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Acad Nurs > Volume 52(3); 2022 > Article
Research Paper Influence of Learning Presence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Moderated Mediation of Digital Literacy
Ryu, Eui Jeong , Jang, Keum Seong , Kim, Eun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22;52(3):278-290.
DOI: https://doi.org/10.4040/jkan.21241
Published online: June 30, 2022
1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Department of Nursing,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prev next
  • 63 Views
  • 1 Download
  • 3 Web of Science
  • 0 Crossref
  • 6 Scopus
prev nex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effect of the learning presence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272 nursing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two different citi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4.0).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0.42, and the moderated mediation index of digital literacy was 0.17. Learning flow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Digital literacy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at was mediated by learning flow.
Conclusion
The intensity of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flow increases as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and digital literacy are required to promot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22 Jun;52(3):278-290. Korean.
Published online Jun 30, 2022.
© 2022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Original Article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
류의정,1 장금성,1,2 김은아3
Influence of Learning Presence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Moderated Mediation of Digital Literacy
Eui Jeong Ryu,1 Keum Seong Jang,1,2 and Eun A Kim3
    • 1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2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3호남대학교 간호학과
    • 1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 2Chonnam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 3Department of Nursing,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Received December 31, 2021; Revised March 17, 2022; Accepted May 16,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effect of the learning presence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272 nursing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two different citi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4.0).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the effect of learn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0.42, and the moderated mediation index of digital literacy was 0.17. Learning flow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Digital literacy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at was mediated by learning flow.

Conclusion

The intensity of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earning flow increases as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and digital literacy are required to promot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Keywords
Students, Nursing; Learning; Achievement; Literacy; Mediation Analysis
간호학생; 학습; 성취도; 문해력; 매개효과 분석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으로, 대면 집합 수업을 지양하고 비대면 수업을 시작하면서, 대학은 교육방식, 교육플랫폼, 교육환경 등 교육시스템에 급격한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1, 2, 3]. 이에 전 세계 대학들은 학교 구성원들의 안전을 유지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지속해 나가야 하는 부담감 속에서[3], 비대면 방식의 교육 완성도 및 교육효과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4, 5]. 비대면 수업의 주요 문제점들로 교수자 측면에서는 단시간 내에 비대면 수업 설계를 해야 하는 부담감과 기술적인 어려움, 학습동기 부여 및 참여 유도 등을, 학습자 측면에서는 과제의 증가, 비대면 학습환경 장애, 낮은 교육품질, 상호작용 어려움 등을 제기하고 있다[5]. 더불어 대면 교육에 비해 비대면 교육 시 학습격차를 확인하거나 평가를 충분히 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4], 어떠한 요인들이 학습격차와 성취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간호대학생들은 임상실습 및 국가고시 합격과 직결된 수업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과중한 학습성과 달성에 대한 부담감과 갑작스러운 학습환경 변화로 인한 적응 문제 등을 경험하고 있다[2, 6]. 따라서 보건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비대면 수업상황 속 간호대학생들이 성공적인 학업 결과를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에서 학업성취도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사이버 대학 학생들과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1, 7, 8, 9]. 2012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이루어진 50편의 국내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주요 결과 변수는 수업만족도, 자기효능감이었고, 학업성취도 측정 연구는 단 2편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6].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실재감은 학습자가 학습상황에 있음을 인식하게 하는 심리상태로 학업성취도 증진에 중요한 요인이자 선행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1, 7]. 비대면 수업이 제공되는 학습환경과 학습 활동의 구성에 따라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서 실재감을 각기 다르게 지각하고, 이러한 실재감의 차이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 경험에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7, 8]. 즉, 학습실재감은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다른 학습자들과 함께 자신이 원하는 바를 분명하게 배우고 있고, 알아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다[8]. 때문에 학습실재감이 높은 경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대면 학습에서 학습자가 느끼는 실재감은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가능하게 만들며, 실재감을 지각하는 순간, 학습자는 온전히 학습상황에 존재해 깨어있게 되면서 학습에 몰입하게 된다[7]. 이처럼 학습 과정에 완벽히 몰두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심리상태를 학습몰입이라고 한다[9]. 즉, 학습실재감은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8, 10].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몰입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주요 요인으로[11], 학습실재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변수로 제시되고 있다[7, 8]. 따라서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도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실재감을 지각하게 되면 학습에 몰입하게 되면서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는 블랜디드 학습환경에서 효과적 학습을 위한 전제 조건이자[12] 비대면 학습 시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주요 변인으로 주목받고 있다[4, 13]. 디지털 리터러시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문해력(리터러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지털 매체로 제공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다룰 줄 아는 능력으로 임상 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활용 자신감 증진을 위한 간호 전문직 교육의 주요 요소이다[14].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의 차이는 과제수행 속도와 학습 차이를 발생시켜, 학습격차를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13, 15]. 간호대학생들의 경우 인터넷 사용, 문헌검색, 컴퓨터를 다루는 등 기본적인 디지털 리터러시는 90%의 학생이 갖추고 있지만, 이를 통합하고 임상 현장에 적용하는 실행 능력은 부족하다는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16]. 따라서 비대면 수업상황 속 간호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어떤 기전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이미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이러한 관계 이면에 존재하는 기전을 검증하고자 할 때는 매개효과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 대한 매개변수의 효과가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 성립되는지 규명하고자 할 때 매개모형과 조절 모형이 통합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게 된다[17, 18]. 즉, 조절된 매개효과는 매개효과의 강도가 조절변수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연구들에서 학습실재감이 높은 경우 학습몰입 정도가 높아져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며[7, 8, 9],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달라진다는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4, 13, 15]. 이를 토대로 학습실재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강도는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인과관계나 단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을 뿐 디지털 리터러시가 어떤 관계로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통합모형 연구들은 부족하며, 특히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에는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첫째,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의 긍정적 영향요인이며 이러한 관계 이면에 존재하는 것으로 규명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비대면 수업설계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개념적 모형 및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설명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고찰을 종합해보면,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와[1, 7, 8, 9]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7, 8, 9, 10]. 또한 학습몰입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7, 8, 9, 11], 학습실재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7, 8, 9].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습몰입을 증가시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주요한 변인이자[13]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었다[13, 15].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개념적 모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Figure 1).

Figure 1
Mediation effect model of learning flow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model of digital literacy. (A) Conceptual framework of mediation model. (B) Conceptual framework of moderated mediation model. (C) Statistical model of mediation effect. (D) Statistical model of moderated mediation effect. All path coefficients are un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The boldfaced line means significant effect. The dotted line means insignificant effect.
**p < .01, ***p < .001.

  • • 첫째,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둘째,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학습실재감이 높은 경우 학습몰입 정도가 높아져 학업성취도가 향상될 것이다(Figure 1A).

  • •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긍정적 간접효과에서 강화요인 역할을 할 것이다(Figure 1B).

개념적 모형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 대상자의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를 파악한다.

  • •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를 확인한다.

  • • 대상자의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관계를 확인한다.

  • • 대상자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한다.

  • • 대상자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국내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비대면 수업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으로, 연구 대상자는 2개 도시에 소재한 6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하였고, 이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적정 표본 수를 선정하기 위해 G*Power 3.1.9.7.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α = .05, 검정력 90%, 효과크기 0.10 [9, 13], 예측변수(연구변수, 대상자 특성)를 13개로 설정하면 최소 236명이 필요하다. 이를 근거로 탈락률을 고려해 총 280부의 질문지가 배부되었고, 이 중 272부가 회수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응답률 97.1%). 6개 기관 협조 요청 시 비대면 수업방식을 조사한 결과 학년별로 4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하고 있었다. 즉,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녹화강의와 과제 제출, 실시간 강의와 과제 제출, 녹화강의와 실시간 강의, 녹화강의와 강의자료 제공 방식의 4가지 비대면 수업을 모두 경험한 간호대학생이었다.

3. 연구 도구

1) 연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 측정 도구는 일반대학생이나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위해, 요인분석(구성타당도)과 신뢰도 분석 과정을 거쳐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Table 1). 각 도구별 요인분석 시 K aiser―Mayer―Olkin (≥ .90)과 Bartlett의 구형성 검정(p < .05)을 실시하여 적합성 여부를 확인한 후, Varimax 직교회전방법을 통한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도구는 모두 원저자와 번안자에게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lidity Internal Reliability of the Research Variables (N = 272)

2) 독립변수: 학습실재감

학습실재감이란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다른 학습자들과 함께 자신이 원하는 바를 분명하게 배우고 있고, 알아가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으로[8], 본 연구에서는 학습실재감의 요소로 선행문헌들[8, 9, 19]을 토대로 사회적, 인지적, 감성적 실재감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실재감 측정도구는 사이버대학 수강생을 대상으로 Kim과 Pak [8]이 개발하고, Pak과 Kim [19]이 수정·보완한 20개 문항 중 인지적 실재감(5개 문항), 사회적 실재감(5개 문항), 감성적 실재감(5개 문항)의 3개 영역, 15개 문항으로 측정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원도구와 동일하게 3개 영역 15문항 그대로 분류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5점 만점) 학습실재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8, 19]에서 도구의 각 영역별 신뢰도 Cronbach’s α는 .71~.8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전체 .89, 영역별로는 .80~.83이었다(Table 1).

3) 종속변수: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도란 학습자가 특정 수업의 결과로 정보나 기술을 획득하는 정도[20]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Rovai 등[21]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9개 문항의 자가보고형 인지학습 척도를 Kim 등[22]이 번안하고, 본 연구팀이 문항별로 ‘수업’이라는 용어를 ‘비대면 수업’으로 어휘를 수정·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이 중 2개 문항은 부정문항으로 역환산 처리하였다. 측정 후 2회에 걸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이 .40 이하인 2개 문항(2, 7번)이 삭제되면서, 1개 영역 7개 문항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항상 그렇다)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5점 만점) 학업성취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Rovai 등[21]의 연구에서 .79, Kim 등[21]의 연구에서 .73, 본 연구에서는 .88이었다.

4) 매개변수: 학습몰입

학습몰입이란 자신의 학습과정에 완전히 몰두하여 최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심리상태[9]로, 본 연구에서는 Kim과 Pak [8]이 사이버대학 수강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7개 문항의 학습몰입 도구로 측정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원도구와 동일하게 1개 영역 7개 문항 그대로 분류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5점 만점) 학습몰입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Kim과 Pak [8]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0, 본 연구에서는 .90이었다.

5) 조절변수: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주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본소양으로 윤리적 태도를 가지고 디지털 기술을 이해·활용하여 정보를 탐색 및 관리,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역량이다[23, 24]. 본 연구에서는 Wang [23]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23문항의 디지털 리터러시 도구로 측정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3회에 걸친 요인분석 결과, 요인적재량과 공통분산(communality)이 .40 이하인 3개 문항(6, 12, 17번)이 삭제되면서, 3개 영역 20문항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원도구에는 영역이 제시되지 않았으나, 문항 구성 내용과 선행문헌[23, 24]을 토대로 본 연구팀이 디지털 이해와 활용(7개 문항, 디지털 활용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보를 관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디지털 사고능력(6개 문항, 디지털 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통합적으로 학습하고 수행하는 능력), 디지털 윤리와 태도(7개 문항, 디지털 기술과 정보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준법정신과 윤리적 태도)로 최종 명명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1점: 전혀 그렇지 않다~5점: 매우 그렇다)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5점 만점)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Wang [23]의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α는 .92, 본 연구에서는 전체 .91, 영역별로는 .82~.84였다(Table 1).

4. 자료 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대상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연구자 소속 기관인 전남대학교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승인번호: 1040198-210416-HR-052-04)을 받은 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5월 30일부터 6월 17일까지였으며, 자가 보고식 비대면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먼저 본 연구 대상 기관에 협조를 요청하고, 기관별 절차에 따라 승인을 받았다. 연구 진행 승인 6개 기관에서 선정해준 대표 6명에게 연구설명문과 비대면 설문지가 링크된 주소를 보내어 문자 메시지로 전달하도록 하였다. 문자를 받은 대상자가 연구 설명문과 참여 동의서를 읽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후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동의하지 않을 때는 설문조사가 자동 종료되도록 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에게는 응답 시간 평균 15분을 고려한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연구 설명문과 참여 동의서에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안내, 대상자 권리, 익명성과 비밀보장, 자발적 동의와 철회를 할 수 있으며, 연구 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과 SPSS PROCESS macro (version 4.0) [17]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은 문항분석, 요인분석(주성분 분석, Varimax rotation)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고유값(eigenvalue)이 1.0 이상인 요인과 스크리 검사(scree plot), 요인들에 의해 설명된 누적 분산백분율 50% 이상, 해석 가능성, 요인적재량과 공통분산(communality)은 .40 이상으로 선정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s로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특성 및 변수들의 점수는 기술통계로,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시 등분산 가정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Welch’s test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Games―Howell test를 실시하였다.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분석 후, 매개효과(간접효과)의 유의성, 즉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를 경유하여 종속변수(Y)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16, 17].

본 연구에서는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14를 이용하여 분석 후, 조건부 간접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17, 18]. 조절된 매개효과는 독립변수(X)가 매개변수(M)를 경유하여 종속변수(Y)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의 강도가 조절변수(W)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으로, 조절된 매개지수가 유의한 경우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7, 18]. 분석 시 변수를 평균중심화 하는 것은 검정 시의 추정의 정확성과 가설검정 및 회귀계수의 표준오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다는 문헌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평균중심화 하지 않았다[17, 18].

간접효과, 조건부 간접효과, 조절된 매 개지수의 유의성은 bootstrapping (재표본추출 수 5,000개)을 이용, 95% 신뢰구간(bootstrapping 95% confidence Interval [CI])을 분석하여 추정된 하한 한계와 상한 한계를 토대로 검증하였다[17, 18].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값은(p < .05) PROCESS macro의 Johnson―Neyman technique으로 확인하였다[17, 18].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정 전, 회귀분석을 위해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은 공차한계가 0.36~0.73으로 0.1 이상으로 나타났고,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는 1.37~2.79로 10을 넘지 않았으며, Durbin―Wastson 통계량도 1.91~1.92로 자기상관이 없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특성

여학생(88.6%)이 남학생(11.4%)보다 많았고, 학년은 3학년이 27.5%로 가장 많았다. 지난 학기 학점은 3.0~3.9학점인 경우가 44.1%로 가장 많았고, 대면수업(41.5%)보다 비대면 수업(58.5%)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 만족도는 만족하는 경우(44.1%)가 가장 많았고, 보통 25.0%, 매우 만족 22.4%, 불만족 8.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환경 적절성은 매우 적절하다가 40.1%로 가장 많았고, 적절하다 39.3%, 보통 15.1%, 부적절 5.5% 순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비대면 수업방식은 녹화강의와 강의자료 제공이 46.6%로 가장 많았고, 녹화강의와 실시간 강의 22.8%, 녹화강의와 과제 제출 19.9%, 실시간 강의와 과제 제출 10.7%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b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 = 272)

2.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각 변수들의 점수는 5점 만점으로, 학습실재감 점수는 평균 3.80 ± 0.68점이었고, 영역별로는 인지적 실재감 4.25 ± 0.66점, 감성적 실재감 3.78 ± 0.85점, 사회적 실재감 3.35 ± 0.93점 순이었다. 학업성취도 점수는 평균 3.71 ± 0.73점, 학습몰입 점수는 3.77 ± 0.87점이었다.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는 평균 4.28 ± 0.48점이었고, 영역별로는 디지털 윤리와 태도 4.52 ± 0.47점, 디지털 이해와 활용 4.32 ± 0.54점, 디지털 사고능력 4.00 ± 0.67점 순이었다(Table 1).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실재감 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업선호도(t = -6.17, p < .001), 비대면 수업 만족도(F = 25.73, p < .001), 비대면 수업환경 적절성(F = 17.03, p <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가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보다 학습실재감 정도가 더 높았고, 사후검정 결과, 비대면 수업에 매우 만족하는 경우가 만족, 보통, 불만족보다, 만족과 보통인 경우가 불만족보다 높았으며, 비대면 수업 환경이 매우 적절한 경우가 적절, 보통, 부적절보다, 적절한 경우가 부적절한 경우보다 학습실재감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학점(F = 5.03, p = .007), 수업선호도(t = -3.29, p = .001), 비대면 수업 만족도(F = 18.38, p < .001), 비대면 수업환경 적절성(F = 11.77, p <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가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보다 학업성취도 정도가 더 높았고, 사후검정 결과, 학점이 4.0 이상인 경우가 3.0~3.9인 경우보다, 비대면 수업에 매우 만족하는 경우가 만족, 보통, 불만족보다, 만족인 경우가 보통보다 높았으며, 비대면 수업환경이 매우 적절한 경우가 적절, 보통, 부적절보다 학업성취도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은 수업 선호도(t = -6.43, p < .001), 비대면 수업 만족도(F = 37.03, p < .001), 비대면 수업 환경 적절성(F = 13.27, p <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가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보다 학습몰입 정도가 더 높았고, 사후검정 결과, 비대면 수업에 매우 만족하는 경우가 만족, 보통, 불만족보다, 만족인 경우가 보통보다 높았으며, 비대면 수업환경이 매우 적절한 경우가 적절, 보통, 부적절보다, 적절한 경우가 부적절한 경우보다 학습몰입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는 학점(F = 4.12, p = .018), 비대면 수업 만족도(F = 7.74, p < .001), 비대면 수업환경 적절성(F = 7.55, p < .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학점이 4.0 이상인 경우가 2.0~2.9인 경우보다, 비대면 수업에 매우 만족하는 경우가 만족, 보통보다, 비대면 수업환경이 매우 적절한 경우가 적절, 부적절인 경우보다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able 2).

4.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상관관계

본 연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는 학습실재감(r = .74, p < .001), 학습몰입(r = .77, p < .001), 디지털 리터러시(r = .48, p < .001)와 학습실재감은 학습몰입(r = .79, p < .001), 디지털 리터러시(r = .49, p < .001)와 학습몰입은 디지털 리터러시(r = .49, p < .001)와 각각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N = 272)

5.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학점, 수업선호도, 비대면 수업 만족도, 비대면 수업 환경 적절성을 통제한 후,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매개효과(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확인은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tep 1에서 학습실재감(독립변수, X)이 학업성취도(종속변수, Y)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B = 0.74, p < .001), Step 2에서 학습실재감(독립변수, X)이 학습몰입(매개변수, M)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B = 0.92, p < .001). Step 3에서 학습실재감(X)이 투입된 상태에서 학습몰입(M)이 학업성취도(Y)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였고(B = 0.45, p < .001), 학습실재감(X)이 학습몰입(M)을 통해 학업성취도(Y)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B = 0.33, p < .001).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는 0.42로, 95% 신뢰구간의 하한값(.30)과 상한값(.53)이 0 (zero)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7, 18] (Table 4, Figure 1C).

Table 4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Digital Literacy (N = 272)

6.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학점, 수업선호도, 비대면 수업 만족도, 비대면 수업 환경 적절성을 통제한 후,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14를,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건부 간접효과와 조절된 매개지수의 통계적 유의성 확인은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tep 1에서 학습실재감(X)이 학습몰입(M)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B = 0.92, p < .001). Step 2에서 학습실재감(X)이 학업성취도(Y)에 미치는 직접효과(B = 0.30, p < .001), 학습몰입(M)이 학업성취도(Y)에 미치는 영향(B = 0.45, p < .001), 학습몰입(M)과 디지털 리터러시(조절변수, W)의 상호작용항(M × W)이 학업성취도(Y)에 미치는 영향(B = 0.19, p = .003)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지털 리터러시(W)가 학업성취도(Y)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B = 0.07, p = .362).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평균 미만 집단(mean - 1 standard deviation [1SD]; effect = 0.33, 95% CI = .22~.46), 평균 집단(mean; effect = 0.42, 95% CI = .30~.54), 높은 집단(mean + 1SD; effect = 0.50, 95% CI = .37~.63)에서 모두 유의하였고,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이게 되는 긍정적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지수는 0.17로, 95% 신뢰구간의 하한값(.06)과 상한값(.27)이 0 (zero)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17, 18] (Table 4, Figure 1D). Johnson-Neyman 분석에 따르면,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값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3.02점(가능한 범위값: 1~5점)을 초과할 때부터였으며(Table 4),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증가할수록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강도는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증가할수록 긍정적 강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5점 만점에 3.71점으로 중상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같은 도구를 사용한 Lee 등[11]의 연구 3.44점, Kim 등[22]의 연구 2.45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특성과 대면 및 비대면 수업상황에 따른 수업 방법의 차이로 인해 결과에 차이를 보였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일부 지역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편의표집하여 대상자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결과를 신중히 해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번안된 도구를 비대면 수업에 맞게 어휘를 수정·보완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7문항으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이로 인해 다른 선행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였을 가능성과 비대면 자가보고식 측정에 의한 응답 편중와 성적에 대한 주관적 응답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수정된 도구를 사용하여 학년이나 비대면 임상실습 경험 여부 등의 계층을 파악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실재감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80점이었고, 영역별로는 인지적 실재감(4.25점)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사회적 실재감(3.35점)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학습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과 일치하였다[19, 25]. 즉, 학습자들은 학습상황과 학습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인지하였는지를 스스로 확인해 나가는 인지적 실재감은 높고, 타인을 인식하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 또는 상호작용과 관련된 요소인 사회적 실재감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동영상과 같은 비실시간 유형의 학습 시 반복 시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지적 실재감 형성이 더 원활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비대면 수업의 주요 문제점들로 제기되고 있는 참여유도와 상호작용의 어려움들로 인해[5] 사회적 실재감 형성이 어려웠을 것이라 유추해볼 수 있다. 따라서 비대면 수업 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과 과제 및 질의응답에 대한 피드백 제공, 수업 동영상과 온라인 토의에 코멘트를 남기는 댓글 달기 방식 등으로 학습자들이 사회적 실재감을 경험하고 증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25, 26].

본 연구 대상자의 학습몰입 점수는 5점 만점에 3.77점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Im과 Hong [10]의 연구 3.71점과 유사한 수준이었고, Lee 등[11]의 연구 3.27점, 초기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Koo와 Kim [2]의 연구 3.64점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학습몰입 측정도구의 차이와 연구대상자의 차이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즉,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7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여 1~4학년 전체(6개 대학)를 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들은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3학년(1개 대학) [10], 2~4학년(2개 대학) [11], 3~4학년(6개 대학) [2]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차이를 보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대면 혹은 비대면 수업상황에 적합한 학습몰입 측정도구를 고려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는 5점 만점에 4.28점이었다. 선행연구 중 대학생 대상 연구에서는 구체적 점수를 제시하지 않아 비교가 어려웠고, 측정도구들도 연구마다 개념과 용어 및 측정영역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재타당화한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반복 연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정도를 평가하고 비교·분석하여 맞춤형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역별로는 디지털 윤리와 태도(4.52점), 디지털 이해와 활용(4.32점), 디지털 사고능력(4.00점) 순이었다. 디지털 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통합적으로 학습하고 수행하는 능력인 디지털 사고능력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들이 기본적인 디지털 리터러시는 대부분 갖추고 있으나 이를 통합하여 적용하는 실행능력은 부족하다는 점과 유사하였다[16]. 따라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전제 조건인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서는[12] 디지털 사고능력의 구성요소인 비판적 사고력,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을[24]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는 수업선호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비대면 수업 시 한 가지 수업방식을 적용하기보다는 학습내용과 목적에 따라 학습자의 참여와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방식을 혼합하여 활용하는[8, 25, 27, 28]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시간 수업방식으로 꾸준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과 혼합 방식(실시간과 비실시간 혼합) 수업에서는 학습실재감이 높지만[25, 26], 학습실재감이 낮은 경우 학습자의 몰입도를 저하시켜 학업성취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7, 8, 9]. 또한, 비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가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보다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정도가 더 높은 결과는 비대면 수업의 경우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과 학습 시간과 장소의 선택 폭을 넓혀 줌으로써[5] 학습자의 몰입도와 성취도를 높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디지털 리터러시는 비대면 수업 만족도, 비대면 수업환경 적절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자들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강제적 비대면 수업 참여하게 되면서 교수자마다 다른 수업방식 및 목적, 평가방법 등에 대해 모호함과 혼란을 느끼게 되므로[29], 교수자는 수업 만족도 증진을 위해 명확한 설명을 제공해주고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25]. 비대면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의 교육플랫폼과[8] 온라인 교육환경 등 교육시스템 개선 노력과 더불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학습환경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학습환경을 파악하여 학습 기기 대여, 학습 장소 지원에 대한 대책도 함께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 선행연구들과 같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업성취도,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간에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1, 7, 8, 9, 10, 11, 13]. 즉,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몰입 간의 긍정적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지지한 동시에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에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습몰입이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학습자가 느끼는 학습실재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상승하게 되며, 학습실재감으로 가중된 학습몰입은 학업성취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실재감을 지각하게 되면 학습에 몰입하게 되면서 학업성취도를 더욱 높이게 된다는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7, 8, 9]. 따라서 비대면 수업 시 학습자가 학습실재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질의응답이나 상호작용이 가능한 피드백과 공유 등을 통한 교수자의 촉진과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습활동에 최대한 참여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8, 9, 30]. 또한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완전히 몰두하여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명확한 학습목표를 제시하고[7], 학습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11]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한 새로운 교수학습 설계와 환경조성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25]. 하지만 기존 대면 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수업 목표, 수업구성 및 학습활동, 교수전략, 수업 준비, 새로운 테크놀로지 학습, 평가방법 등을 재설계하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수자에게 쉽지 않은 과제이다[5]. 이러한 부담감 속에서도 교수자가 자신의 수업 운영 경험과 학생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수업을 재설계하는 지속적 질 개선과 대학 차원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비대면 수업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강도는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강화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한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워 본 연구와 비교하기 어려웠지만 선행연구들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업성취도와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들과[13, 15] 유사한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불어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값은 3.02점부터로 나타났다. 즉, 간호대학생이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통해 학습실재감이 높아진 경우 학습에 몰입하게 되면서 학업성취도를 높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중간 이상인 경우부터 학업성취도를 더욱 높여주게 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께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학습몰입과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낮은 학생들을 선별하여 조기 개입하는 교육적 중재가 이루어진다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국외 사례로 영국의 국립보건임상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NICE)는 2010년부터 보건의료계열 대학생들의 근거검색 데이터베이스 활용 촉진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대학과 협업하여 학생 챔피언 제도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14]. 이러한 사례를 토대로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15] 지속적으로 개발·강화될 수 있도록 단계별 교육과정 편성과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강화된 수업 설계[5, 31], 학술정보 탐색을 위한 도서관 이용 교육 등과 같은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대면 수업상황이나 사이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 학업성취도 간의 인과관계, 단순 매개효과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조건부과정분석(conditional process analysis)은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통합한 연구모형으로의 확장이 가능한 방법이다[17, 18].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 경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이들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단순 매개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보다 이들을 결합한 조건부과정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가 수행된다면 변수들 간 인과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지역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일반화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며, 연구 대상자의 비대면 자기 보고식 답변에 의존하여 변수들을 측정했기 때문에 응답자의 주관성에 의해 응답 편중, 과소 혹은 과대 평가될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시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대상자의 특성변수를 통제한 상태로 분석하였지만, 표본 선정 시 고려하지 못한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 기간, 비대면 임상실습 경험 여부 등의 계층을 파악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추후 연구가 진행된다면 응답자의 성숙이나 측정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매개효과의 강도는 디지털 리터러시 점수가 증가할수록 긍정적 강화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학습전략 개발 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께 높일 수 있는 전략과 맞춤형 교육방법을 함께 적용한다면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평가하여 점수에 따라 그룹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둘째,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교과목을 개발·설계·운영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는 지역적 제한이 있으므로 재타당화한 도구들을 사용하여 지역을 확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Notes

이 논문은 2021년 한국간호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This work was presented at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Winter Conference, December, 2021, Seoul, Korea.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FUNDING: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2021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Nursing Research Fund.

AUTHOR CONTRIBUTIONS:

  • Conceptualization or/and Methodology: Ryu EJ & Jang KS & Kim EA.

  • Data curation or/and Analysis: Kim EA.

  • Funding acquisition: Ryu EJ & Jang KS.

  • Investigation: Ryu EJ.

  • Project administration or/and Supervision: Ryu EJ & Jang KS.

  • Resources or/and Software: Ryu EJ & Jang KS & Kim EA.

  • Validation: Ryu EJ & Jang KS & Kim EA.

  • Visualization: Ryu EJ & Jang KS & Kim EA.

  • Writing original draft or/and review & editing: Ryu EJ & Jang KS & Kim EA.

ACKNOWLEDGEMENTS

None.

DATA SHARING STATEMENT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

References

    1. Park SY, Joo MH, Lee DY. A study on the facilitating factors affecting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at colleg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11):779–792. [doi: 10.22251/jlcci.2021.21.11.779]
    1. Koo B, Kim AR. The effect of instructional quality, teaching presence, and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optimism and learning flow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an online distance education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21;16(3):141–148. [doi: 10.21097/ksw.2021.08.16.3.141]
    1. Hodges CB, Fowler DJ. The COVID-19 crisis and faculty members in higher education: From emergency remote teaching to better teaching through refl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in Higher Education 2020;5(1):118–122. [doi: 10.32674/jimphe.v5i1.2507]
    1. Kim HD, Kim J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gital information usage ability, social support,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immersion of early adult learners: Focusing on the untact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21;33(2):492–503. [doi: 10.13000/JFMSE.2021.4.33.2.492]
    1. Do J. An investigation of design constraint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face-to-face course into online cours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20;26(2):153–173. [doi: 10.24159/joec.2020.26.2.153]
    1. Park SY, Shin HS.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studies related to contactless and remote class operations for the college students of nursing and health related major program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Research 2021;5(2):39–54. [doi: 10.34089/jknr.2021.5.2.39]
    1. Park JH, Lee YS.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on relationship between pres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8;23(11):229–238. [doi: 10.9708/jksci.2018.23.11.229]
    1. Kim YM, Pak KH. The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in e-learning. The e-Business Studies 2018;19(3):99–115. [doi: 10.20462/tebs.2018.6.19.3.99]
    1. Kim UJ, Park JH.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pres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cyber universities.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12;13(3):143–170.
    1. Im SH, Hong S. Effects of task value and presence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21;21(6):387–397. [doi: 10.22251/jlcci.2021.21.6.387]
    1. Lee JG, Kim WJ, Lee JK.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mmi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who gave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0;21(11):412–419. [doi: 10.5762/KAIS.2020.21.11.412]
    1. Tang CM, Chaw LY. Digital literacy: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learning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2016;14(1):54–65.
    1. Cho AY, Park IW, Ko YJ. Exploring the mediation effect of flow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smartpad based math classe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19;32(4):163–189. [doi: 10.24299/kier.2019.32.4.163]
    1. Terry J, Davies A, Williams C, Tait S, Condon L. Improving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f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of the experiences of NICE student champion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9;34:192–198. [doi: 10.1016/j.nepr.2018.11.016]
    1. Lei H, Xiong Y, Chiu MM, Zhang J, Cai Z.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A meta-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021;127:106123 [doi: 10.1016/j.childyouth.2021.106123]
    1. Brown J, Morgan A, Mason J, Pope N, Bosco AM. Student nurses’ digital literacy levels: Lessons for curricula.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020;38(9):451–458. [doi: 10.1097/CIN.0000000000000615]
    1. Hayes AF. In: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8. pp. 1-112.pp. 393-468.
    1. Hayes AF. In: Lee HK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1st Engl. Ed. Paju: Shinyoungsa; c2015. pp. 1-486.
    1. Pak KH, Kim YM. The difference analysis of learning presence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based on e-learning. The e-Business Studies 2019;20(5):95–109. [doi: 10.20462/tebs.2019.10.20.5.95]
    1. Ary D, Jacobs LC, Razavieh A. In: Introduction to research in education. 6th ed. Belmont (CA): Wadsworth Thomson Learning; 2002. pp. 1-582.
    1. Rovai AP, Wighting MJ, Baker JD, Grooms LD.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erceived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learning in traditional and virtual classroom higher education setting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009;12(1):7–13. [doi: 10.1016/j.iheduc.2008.10.002]
    1. Kim J, Kim HO, Lee M.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academic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9;25(2):205–213. [doi: 10.4094/chnr.2019.25.2.205]
    1. Wang L. I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ehavior on learning performance in team learning activities using social medi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7. pp. 1-72.
    1. Kim SH, Kim JH, Kim HY, Lee UJ, Park IJ, Kim ME, et al. In: Application of digital literacy in education curriculum. Daegu: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2017 Dec.
      Report No.: KR 2017-4.
    1. Park H, So HJ.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in distance lectur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during COVID-19.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21;27(1):253–280. [doi: 10.15833/KAFEIAM.27.1.253]
    1. Andel SA, de Vreede T, Spector PE, Padmanabhan B, Singh VK, de Vreede GJ. Do social features help in video-centric online learning platforms? A social presence perspectiv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20;113:106505 [doi: 10.1016/j.chb.2020.106505]
    1. Mo S. A comparison study of social presence by gender and interaction means in a college-level online 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21;15(1):287–302. [doi: 10.46392/kjge.2021.15.1.287]
    1. Chae D, Kim H, Yoo JY, Lee J. Agreement on core components of an e-learning cultural competence program for public health workers in South Korea: A delphi study. Asian Nursing Research 2019;13(3):184–191. [doi: 10.1016/j.anr.2019.04.005]
    1. Parker SW, Hansen MA, Bernadowski C. COVID-19 campus closure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student perceptions of forced transition to remote learning. Social Sciences 2021;10(2):62 [doi: 10.3390/socsci10020062]
    1. Kim H, Suh EE. The effects of an interactive nursing skills mobile applic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efficacy, and skills performanc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sian Nursing Research 2018;12(1):17–25. [doi: 10.1016/j.anr.2018.01.001]
    1. Nagle LM, Kleib M, Furlong K. Digital health in Canadian schools of nursing part A: Nurse educators’ perspectives. Quality Advancement in Nursing Education - Avancées en Formation Infirmière 2020;6(1):4 [doi: 10.17483/2368-6669.1229]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Influence of Learning Presence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in Nursing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and Moderated Mediation of Digital Literacy
    J Korean Acad Nurs. 2022;52(3):278-290.   Published online June 30, 2022
    Close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