사회적 의료비용이 절감되고, 재원기간과 사망률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고[7-10], 우리나라에서는 전문간호사가 주도한 병원간 전원 업무에 관한 임상결과가 의사가 주도한 것과 다르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11]. 임상 결과뿐만 아니라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5,10]와 의료진의 만족도[9]도 높았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시행된 전문간호사와 관련된 질적연구는 전문간호사의 업무경험[12-15]이나 교육경험[16], 전문간호사제도에 대한 의료인들의 경험[17,18]에 국한되어 있어,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를 받은 환자나 보호자의 경험 측면에서도 반드시 질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전문간호사제도가 도입되고 의료현장에서 전문간호사로부터 직접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은 환자나 보호자가 전문간호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의료서비스 대상의 시각에서 탐색할 필요가 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참여자들의 생각이나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집단 면접법으로서 우수한 질적 자료를 확보하는 유용한 자료수집방법이자 연구방법이다[19].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은 잘 알려지지 않는 현상을 미리 선정해 놓은 주제를 중심으로 탐색하는 연구방법으로, 요약적이고 구조적인 분석을 통해 주요 요소를 추출하여 농축함으로써 현상을 추상적으로 설명하는 텍스트 분석기법이다[20,21]. 따라서 본 연구는 FGI와 질적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종합병원의 환자나 보호자의 전문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의료서비스 경험을 확인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보호자는 전문간호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전문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경험은 어떠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질문은 ‘전문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의료서비스 경험은 어떠한가?’였다.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나 보호자의 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된 FGI를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2. 연구참여자
참여자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전문간호사가 제공한 의료서비스를 직접적으로 경험한 20세 이상의 환자 또는 보호자이다. 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의료서비스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할 수 있어야 하므로 진단 후 최소 6개월 이상 병원을 이용한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참여자 선정은 수도권에 위치하고 전문간호사제도를 운영하는 4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이루어졌다. 4개 상급종합병원에 종사하는 전문간호사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 후, 전문간호사와 전문간호사로부터 받은 의료서비스 경험을 생생하고 풍부하게 진술할 수 있는 환자와 보호자를 추천받는 목적적 표집법[19]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참여자 선정을 위해 연구참여자가 환우와 가족을 소개해 주는 눈덩이 표집법도 이용하였다. 다양한 진료과의 전문간호사 경험을 포함하고자 참여자는 내과군과 외과군, 소아청소년과 등의 진료과가 고루 포함되도록 하였다. 면담을 진행하면서 더 이상 새로운 의미 있는 진술문이 나오지 않아 자료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었을 때 참여자 모집을 중단하였다.
3. 자료수집
2023년 11월 29일부터 12월 28일까지 책임연구자가 주도적으로 FGI를 진행하였고, 제2연구자가 연구보조진행으로 참여하였으며, 제3~6연구자가 각각 1개의 FGI에 참여하면서 필드노트를 작성하며 인터뷰 진행을 보조하였다. 4개의 FGI에서 총 20명의 참여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질문은 전문간호사와 관련된 선행연구[17,18]와 임상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6명의 연구자 간 회의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먼저, 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전문간호사가 제공한 의료서비스 경험에 관한 총체적인 질문과 다른 직종과의 의료서비스 차이점, 제공받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종류,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경험, 전문간호사가 제공한 교육 및 상담 경험 등에 관한 부가적인 질문을 준비하였다.
FGI는 연구참여자의 편의성과 접근성, 프라이버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20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방역지침 등을 고려해 시기와 인터뷰 방법을 협의해 정하였다. 1개의 FGI는 경기도에 위치한 A병원 암센터 교육실에서 대면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3개의 FGI는 온라인 비대면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각 포커스그룹에는 4~7명의 참여자가 포함되었으며, 면담 시간은 81분에서 122분까지 평균 100분가량이 소요되었다. 면담 질문은 “전문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의료서비스 경험은 어떠하셨나요?”라는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여 자유롭게 참여자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면담 시 먼저 면담진행자가 자기소개를 하고, 참여자들이 스스로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서로 익숙해진 후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질문에서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질문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핵심 단어나 문장을 파악하여 보다 심층적인 면담으로 진행하고자 하였고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면담 시 선입견이 담긴 질문을 배제하였다. 면담 마무리 단계에서는 면담 진행자가 면담 주요 내용을 참여자들에게 디브리핑하여 참여자가 전달하고자 한 바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연구자들은 현장노트에 참여자의 얼굴 표정, 몸짓, 억양 등 감정을 반영하는 비언어적인 표현을 서술하여 분석에 참고하였다. 면담을 진행한 연구자가 면담 48시간 이내에 1차적인 전사를 완료하였으며, 2명의 연구자가 교차하여 전사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전사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며 자료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4개의 FGI가 이루어진 후 자료포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자료수집을 종료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자료수집과 분석은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모든 연구자들은 각각의 FGI가 끝나면 면담 내용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디브리핑을 한 후 대상자 선정, 면담질문의 적절성과 차기 면담 시 추가적으로 확인할 내용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자료분석은 Microsoft Excel 2007 (Microsoft)과 MAXQDA12.0 (VERBI Software)을 이용하여 Elo와 Kyngäs [22]가 제시한 귀납적 내용분석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자료가 포화되어 자료수집이 완료된 후, 전사된 내용과 인터뷰 진행 중 작성된 메모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준비단계에서 참여자의 진술들을 문장단위로 읽으면서 자료와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녹음된 자료를 듣고, 참여자들의 인터뷰 자료를 읽으면서 자료와 친숙해지고자 노력하였다. 조직화 단계에서는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의미 있는 진술문을 개방 코딩하고 하위 범주를 생성하였다. 개방 코딩 된 자료들을 다시 범주화하여 추상화하는 과정을 거쳐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일반화와 추상화 과정 중에는 원자료로 돌아가 비교하면서 진술 맥락 속에서 의미가 분리되지 않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현상이 충분히 설명될 때까지 연구자간 토론을 거쳐 조직화 과정을 반복하였다. 총 6차례의 연구 회의를 통해 모든 연구자들이 분석결과에 합의를 이루어 최종적으로 자료분석을 완료하였다.
5. 연구자의 준비 및 연구의 엄밀성 확보
본 연구의 책임연구자는 대학원에서 질적연구방법론을 교육하고 있으며, 다수의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전문학술지에 연구결과를 게재하였다. 제2연구자와 제6연구자는 현재 전문간호사 석사 과정을 운영하는 교수자로, 평균 16년 이상을 상급종합병원의 전문간호사로 재직한 경력이 있으며, 다수의 질적연구를 수행하고 연구결과를 게재하였다. 나머지 세 명의 연구자는 평균 15.5년의 전문간호사 경력을 가졌으며, 질적연구 세미나와 워크숍에 참석하는 등 질적연구 역량을 강화하여 간호현상에 관한 통찰력을 갖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자들은 신뢰성(credibility), 적합성(fittingness), 감사가능성(auditability)과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을 높여 질적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23]. 우선 신뢰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연구 현상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고, 이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참여자를 목적적으로 표집하였다. 연구자들은 참여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신뢰관계를 형성하였고, 면담 내용의 누락이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매 면담이 종료된 후 각 참여자들과 디브리핑을 통해 면담의 주요 내용을 재확인하였다. 참여자 검증은 두 명(8번과 11번)의 연구참여자에게 자료분석 결과를 보여주면서 참여자가 전달하려고 했던 의미와 일치하는지와 연구결과가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반영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두 명의 연구참여자 모두 연구결과에 동의하였다. 적합성 충족을 위해 참여자의 진술이 반복되어 새로운 내용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 상태인 이론적 포화에 이르기까지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을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적용가능성 충족을 위해 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수술 경력, 진료과 등 구체적 의료정보와 자료수집 절차를 제시하고 연구 현상에 대해 풍부하게 기술하였다. 전문간호사제도를 운영하는 1명의 상급종합병원 간호관리자와 전문간호사 경력을 보유하고, 현재 전문간호사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수 1인에게 연구결과를 읽어보게 하여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감사가능성의 확보를 위해 연구자는 Elo와 Kyngäs [22]의 연구 방법과 자료의 수집 및 분석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간호학자 1인에게 연구결과 평가를 의뢰하여 연구 과정 전반과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확인가능성은 신뢰성, 적합성, 감사가능성을 확립함으로써 편견을 줄이고 중립성을 유지하면서 획득될 수 있었다.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가정과 해석에 대해 괄호 치기하며 의식적으로 연구자의 선입견과 주관을 배제하고자 노력하였다. 실무에서 전문간호사로 업무를 하고 있는 제3, 4, 5 연구자는 직접적으로 면담을 진행하지 않았으며, 면담자료는 참여자 번호로 필사되어, 자료분석 시 필사자료만으로는 참여자 추정을 막을 수 있었다. 심층면담과 FGI에 사용할 수 있는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24]를 사용하여 연구과정을 점검하였다.
6. 윤리적 고려
연구 시작 전 삼성서울병원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다(IRB FILE No: SMC 2023-11-032-001). 연구자는 면담을 시작하기 전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및 연구참여자의 권리, 면담 내용이 녹음되고 전사됨을 설명하였다. 면담 내용을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하고 익명성을 보장하며 연구 도중 언제든지 연구 참여 철회를 요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이익은 없음을 설명한 후 이에 대한 서면 동의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면담 내용의 녹음과 전사 자료는 연구가 종료된 후 3년간 보관 후 폐기됨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는 상급종합병원에서 전문간호사로부터 의료서비스를 받은 환자와 보호자 2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는 30대 4명, 40대 6명, 50대 4명, 60대 2명, 70대 4명으로 평균 연령은 53.5세였으며 남성 4명, 여성 16명이었다. 환자 14명, 보호자 6명이었으며, 17명은 환자가 수술한 경력이 있었고, 3명은 없었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가 소속되어 일하는 부서에 따라 종양전문간호사, 흉부외과전문간호사, 정형외과전문간호사, 아동전문간호사, 상처장루전문간호사, 장기이식전문간호사, 신경외과전문간호사, 소아중환자전문간호사라고 불렀다(Table 1).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 경험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555개의 의미 있는 진술에서 123개의 개방코드를 도출하여 11개로 범주화하였고, 최종적으로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도출된 주제는 ‘진료 과정 중 만나게 된 생소한 의료인, 전문간호사’, ‘탁월성을 갖춘 의료전문가’, ‘병마의 터널에서 발밑을 밝혀 주는 동반자’, ‘활성화가 시급한 전문간호사제도’였다(Table 2).
1. 주제 1: 진료 과정 중 만나게 된 생소한 의료인, 전문간호사
참여자들은 상급종합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면서 ‘전문간호사’라는 직종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모든 참여자들은 병원에 오기 전에는 전문간호사라는 의료인을 알지 못했고, 현 병원을 이용하면서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를 처음 받게 되었다. 그런데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라는 직종은 특이하게도 모든 진료과에 있는 의료인이 아니었으며, 그 역할도 기존에 알고 있던 간호사와 달라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기가 어려웠다.

1)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낯선 전문간호사제도

참여자들은 상급종합병원으로 전원을 오면서 진료과정 중 전문간호사라는 낯선 의료인을 만났다. 일부 참여자들은 같은 질병으로 진료를 받던 중 종양내과나 외과 등으로 전과가 되면서 전문간호사라는 의료인을 처음으로 접하였다.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는 환자가 주치의를 선택하듯 선택한 과정이 아니라, 병원과 담당의사를 선택하면서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 전문간호사는 환자가 선택하여 만나는 것이 아닌, 진료팀의 일원으로 만나게 되는 자연스러운 치료과정이었다. 전문간호사는 입원 중에는 회진시간 과정 중이나 정규 근무 시간에 만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고, 외래 진료 시에 담당의사의 진료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참여자들의 전문간호사와의 만남과정은 병원마다, 같은 병원 내에서도 진료과마다 달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수 검사하고 이제 진단이 거의 나왔을 때 이제 S병원으로 이전(전원)을 했는데요. 저는 전문간호사라는 직업이 있으신 분을 S병원에서 처음 봤어요. (참여자 19)
산부인과는 사실 혈액종양내과가 없어요. 난소암은 혈액종양내과를 가지 않고 바로 전문간호사 선생님하고 상담을 하는 거예요. 처음에는 특이했죠. (중략). 같은 병원인데도 산부인과에는 전문간호사가 없었는데, 혈액종양내과에서는 전문간호사라는 의료진이 있어서 어떤 사람인지 낯설었어요. (참여자 9)

2) 생소한 전문간호사의 존재와 역할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받으면서 기존의 간호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가 아닌, 의사가 하는 업무를 하는 능숙한 이 의료진들이 과연 누구인가 궁금해했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들에 대해 의사인 것도 같고, 교육과 상담에 능숙하여 수간호사처럼 경력이 있는 간호사인 것도 같았지만, 기존에 알고 있던 의사와 간호사와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새로운 직종의 의료인이라고 생각하였다. 일부 참여자는 전문간호사가 어떤 사람인지 검색해 보기도 하였다.
저는 태어나서 전문간호사라는 게 있다는 걸 이 병원에서 처음으로 알게 돼서 좀 생소해서 저도 이제 막 검색도 해보고 이분들이 좀 다른 간호사와 틀린 점이 뭘까 이런 것도 알아보기도 했었는데. (참여자 11)
처음에는 전문간호사인지 몰랐고요. 그냥 이제 상처 부위 치료를 해주시러 오셨는데 되게 친절하시고 여러 가지로 되어질 진행 과정이랑 친절하게 안내를 해주세요. 그래서 이분은 그럼 외과 (의사)선생님이신가 이런 이제 생각을 했었어요. (중략). 그리고 저희 주치의 교수님하고 항상 같이 오시더라고요. 그래서 이제 저는 그때 이제 잘 몰랐을 때는 의사 선생님이신가 했는데 일반간호사와 차원이 다른. (참여자 17)
2. 주제 2: 탁월성을 갖춘 의료전문가
참여자들은 낯설었던 전문간호사를 계속 만나면서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질적인 의료서비스에 만족하면서 전문간호사를 전문가로 인정하게 되었다. 전문간호사를 만나기 전에는 회진시간이나 외래 진료실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의사들에게 질병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들었다면, 전문간호사를 만나고 나서는 질병에 대해 더 이해하기 쉽고 실제적인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특히 바쁜 의사보다는 더 편하게 질문할 수 있는 전문간호사에게 질병과정에 대해 질문을 하고, 의견을 구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들이 전문 지식과 임상경험을 갖추었다고 여겼다.

1) 전문 지식과 다양한 임상경험을 갖춘 전문가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를 전문 지식을 갖추고,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추고 있다고 인정하였다. 참여자들은 질병과정의 진단부터 상급종합병원 치료까지 긴박한 과정을 겪으면서 의료진의 설명이나 의료행위를 보고 의료진의 전문성을 판단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가 좌심실 보조장치(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등의 중환자 장비관리 지침, 체외막산소요법(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치료 가이드라인, 최신 당뇨병 치료지침, 감염관리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거나, 수술 상처나 장루에 대해 전문적으로 치료해 주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문간호사를 해당 의료분야의 전문가로 인정하고 있었다.
전문간호사 선생님들 만나서 저희 아이 엘바드(LVAD)라든지 심장이식이라든지 아니면 여러 가지 저희 아이가 이제 심장 재활 운동도 하고 있거든요. 선생님들을 뵈면 경력도 경력이지만 사실 본인이 갖고 있는 그 분야의 전문성이 굉장히 높으시더라고요. (참여자 18)
근데 딱 오시자마자 (전문간호사)선생님께서 제 장루를 보고 지난주보다 장이 많이 부어있다 그러시더라고요. (중략). 소장의 끝부분이 장으로 나와 있으니까 그것만 보시고도, 전문간호사 선생님은 워낙에 그런 분들만 보시기 때문에 다른 장루 환자들하고 이렇게 더 케이스를 많이 아시니까··· 그런 것들이 되게 중요하거든요. (참여자 13)

2) 내 질병을 스스로 관리하도록 돕는 조력자

전문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증상, 치료, 합병증과 같은 질병과정에 대해 미리 자세하게 설명해 줌으로써 환자와 가족의 질병과정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환자와 가족이 스스로 자신의 질병에 대처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였다. 환자가 겪고 있는 어려운 상황에서 다른 환자들은 어떻게 적응했는지 조언을 구하고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환우를 연결해 주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가 같은 질병을 가진 환자 모임을 만들거나 지원하면서 환자와 가족에게 용기를 북돋아주고, 질병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분야에 다양한 환자 경험을 이미 많이 가지고 계시잖아요. (중략). 퇴원 교육 때도 Q&A 같은 거를 많이 해 주셨는데 이론적인 것뿐만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환자가 퇴원 후에 갖는 궁금한 점들 이런 것들을 많이 다뤄주셔서 좋았어요. (참여자 15)
소아 당뇨 때 선생님께서 모임을 만드셔서 환자들 모임을 주선하시고 계속 프로그램 같은 걸 운영하시면서 주기적으로 간호사뿐만 아니라 환자들끼리도 서로 알아갈 수 있게끔 하셨었거든요. (참여자 8)

3) 의사와 환자 간의 사각지대를 채워주는 대체불가 의료인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의 상담과 면담을 통해 팀 기반 치료의 혜택을 제공받고 있었다. 팀 기반 치료에서는 의료진의 치료 지시나 설명이 일관적이기 때문에, 꼭 의사에게 궁금한 점을 묻지 않아도 언제든 연락이 닿는 믿음직스러운 의료인으로 전문간호사를 인정하고 있었다. 전문간호사가 없는 병원이나 진료과에서 진료를 받을 때 참여자들은 짧은 진료시간에 시간에 쫓겨 주치의에게 질문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오히려 의사에게는 묻기 어려운 사소한 것까지 전문간호사에게 물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간호사가 포함된 팀 기반 치료에 만족도가 높았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를 자신들의 미충촉 의료를 채워줄 수 있는 없어서는 안 될 의료인이라고 하였다.
의사선생님에게 굳이 안 하셔도 될 질문을 하니까 시간이 되게 많이 딜레이 되고 사실 그랬잖아요. 교수님하고는 기다리는 환자가 많아 금방 나와야 하는데 전문간호사 선생님들이 다 대답을 해 줄 수 있으니까 되면 환자들이 훨씬 더 물어보는 것도 편하죠. (참여자 9)
교수님들은 아무래도 조금 그런 권위나 이런 부분도 있고 하셔서 부담스러운 부분은 있기 마련이에요. 진료시간에 정말 한 1분도 못 물어보고 나오죠. 교수님도 나머지는 앞에 전문간호사 선생님한테 물어보라고···. (참여자 16)
3. 주제 3: 병마의 터널에서 발밑을 밝혀주는 동반자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와의 관계를 단순한 의료인과 환자 관계에 머물러 있지 않다고 느끼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와의 관계가 병원에 와서 진료를 받고 퇴원할 때까지, 또는 외래 과정 중 만나는 일회적인 관계가 아니라, 나의 질병과정을 함께 하고 더 나아가 나의 안녕을 가장 반겨주는 관계로 발전했다고 하였다. 특히, 면담 중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들의 이름을 기억하며, 그들을 의미 있는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전문간호사와는 서로의 이름을 기억하고 불러주는 특별한 관계이자 서로의 안위를 걱정하는 인간적인 관계라고 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전문간호사들이 자신을 진심으로 대해주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는데, 처음에는 전문간호사들에게 의료서비스를 받는 관계였지만, 현재는 참여자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바쁜 전문간호사들에게 도움을 주려고 하였다.

1) 이름을 기억하고 불러주는 의미 있는 관계

질병을 치료하면서 환자나 보호자는 병원에서 많은 보건의료인을 만나기 때문에 이름을 기억하기 어려워 간호사, 의사 등의 직종으로 기억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이하게도 참여자들은 자신이 만나는 전문간호사들의 소속이나 직함은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았지만 모두 전문간호사의 실명을 언급하면서 면담을 하였다. 전문간호사의 이름은 지속적으로 전문간호사에게 설명을 듣고, 상급 실무를 제공받으며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모든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들 역시 의무기록을 보지 않아도 자신의 이름을 이미 알고, 질병과정을 기억하고 있다고 하였다. 전문간호사와 환자, 보호자는 일반적인 환자-간호사 관계보다 더 특별한 이름을 알고 불러주는 관계를 맺고 있었다.
OOO 간호사님한테 가면 먼저 인사를 해요. 그러면 선생님이 저를 부르면서 “이상 없어요. 가볍게 교수님 보고 나오세요.” 그 말씀을 해 주실 때 어떤 기분이냐면, 아침 일찍 오셔서 내 데이터를 다 보고 그 말씀을 해 주시는 게 너무 저는 솔직히 감동인 거예요. 저렇게 일찍 오셔서 그 환자 하루에 그 많은 환자들 다 기억하시고 이렇게 이야기를 해 주신다는 게. (참여자 9)
저한테는 사랑하는 엄마와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사랑하는 사람들과 같이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 가족의 품에 돌아갈 수 있도록 애써주시는 분들인데 저한테는 사실 OOO쌤(전문간호사)이나 장루(전문간호사)선생님들이 또 다른 의미의 가족이거든요. (참여자 13)

2) 긴 질병과정을 함께 하는 신뢰할 수 있는 동행자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와의 관계가 단순한 단기간의 환자-의료진 관계가 아니라 투병 중의 모든 일을 같이 겪으면서 참여자들과 한 걸음씩 같이 나아가는 동행자라고 여기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가 자신의 질병과정을 함께 하는 믿을 수 있는 사람으로 여기며, 어두운 터널에서 발끝에 등불을 비춰주는 사람, 안심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내 위치를 살필 수 있는 나침반이나 백미러 같은 안전장치 같은 존재라고 하였다.
저희 아이가 이제 4년째 혈액암 치료 중인데 조혈모이식을 세 번 받았거든요. 근데 그 세 번 받는 동안 이식 전에 필요한 거 그리고 이식 후에 후유증 이런 거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약간 불안하지만 그래도 선생님들 믿고 들어갈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참여자 20)
전문간호사 선생님들이 계시기 때문에 사실 환자들이나 보호자들이 중증 질환을 앓고 있지만 방향을 잃어버리지 않고 사실 갈 수 있는 정말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해 주신다고 저는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전문간호사선생님들이 정말 필요해요. (참여자 18)
어두운 터널 안에 이렇게 언제 끝날지 모르는 또는 끝날 수 없는 길을 가야 되는데 앞으로 무엇을, 어떤 일을 겪을지, 어떤 일이 벌어질지에 대해서 저는 아무것도 모르잖아요. 모든 게 다 막막한데 전문간호사 선생님은 제 발끝에 이렇게 등불을 들고 발을 비춰주면서 옆에서 같이 동행해 주시는 분 이런 든든한 분이세요. 없으면 안 되죠. (참여자 14)

3) 서로를 배려하고 서로에게 보람이 되는 존재

많은 참여자들은 질병과정 중 진심으로 나를 걱정해 주고, 나와 기쁨을 같이해 주는 전문간호사를 만난 것은 행운이라고 여겼다.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들에게 위로를 받는다고 언급하며, 전문간호사들의 노력 덕에 더 열심히 질병과정에 적응하려고 한다고 하였다. 어느새 참여자들은 단순히 의료서비스를 받는 존재에서 벗어나, 전문간호사들의 바쁜 업무를 이해하고, 지친 그들을 위해 빨리 진료를 끝내거나, 전문간호사들이 수월하게 상급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참여자들은 더 건강해진 모습으로 전문간호사들에게 보람을 주는 존재가 되고자 노력하였다.
저도 웬만하면 (전문간호사)선생님들하고 길게 말하지 않았어요. 이제 제 치료가 잘 끝나고 이제 별일 없으면 되게 금방 하고 나와요. 왜냐하면 힘드신 거 아니까 딱히 제 몸 이상이 있지 않으면 그냥 빨리 보고 나오는 게 서로가 좋을 것 같아서···. (참여자 9)
장루(전문간호사)선생님이 오시는 날에는 일부러 아침 식사를 안 하고 기다려요. 왜냐면 장루로 (음식물이) 변으로 다 나와버리면 선생님도 힘드시고(중략). 선생님이 워낙에 이제 고등학생 때부터 제가 장루를 받기 이전도 아시고 이후도 아시는 선생님들이거든요. 그래서 제가 배고플까 봐 업무순서를 바꿔서 항상 9시 외래에 가시기 전에 8시 50분쯤에 와서 드레싱 먼저 해주세요. (참여자 13)
4. 주제 4: 활성화가 시급한 전문간호사제도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에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일부 참여자는 같은 병실에서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 다른 환자에게 미안함을 느꼈고, 전문간호사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종합병원에서 전문간호사가 필요함을 몸소 느꼈다. 모든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전으로 돌아가면 불편할 것이라고 하였다. 현재의 전문간호사제도는 만족스러우며, 전문간호사의 노고를 인정하는 의료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1) 만족스러운 현재의 전문간호사제도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가 되기 위한 최소한의 자격 요건이나 교육과정이 적절하므로 전문간호사의 질적 수준이 유지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일부 참여자들은 의사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보건의료인으로 간호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하면서, 전문간호사교육과정을 이수한 간호사가 환자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최소 기준이라고 하였다. 일부 참여자들은 무자격자들보다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자격증을 가진 의료인에게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저는 이제 그 전문간호사라는 제도가 있는 거는 알고 있었어요. 병원에서는 경력이 많이 쌓이고 지식적으로 박식하고 최소 학사로는 될 수는 없는 부분은 알고 있었는데, 그것에 대해서 다시 한번 돌아봤을 때 이게 되게 좋은 제도라는 생각을 했어요. 저 개인적으로는 만족도가 높다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참여자 16)
제가 병동에서 만났던 의사 선생님 이상으로 사실 본인 분야에 굉장히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계신데 석사 이상의 어떤 자격은 갖춰 주시는게 저는 지금이 참 좋다고 생각하고요. (참여자 18)

2) 확대가 필요한 전문간호사

참여자들은 자신이 방문하는 다른 종합병원이나 진료과에도 전문간호사제도가 확대되고, 지금 부서에서도 전문간호사가 부족해 충분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어 전문간호사가 충원되기를 바랐다. 참여자들은 의사들이 과중한 업무를 전문간호사에게 위임해 의료진이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어 오히려 환자의 안전이 담보된다고 믿었다. 일부 참여자는 전문간호사가 있는 진료과에서 없는 진료과로 전과되는 것이 망설여져, 전과를 늦추기도 하였다. 전과 후 담당의사는 바뀌었지만 기존의 전문간호사를 찾아 진료상담을 하기도 하였다.
제가 1형 당뇨병 환자라 사실 제가 좀 성인이 되고 바로 내과로 넘어왔어야 되는데 이 전문간호사 선생님 때문에 넘어가지 않고 15년을 버틴 (소아청소년과에서) 케이스거든요. (중략). 교수님한테 물어보기에는 그런 어려운 것들은 이전 전문간호사님이 계셔서 가끔 연락을 드려서 좀 부탁도 하고 하지만, 만약 연락이 안 된다면 그냥 눈과 귀가 다 닫히는 상황인거죠. (참여자8)
내과도 그렇고 외과전문간호사도 분야별로 전문화 시켜서 전문간호사제도를 활성화시킨다면 병원의 진료도 한참 늘어날 거예요. 의사는 수술에 집중할 수 있으니까 효율적이지. (참여자 4)

3) 전문간호사에 대한 홍보와 보상 필요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 간의 업무차가 발생한 것만큼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전문간호사들이 긍지를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큰 책임감을 느끼는 것만큼 전문간호사들은 자신이 전문간호사라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환자에게 자신이 전문간호사임을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제 좀 처우 같은 것도 일반간호사와 좀 이렇게 크게 차이가 없어서 이게 지원하는 분들이 좀 많이 없다고 제가 봤어요. 그래서 그런 것들이 좀 처우 개선이 좀 많이 돼서 전문간호사 숫자가 많이 늘어나서 이제 좀 저같이 좀 이런 좋은 서비스를 많이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여자 11)
누가 누군지 모르는데, 저는 명찰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자주 누구인지 설명을 해 주었으면 좋겠어요. (참여자 2)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를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와 보호자가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을 이해하고자 FGI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와 보호자가 경험한 전문간호사의 의료서비스는 ‘진료 과정 중 만나게 된 생소한 의료인, 전문간호사’, ‘탁월성을 갖춘 의료전문가’, ‘병마의 터널에서 발밑을 밝혀주는 동반자’, ‘활성화가 시급한 전문간호사제도’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진료 과정 중 만나게 된 생소한 의료인, 전문간호사’라는 주제는 참여자들의 전문간호사에 대한 초기 인식을 나타낸다. 환자와 보호자가 처음으로 전문간호사를 접할 때는 낯선 존재로 인식하였는데 모든 병원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동일한 병원 내에서도 모든 진료과에 존재하지도 않았다. 참여자들은 이전 병원에서는 만난 적이 없는 인력인데, 상급종합병원에 와서 의사도 간호사도 아닌 것 같아 의사인가, 수간호사인가 하다가 이후 전문간호사임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국내의 전문간호사는 전문간호사와 관련된 법률이 제정되기 이전부터 외과, 내과, 응급의학과, 소아청소년과 등의 일부 진료과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상급 실무를 담당하였는데, 부족한 의사의 공백을 메우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에 대한 전문의와 환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환자 중심 케어를 향한 의료서비스 개선의 한 부분이었다[18]. 환자 중심 케어(patient-centered care)와 환자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팀워크가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1]. 이러한 팀 기반 치료에서 팀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전문간호사와 같은 전문가들의 협력적 활동이 필요하며[25], 국내 입원전담전문의도 전문간호사와 팀으로 협업이 필요하나 의사 권한 침범과 안전문제를 지적하는 의료문화로 인해 전문간호사 확대에 제약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26].
국내 전문간호사 자격증 소지자가 2024년 9월 기준으로 17,850명에 이르지만[27], 전문간호사라는 직위를 활용하는 의료기관이 적어 환자와 보호자는 여전히 전문간호사라는 직종을 낯설게 여기고 있다. 의료법에 전문간호사가 명시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의료기관 입장에서 전문간호사의 업무를 수가로 보장받을 수 없고, 전문지원인력 고용에 관한 평가제도가 없어[28],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법적으로 인정되는 전문간호사를 활용하여 상급 실무를 수행하지 않고, 여전히 physician assistant (PA), (임상)전담간호사, 진료지원간호사 등 모호한 명칭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인력을 양산하고 있다[29,30]. 국내 의료체계는 의료인의 업무 범위나 수가 보상 등이 의사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어 팀 기반 치료에서도 다학제 간 협력보다는 진료과 간 협업 중심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고, 팀 기반 치료에서도 의료인 간 협력적 관계보다는 위계적 상하관계 문화가 여전히 존재한다. 위계적 의료문화가 자율성(autonomy)을 갖춘 전문간호사보다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의사보조인력으로서 PA나 전담간호사를 양적으로 증대시켰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전문간호사는 수가 보상체계가 마련되어 있고, 전문간호사의 성과에 대한 보고도 다수 제시되어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법적으로 다양한 업무가 가능하도록 업무 범위가 명시되어 있어 의사와 파트너로서 협력적 관계로 일하며 대중에게도 상급 실무제공자로서 의료 접근성 및 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인력으로 인식되고 있다[1,31,32]. 따라서 국내에서 전문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간호사 개인적 수준의 접근보다는 좀 더 제도적 차원에서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탁월성을 갖춘 의료전문가’라는 주제는 전문간호사의 실무 역량에 관한 참여자의 경험을 드러낸다. 참여자들은 처음 전문간호사를 낯설어 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전문 지식과 다양한 임상경험을 가진 전문간호사를 통해 의사만큼 때로는 의사를 통해서 들을 수 없는 질병이나 치료과정 관련 상세한 정보를 들을 수 있었다. 전문간호사는 참여자들에게 질병이나 치료과정 중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문제를 미리 알려주어 문제 발생 시 참여자들이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주고, 의사와 환자 간 사각지대를 채워주는 대체불가한 ‘탁월성을 갖춘 의료전문가’로 받아들여졌다.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만족도 조사 연구[5]에서 전문간호사는 풍부한 임상경험과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및 상담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환자의 치료과정을 돕고 신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인 측면을 지지해주는 인력으로 평가되고 있었다. 전문간호사와 일한 경험이 있는 국내 의료진들도 전문간호사를 숙련된 의료서비스 제공자이자 분야를 넘나드는 경력자로서 의료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의 의료인으로 인정하였다[17]. 네덜란드의 종양/완화의료영역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33]에서도 환자들은 전문간호사를 질병관리 측면뿐만 아니라 인간 자체로서 지원하고 도와주며 관심을 주기 때문에 힘을 얻을 수 있고, 이들의 전문성을 통해 안정감을 얻는다고 하였다. 전문간호사가 환자를 대할 때 간호의 전인적인 측면과 상급 실무제공자로서 치료적인 영역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전문가이기에 환자들이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의료기관에서 전문간호사 배치 숫자가 많아질수록 재원기간 및 재입원율 감소, 일반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증가 등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전문간호사와 함께 일하는 의사들 역시 교육과 상담 부분에서 전문간호사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있었고[18], 의료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의 의료인으로 전문간호사의 탁월성과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었다[17]. 이렇게 환자나 같이 일하는 의료진에게 탁월성을 인정받고 신뢰를 얻은 것은 전문간호사들이 지속적으로 전문분야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다양한 직종의 사람들을 아우르는 리더십을 발휘하며,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은 업무영역을 넘나들며 업무를 수행하는 등의 노력을 한 결과[15,18]로 여겨진다.
전문간호사와 신뢰관계가 형성되면서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를 단순히 환자-의료진 간의 관계가 아닌 ‘병마의 터널에서 발밑을 밝혀주는 동반자’로 의지하고 있었다. 진료로 병원을 방문할 때 의사로부터 별도로 만나고 가라는 지시가 없어도 안부를 전하고 싶어 일부러 기다렸다가 잠시 얼굴이라도 보고 가면 위안이 된다고도 하였다. 네덜란드에서 수행된 질적연구[33]에서 환자들은 전문간호사를 여행 동반자이며, 함께 전투를 하는 사람이자, 이정표이자 기술자라고 인식하였다. 종양환자와 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35]에서도 전문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의료서비스를 통해 마음의 안전과 평화를 느꼈으며 전문간호사와 신뢰에 기반한 가까운 사람이라고 하였다. 환자들은 전문간호사를 전인간호를 제공하고 공감력이 좋고 친절하며 환자와 애착이 있는 인간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 다른 종양환자의 전문간호사에 대한 연구[36]에서 전문간호사들로부터 치료과정에 대한 확신을 얻을 수 있었는데, 전문간호사들을 위안과 안심을 주는 대상으로 인지하면서 전문간호사가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를 ‘안정의 오아시스’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만성 질환자들도 전문간호사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의사와 달리 전인적인 관계를 맺고 더 자세한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하며 그 가치를 언급하였다[37]. 전문간호사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양적으로 조사한 선행연구[5]에서 전문간호사는 대인 간 지지 영역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았는데 환자와 보호자에게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측면의 지지를 포함한 간호를 제공하면서 환자에게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이 전문간호사를 치료과정 중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들을 지지하고 이끌어 주는 동반자로 인식하는 것과 같은 연구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간호사들 스스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깊이 있는 교육과 상담을 통해 질병관리를 해 주면서 자신들의 역할을 개발하고자 한 결과[18]라고 하겠다. 환자와 보호자가 전문간호사를 치료과정의 동반자로 여기는 것은 의료진과의 긍정적 관계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긍정적 관계는 치료과정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활성화가 시급한 전문간호사제도’라는 주제에서 참여자들은 전문간호사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다 많은 환자들이 누릴 수 있도록 전문간호사제도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했다. 전문간호사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나 간호협회 단위에서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서태평양지역의 공평한 의료접근성을 위한 전략으로 상급 실무자로서 간호의 역할을 강조했는데, 정부가 나서서 전문간호사 역할을 업무 범위로 합법화하고, 규제 관리하면서 수가를 제정해서 보상하고, 언론에 전문간호사를 알리는 홍보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38]. 전문간호사와 함께 일한 경험이 있는 의료진들은 전문간호사제도가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실행되기 위해서는 석사 수준의 학력과 일정 기간의 경력을 갖춰야 하는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전문가 집단으로 거듭나기 위한 간호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전문간호사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17,18]. 국내 전문간호사제도는 2000년 의료법에 전문간호사를 명시하고, 2003년 교육과정 및 자격기준에 대한 명시를 하였지만, 실무에서 전문간호사제도 확대를 위한 업무 범위나 수가 마련을 위한 노력은 매우 미미하였다. 2022년에 이르러서야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가 의료법 시행규칙[39]에 명시되었지만, 수행 가능한 업무에 대한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법령이 공포된 이후에도 현장에서 큰 변화가 없었고, 수가나 보상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의료기관에서도 전문간호사의 고용으로 이어지는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올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반대로 인한 수련의들의 집단 파업 선언으로 의료사태가 ‘심각’ 단계에 처해진 후, 정부가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발표하면서 간호인력에 대한 수행 가능한 진료지원행위가 구체적으로 제시되면서 전문간호사를 비롯한 진료지원인력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시범사업에서 전문간호사가 수행 가능한 업무 범위가 가장 넓고, 단순 처치업무 외에도 전공의의 입원환자 담당 업무를 대신할 수 있는 인력으로 전문간호사를 신설하려는 의료기관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비록 심각한 의료사태에서 전문간호사제도가 활성화된 것이기는 하나, 정부가 전문간호사제도를 검토하고 시범사업에 반영함으로써 전문간호사 활용이 확산된 면도 있다. 환자 중심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 외에도 지역사회 기반 시범사업에도 전문간호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므로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올해 9월 20일 새롭게 제정된 간호법에는 기존 의료법에 명시된 간호사의 업무 외에도 진료지원업무의 수행에 관한 조항이 추가되었고, 전문간호사는 진료지원업무 수행이 가능한 자격을 갖춘 자로 명시되었다[40]. 구체적인 업무 범위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해 2025년 6월 21일부터 시행될 예정으로[40],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활용 방안이 포함되는 내용이 포함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전문간호사가 배치되어 있는 일부 서울/경기 소재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본 환자와 보호자 중 면담에 응할 수 있다고 동의한 참여자만을 대상으로 편의 표출하였기에 모든 의료기관이나 환자 및 보호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므로 일반화하여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내 전문간호사를 경험한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전문간호사에 대한 경험을 조사한 첫 번째 연구로 대상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았기에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병마와 싸우는 환자들을 위해 전문간호사가 지금보다 더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문간호사는 임상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로서 전문적 실무 제공 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안내하여 준비시키고 병마를 함께 견디는 동반자로서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자들이 지켜보는 전문간호사의 업무량은 너무 많아 지금보다 더 많은 인력이 배치되기를 희망하였고, 현 의료기관이나 진료과 외에도 전문간호사가 더 확산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지금의 제도만으로는 전문간호사제도 활성화는 한계가 있다. 환자나 보호자의 희망대로 전문간호사제도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수가보상 등 전문간호사 고용 유인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정부와 산학이 협력해서 제도 확산을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전문간호사가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업무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에서 명시한 진료지원행위가 아닌 법령에 전문간호사가 수행 가능한 업무 범위를 보다 확대해서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보다 많은 환자와 보호자가 전문간호사를 동반자로서 의료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환자의 의료서비스가 개선될 뿐만 아니라 치료 결과가 개선되어 의료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팀 기반 진료에서 함께 일하는 의료진들의 업무 부담도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None.

DATA SHARING STATEMENT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or/and Methodology: Jeon M & Choi S.

Data curation or/and Analysis: Jeon M & Choi S & Han J & Kwon E & Park J & Kim J.

Funding acquisition: None.

Investigation: Jeon M & Choi S & Han J & Kwon E & Park J & Kim J.

Project administration or/and Supervision: Choi S.

Resources or/and Software: Jeon M & Choi S.

Validation: Jeon M & Choi S.

Visualization: Jeon M.

Writing original draft or/and Review & Editing: Jeon M & Choi S & Han J & Kwon E & Park J & Kim J.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o. Age (yr) Gender Types of participants Health clinic service Diagnosis Operation Work dpartment where APNs provide medical services
1 71 Man Patient Chest surgery Esophageal cancer O Chest surgery
2 68 Woman Family Chest surgery Esophageal cancer O Chest surgery
3 75 Man Patient Chest surgery Lung cancer O Chest surgery
4 74 Man Patient Urology Prostate cancer X Oncology
5 57 Woman Patient Chest surgery Lung cancer O Chest surgery
6 55 Woman Patient Chest surgery Bronchiectasis O Chest surgery
7 79 Woman Patient Chest surgery Lung cancer O Chest surgery
8 37 Woman Patient Internal medicine Type 1 diabetes X Pediatric
9 45 Woman Pati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Ovarian cancer O Oncology
10 65 Woman Family Oncology Metastatic bladder cancer X Oncology
11 32 Woman Patient Orthopedics Post traumatic stiffness, elbow, Rt. r/o ulnar neuropathy O Orthopedic
12 47 Woman Family Orthopedics Congenital scoliosis O Orthopedic
13 36 Woman Patient General surgery Crohn's disease O Wound, ostomy, continence
14 49 Woman Patient Oncology Breast cancer O Oncology
15 38 Woman Patient Oncology Breast cancer O Oncology
16 40 Man Patient Oncology Lymphoma O Oncology
17 42 Woman Family Neurosurgery Neuroblastoma O Neurosurgery
18 43 Woman Family Chest surgery Heart failure O ICU
19 57 Woman Family Chest surgery Multiple trauma (lung laceration, diaphragm rupture) O Chest surgery
20 59 Woman Patient General surgery End stage renal disease O Transplant

APN = Advanced practice nurse; ICU = Intensive care unit; Rt. = Right; r/o = Rule out.

Table 2.
Experience of Patients and Families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of Tertiary General Hospitals
Themes Categories
Unfamiliar medical personnel encounter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n unfamiliar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that operates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needs
The existence and role of unfamiliar advanced practice nurses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exhibit excellence Expert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diverse clinical experience
Facilitators who help patients self-manage their disease
Indispensable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bridge the gap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Companions to light my way through the tunnel of illness Meaningful relationship that remembers and calls by name
A reliable companion throughout a long illness journey
Beings who care for each other and feel fulfill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that must be urgently activated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currently operating satisfactorily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in need of expansion
The need for promotion of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Experienc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24;54(4):594-606.   Published online November 4, 2024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We recommend
      Experienc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Experience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eceiving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No. Age (yr) Gender Types of participants Health clinic service Diagnosis Operation Work dpartment where APNs provide medical services
      1 71 Man Patient Chest surgery Esophageal cancer O Chest surgery
      2 68 Woman Family Chest surgery Esophageal cancer O Chest surgery
      3 75 Man Patient Chest surgery Lung cancer O Chest surgery
      4 74 Man Patient Urology Prostate cancer X Oncology
      5 57 Woman Patient Chest surgery Lung cancer O Chest surgery
      6 55 Woman Patient Chest surgery Bronchiectasis O Chest surgery
      7 79 Woman Patient Chest surgery Lung cancer O Chest surgery
      8 37 Woman Patient Internal medicine Type 1 diabetes X Pediatric
      9 45 Woman Patient Obstetrics and gynecology Ovarian cancer O Oncology
      10 65 Woman Family Oncology Metastatic bladder cancer X Oncology
      11 32 Woman Patient Orthopedics Post traumatic stiffness, elbow, Rt. r/o ulnar neuropathy O Orthopedic
      12 47 Woman Family Orthopedics Congenital scoliosis O Orthopedic
      13 36 Woman Patient General surgery Crohn's disease O Wound, ostomy, continence
      14 49 Woman Patient Oncology Breast cancer O Oncology
      15 38 Woman Patient Oncology Breast cancer O Oncology
      16 40 Man Patient Oncology Lymphoma O Oncology
      17 42 Woman Family Neurosurgery Neuroblastoma O Neurosurgery
      18 43 Woman Family Chest surgery Heart failure O ICU
      19 57 Woman Family Chest surgery Multiple trauma (lung laceration, diaphragm rupture) O Chest surgery
      20 59 Woman Patient General surgery End stage renal disease O Transplant
      Themes Categories
      Unfamiliar medical personnel encounter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n unfamiliar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that operates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needs
      The existence and role of unfamiliar advanced practice nurses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exhibit excellence Expert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diverse clinical experience
      Facilitators who help patients self-manage their disease
      Indispensable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bridge the gap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Companions to light my way through the tunnel of illness Meaningful relationship that remembers and calls by name
      A reliable companion throughout a long illness journey
      Beings who care for each other and feel fulfill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that must be urgently activated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currently operating satisfactorily
      Advanced practice nurse system in need of expansion
      The need for promotion of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PN = Advanced practice nurse; ICU = Intensive care unit; Rt. = Right; r/o = Rule out.

      Table 2. Experience of Patients and Families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of Tertiary General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