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in keyword, network structure, and main topics of the national petition related to “nursing”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petitions related to the national petition in Korea Blue House related to the topic “nursing” or “nurse” from August 17, 2017, to May 9, 2022. A total of 5,154 petitions were searched, and 995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analyzed using the Netminer 4.5.0 program.
Results
Regarding network characteristics, a density of 0.03, an average degree of 144.483, and an average distance of 1.943 were found. Compared to results of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keywords such as “work environment,” “nursing university,” “license,” and “education” appeared typically in the eigenvector centrality analysis. Topic modeling derived four topics: (1)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dealing with nursing professionals,” (2) “requesting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related to medical accidents,” (3) “requiring clear role regulation and legislation of medical and nonmedical professions,” and (4) “demanding improvement of healthcare-related systems and service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Korea's national petitions in the field of nursing. This study's results confirmed both the internal needs and external demands for nurses in South Korea. Policies and laws that reflect these results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ain keyword, network structure, and main topics of the national petition related to “nursing” in South Korea.
Data were gathered from petitions related to the national petition in Korea Blue House related to the topic “nursing” or “nurse” from August 17, 2017, to May 9, 2022. A total of 5,154 petitions were searched, and 995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analyzed using the Netminer 4.5.0 program.
Regarding network characteristics, a density of 0.03, an average degree of 144.483, and an average distance of 1.943 were found. Compared to results of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keywords such as “work environment,” “nursing university,” “license,” and “education” appeared typically in the eigenvector centrality analysis. Topic modeling derived four topics: (1)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dealing with nursing professionals,” (2) “requesting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related to medical accidents,” (3) “requiring clear role regulation and legislation of medical and nonmedical professions,” and (4) “demanding improvement of healthcare-related systems and services.”
This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Korea's national petitions in the field of nursing. This study's results confirmed both the internal needs and external demands for nurses in South Korea. Policies and laws that reflect these results should be developed.
간호란 모든 개인과 가정, 집단, 지역사회를 포함하여 건강하거나 건강하지 않은 대상자, 모든 환경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자율적이고 협동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1]. 간호사는 대상자의 옹호자로서 역할을 해야 하고, 대상자에게 안전한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간호 교육과 연구에 기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 간호정책 마련과 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2]. 간호사가 위와 같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역할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아야 하며 이러한 권한과 책임은 관련 법과 정책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3]. 간호정책과 관련 제도의 입안은 간호사 개인과 더 나아가 국민들의 생활 방식에 큰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4]. 하나의 정책이 입안되기 위해서는 현황 파악과 문제 분석을 바탕으로 정책적 의제 설정, 정책의 수립과 채택, 정책의 집행 그리고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5]. 따라서 간호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요구도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6]. 지금껏 이러한 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한간호협회 게시판[7], 간호관련 연구[8], S NS (Social Network Serivce)나 온라인 게시판 글에 대한 분석[9] 등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자료들 또한 정책 형성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나 정책으로 입안되기까지 원자료에서 일정 부분 정제 작업이 요구되며, 여론을 수렴하여 정책이 정부에 전달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국민청원 제도란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라는 슬로건 하에 2017년 8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운영된 청와대 홈페이지 내 온라인 게시판으로서, 청원이 30일 동안 20만명의 동의를 얻으면 정부 또는 청와대 관계자가 직접 답을 해주는 제도로[10], 사회적 이슈의 공론화를 통한 법안 제정 등 정책 입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11]. 일례로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 중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 축소’ 요구에 관한 청원은 기사화되어 대중들에게 현행 간호인력 배치기준의 문제점을 알리고 간호인력의 인권 향상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함을 알려 법제화를 위한 여론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2]. 국민청원 게시판은 일반적인 온라인 게시글과 비교했을 때 복잡한 단계들을 거치지 않고도 신속하게 정부에 전달될 수 있어[11] 정책 입안의 가능성 측면에서 더 큰 중요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13].
국민청원의 중요성에 의해 많은 분야에서 국민청원을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난임 정책의 변화[14], 복지에 대한 국민 요구도 파악[15], 유아 교사의 청원 분석[16] 등 특정 직업군과 특정 이슈에 대한 관심 그룹의 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 또한 개인 차원의 호소부터 사회·정치·정책적 부분에 이르기까지 작성자의 제한 없이 다양한 청원이 이루어져 오기 때문에 간호사를 포함한 간호계 내부의 요구와 간호계 외부 국민들의 폭넓은 요구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간호 분야에서 국민청원을 활용하여 진행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국민청원 게시글과 같이 범위가 넓고, 정성적 분석이 연구 결과의 해석에 영향을 끼치거나 결과 도출 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을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계량적인 내용분석 방법으로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이 활용되고 있다[17]. 간호학 분야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 연구에는 지식구조 분석[18, 19]과 연구 동향 분석[20]이 가장 많았으며, 신문 기사나 언론보도 분석[21], 온라인 기사의 댓글 분석[22], 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화 상담 내용을 분석[23] 등이 진행되는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간호 분야에서 국민청원을 활용하여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을 시행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간호 분야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청원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의 분석은 간호계 내·외부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는 간호정책 마련에 중요한 근거로써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도 파악을 위하여 국민청원 게시판의 간호관련 청원에 나타난 핵심 키워드를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간호 관련 국민청원의 핵심 키워드를 분석한다. 둘째, 간호 관련 국민청원의 텍스트 네트워크 구조 및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간호 관련 국민청원의 주요 토픽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의 핵심어와 네트워크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토픽을 확인하기 위한 계량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와대 홈페이지(현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http://webarchives.pa.go.kr/19th/www.president.go.kr/)의 ‘국민청원 및 제안’(이하 국민청원) 게시글 중 제목이나 본문에 ‘간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한 청원이다. 국민청원이 운영되기 시작된 2017년 8월 17일부터 국민청원이 종료된 2022년 5월 9일까지의 청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호’의 범위 안에 ‘간호사’도 포함된다고 판단하여 두 단어 모두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팀이 함께 제목과 본문을 검토하여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설정하였다. 선정기준은 (1) 간호와 관련된 청원, (2) 간호사와 관련된 청원, (3) 간호서비스와 관련된 청원이다. 본 연구의 제외기준은 (1) 간호·간호사·간호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청원, (2) 간호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의료사고나 의료과실에 대한 청원이다. 단, 의료사고나 과실의 중심에 간호사가 있는 경우에는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선정기준에 해당하나 중복인 청원의 경우 국민청원 관련 선행연구[15]를 참고하여 작성일이 가장 빠른 청원 한 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22년 5월 7일부터 5월 9일까지 였으며, Python 3.10 프로그램(Python Software Foundation, Wilmington, DE, USA) [24]의 Beautiful Soup 라이브러리를 이용, 웹 크롤링(web crawling) 기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웹 크롤링을 통해 웹페이지 주소, 제목, 본문, 청원 시작일, 청원 동의 수를 수집하였고, 한 행이 하나의 문서를 의미하는 MS office 엑셀(Microsoft, Redmond, WA, USA) 파일로 저장하였다. 웹 크롤링을 시행하였으나 수집에서 누락된 청원은 수집된 자료의 제목과 국민청원 게시판의 청원 제목을 대조하여 추가로 수기 검색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간호관련 국민청원을 대상으로 단어 추출 및 정제, 핵심어 추출 및 단어 네트워크 생성, 네트워크 연결구조 및 중심성 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 가운데 단어 추출 및 정제와 네트워크 생성 및 분석은 연구팀 구성원 중 간호관리학 전공자 2인, 즉 간호학 교수 1인(SHJ)과 간호사 1인(HK)이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에서는 1차적으로 위 연구자 2인이 토픽 수와 토픽 모델을 확인한 후 연구팀의 회의를 거쳐 최종 토픽 수와 토픽 모델을 결정하였고, 토픽 그룹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팀은 4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인은 현직 간호사(HK), 3인(SHJ, EJL, HSK)은 간호학 교수이다. 이들 4명의 평균 임상경력은 6.1년, 간호학 교수 3인의 평균 교육경력은 15.3년으로, 간호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간호와 관련된 청원들을 선별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팀은 자료 분석 과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본 자료 분석에 활용된 통계프로그램인 Netminer 4.5.0 프로그램(CYRAM Inc., Seongnam, Korea) [25]을 개발한 곳이자 국내 유일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전문 기업으로 다수의 데이터 분석 컨설팅 경험이 있는 ㈜사이람(CYRAM Inc.) 자문팀에 자문을 구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상세한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청원은 웹페이지 주소, 제목, 본문, 청원 시작일, 청원 동의 수로 구성된 MS office 엑셀 파일로 저장하였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엑셀 프로그램(Microsoft)의 맞춤법 검사를 일차적으로 시행하였고, 청원을 읽어가며 오타를 교정하였다. 이 후 Netminer 4.5.0 프로그램(CYRAM Inc.) [25]의 자체 형태소 추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명사, 부사 등을 자동 삭제하고, 명사만 추출하도록 설정하였다[26]. 또한 ‘이’ ‘그’ ‘저’ 등 글자 수가 하나인 단어는 우리말에서 뜻을 담고 있다고 보기 어려워 글자 수가 2글자 미만인 단어는 Netminer 4.5.0 프로그램(CYRAM Inc.) [25]의 query기능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의미 있는 단어의 추출을 위해 지정어(defined word) 2,084개, 유의어(thesaurus) 1,622개, 제외어(exception list) 3,189개를 사전에 등록하였다. 지정어란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 구로[27, 28], 본 연구에서는 고유명사, 복합명사로 지정되어야 하는 ‘근무시간’, ‘태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유의어란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를 분류한 후 이 중 대표어로 선택된 단어를 의미하며[27], 같은 단어라도 띄어쓰기가 다르면 각기 다른 단어로 인식하므로 한 단어로 대표되도록 처리하였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는 ‘태움’, ‘태움문화’, ‘태움문화’를 ‘태움’으로, ‘신규간호사’, ‘신규 간호사’, ‘신입간호사’, ‘신입간호사’, ‘신참 간호사’, ‘새내기 간호사’, ‘초보간호사’, ‘신임 간호사’를 ‘신규간호사’로 추출되도록 설정하였다. 제외어는 연구 목적과 관련성이 부족하거나 일반적인 단어로 연구의 해석에서 의미가 없는 단어를 등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오늘’, ‘모두’ 등의 단어들이 이에 해당하였다. 단어추출 및 정제의 모든 과정은 간호관리학을 전공한 간호사 1인(HK)과 간호학 교수 1인(SHJ)이 시행하였으며, 이 후 전체 연구팀의 확인과 논의를 거쳐 최종 결정하였다. 본 연구 대상이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으로 ‘간호’는 모든 청원에 포함된 기본적인 단어였기 때문에 분석에 포함하면 의미 있는 여러 개념들이 제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어 제외어 사전에 등록하였다. 단, ‘간호사’는 청원 안에서 주체의 명확성을 기하고자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핵심어를 추출할 때는 단어의 등장 횟수를 고려하거나 특정 단어의 중요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F-IDF)에 기초한 방법이다. 단어의 등장빈도를 고려하는 것은 term frequency (TF)라는 용어로 표현되며, 단어빈도라 한다[26]. Inverse document frequency (IDF)는 document frequency (DF)의 역수를 의미하며 로그값으로 표현된다[26]. DF는 특정 단어가 몇 개의 문서에 등장하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문서빈도라 한다[26]. 단순히 TF가 높은 단어들은 특정 문서 외에 여러 문서에도 등장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문서 안에서 특정 단어의 중요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TF-IDF는 단어의 등장 빈도에 문서의 역수를 곱한 것으로 TF-IDF가 높은 단어일수록 특정 주제의 문서에서만 자주 등장하고 다른 주제의 문서에서는 출현하는 빈도가 낮아[26] 해당 단어가 문서에 나타나는 중요도를 반영한다[28]. 그러한 이유로 TF-IDF가 높은 단어는 특정 문서에서 매우 중요한 단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에 나타난 단어들을 대상으로 DF 상위 20위와 단어 수를 제시하였고, TF 기준 상위 20개 단어와 TF-IDF 0.2 미만의 단어 필터링 후 상위 20개 단어를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할 때는 적정 수준의 연결성을 가진 키워드만을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적정 수준의 연결성의 기준은 제안된 바 없으며[18], 어느 정도의 출현 빈도를 가진 키워드를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 포함할지 또한 명확한 선정기준이 없다. 선행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네트워크 내 키워드의 맥락과 의미, 연구 결과의 해석 가능성, 시각화 정도를 고려하여 선정하고 있었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연구 결과의 해석 가능성, 시각화 정도를 고려하여 동시 출현 빈도 상위 100개의 단어로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단어-문서의 2모드 네트워크를 단어-단어의 1모드 네트워크로 변환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간호관련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선행연구[19]를 참고하여 1모드 네트워크로 변환 시 유사도 지수 중 전체 문서 내에서 키워드의 가중치를 반영하는 ‘inner product 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동시 출현의 범위는 두 단어 간의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는데, 본 연구의 두 키워드 간의 거리(window size)는 분석 자료의 특성과 간호관련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선행연구[21]를 참고하여 2로 설정하였고, 방향성은 고려하지 않았다. 시각화 정도와 연구의 맥락적 해석을 고려하여 동시 출현 빈도는 2회를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생성하였다.
형성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수준과 노드 수준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네트워크 수준에서는 네트워크의 크기와 밀도(density)를 확인하였고, 노드 수준에서는 네트워크 간의 평균적인 연결 정도(average degree), 평균 연결 거리(average distance)를 확인하였다. 중심성 분석은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그리고 아이겐벡터 중심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대상 글의 길이가 길 경우 근접 중심성 분석이 낮은 성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29]를 토대로 근접 중심성 분석은 제외하였다. 연결 중심성은 한 노드로부터 얼마나 많이 연결되었는지 연결 정도를 측정하는 중심성 척도로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다른 많은 키워드와 연결되어 있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14, 18]. 매개 중심성이란 한 노드와 다른 노드 사이에서 최단 경로에 위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중심성 척도로[17], 두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 측정하는 개념이다. 아이겐벡터 중심성이란 각 노드가 얼마나 많이 연결되어 있는지에 중점을 두는 연결 중심성에서 나아가 연결된 이웃 노드의 연결 정도가 높을 시 해당 노드의 중요도도 같이 높아지는, 가중치가 반영된 중심성 척도를 의미한다[14, 30]. 아이겐벡터 중심성은 개별 노드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가중치를 배제하는 과정을 거친 뒤 분석되기 때문에 해당 단어 자체와 주위에 함께 출현하는 단어들의 중요도가 고려되어 다수의 분석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의 상위 30개 단어를 추출하였으며, spring map을 이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특정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가 나타날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주제의 잠재적 경향성을 나타내는 토픽모델링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means clustering을 이용하여 실루엣(silhouette) 계수를 산출하였다. 실루엣 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클러스터링이 잘 된 것을 의미하며[31], 실루엣 계수를 이용한 선행연구[19, 21]를 참고하여 토픽 개수 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LDA의 입력 옵션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Markov chain Monte-Carlo를 사용하였고[28], α값, β값, 토픽 개수의 범위를 변경해가며 토픽을 추출하였다[19, 21]. 최적의 토픽 수 선정을 위해 α = 0.1~0.2, β = 0.01~0.02, TF-IDF = 0.1~0.3 필터링, no of literation = 1,000으로 옵션값에 따른 84개의 조합을 확인하였다. 84개의 조합 중 실루엣 계수 상위 10위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다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루엣 계수 상위 20개의 토픽모델을 확인한 후, 실루엣 계수 상위 10위 안에 포함되면서도 토픽모델에 나타난 토픽키워드들과 토픽이 배타적으로 분류되었던 토픽모델링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토픽모델링의 토픽들에 대해 키워드 및 할당된 문서 원본의 내용을 확인하여 전체 연구팀의 회의를 거쳐 주제의 경향성을 반영하는 토픽명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결정된 최종 토픽 모델은 핵심 주제 파악을 위해 선행연구[19]를 참고하여 토픽별 상위 10개 단어를 추출하였고, 토픽-키워드 맵에 상위 10개의 단어가 나타나도록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는 전북대학교의 기관생명심의위원회에서 심의 면제 승인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IRB No. JBNU-2022-04-026).
국민청원에서 ‘간호’와 ‘간호사’ 두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간호’ 관련 청원이 2,417개, ‘간호사’ 관련 청원이 2,737개로 총 5,154개의 청원이 검색되었다. 제목과 웹페이지 주소가 같았던 중복 청원 1,479개를 제거하였고, 이후 3,675개의 청원 중 본문을 읽어가며 제목과 내용을 검토 후 총 2,680개의 청원을 제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중복 청원 427개, 간호·간호사·간호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청원 1,951개, 간호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의료사고나 의료과실에 관한 청원 301개, 본문의 내용이 없는 청원 1개를 제외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995개의 청원이 선정되었다. 시기별로는 2018년에 가장 많은 청원인 550개의 청원이 작성되었으며, 2022년 1~5월은 11개의 청원이 작성되어 가장 적은 수의 청원이 작성되었다. 선정된 국민청원의 월별 분석 결과 2018년 2월과 2018년 3월의 청원 수가 가장 높았으며, 2019년 4월을 기점으로 게시되는 청원 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청원의 동의 수를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동의 수의 최댓값은 58,470개~247,380개 였으며 최솟값은 0~207개, 중앙값은 6~941개의 분포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간호관련 국민청원 전체 데이터에서 추출된 단어의 수는 4,866개였으며, 간호관련 청원의 DF와 TF, TF-IDF 0.2 미만 필터링 기준 상위 20위 핵심어는 Table 1과 같다. DF 확인 결과, 2개의 단어가 595번의 문서에 출현하여 가장 많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높은 DF는 2개의 단어가 514개의 문서에 출현하여 특정 단어가 다수의 문서에 출현하고 있었다. TF 분석 결과 ‘간호사’가 6,138회로 가장 많았으며, ‘병원’ 2,820회, ‘환자’ 2,445회, ‘근무’ 1,141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F-IDF 상위 20위 단어로는 ‘근무’의 TF-IDF가 가장 높았으며, ‘정부’, ‘의사’, ‘인력’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F와 TF-IDF에 동시에 등장한 ‘필요’, ‘부족’의 키워드는 ‘간호사’, ‘인력’ 등의 주요 키워드와 함께 등장하였다. TF-IDF에 새롭게 등장한 ‘이유’, ‘상태’는 문서 내에서 ‘환자’, ‘치료’ 등의 단어와 함께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F와 TF-IDF의 상위 20위 단어를 비교하였을 때 TF-IDF에서 ‘근무환경’, ‘상급종합병원’, ‘태움’ 등의 단어가 새롭게 등장하였다(Table 1).
Table 1
Top 20 Keywords of National Petition: DF, TF, TF-IDF
본 연구에서 동시출현 빈도 2회 이상, 단어 간 근접거리 2어절 이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를 생성한 결과, 노드 4,866개, 링크 351,526개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으며, 네트워크의 밀도 0.03, 평균 연결 정도(average degree) 144.483, 평균 연결 거리(average distance) 1.943으로 확인되었다.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을 바탕으로 생성한 네트워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기준으로 상위 30위 주제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 Figure 1, Appendix 1과 같다. 세 가지 중심성 분석의 상위 5위 주제어에는 ‘간호사’, ‘병원’, ‘환자’, ‘정부’, ‘근무’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었으며 순위 또한 같았다(Table 2). 연결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 분석 결과 주제어의 순위와 구성이 유사하였으며, 아이겐벡터 중심성 분석 상위 30위의 주제어와 연결 중심성 및 매개 중심성의 주제어를 비교했을 때 ‘근무환경’, ‘간호대학’, ‘면허증’, ‘간호조무사’, ‘교육’ 등의 주제어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또한 ‘인력’은 연결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는 11위에 해당하는 주제어였으나 아이겐벡터 중심성 분석 결과 7위로 순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Table 2).
Figure 1
Spring network map of centrality. (A) Degree centrality. (B) Betweenness centrality. (C) Eigenvector centrality.
Table 2
Top 30 Keywords with High Centralities: In National Petition
토픽 수는 k-means clustering을 이용한 실루엣 계수를 활용하였으며, 계수 산출은 Netminer 프로그램(CYRAM Inc.)의 기본 설정값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TF-IDF를 기준으로 필터링 범위 = 0.1~0.3, 토픽 수 = 4~10개, α = 0.1~0.2, β = 0.01~0.02 범위로 총 84개의 조합을 확인하였으며, 실루엣 계수의 결과로 나타난 토픽 수를 다양하게 변경하며 토픽 수 선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실루엣 계수 상위 20개의 토픽 모델을 확인한 후, 전체 연구팀 회의를 거쳐 실루엣 계수 산출 값이 84개의 조합 중 상위 3위에 속하면서도 내용이 배타적으로 나뉜다고 판단된 토픽 수 4개, TF-IDF 필터링 기준 0.2, LDA 파라미터 α = 0.2, β = 0.01, 실루엣 계수 0.914의 조합으로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을 대상으로 잠재적 토픽 수를 4개로 설정하여 LDA 기법을 활용한 토픽모델링을 시행하였다. 4개의 토픽에서 확률 분포를 기준으로 상위 10위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고, 주요 키워드가 포함된 청원의 제목과 본문을 확인하여 토픽 명을 명명하였다(Figure 2, Appendix 2).
Figure 2
Topic network of main keyword.
토픽 1은 전체 토픽의 49.1%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비중이 큰 토픽이었다. 주요 키워드에는 근무, 태움, 처우, 신규간호사, 개선책, 근무환경, 인력, 학생, 부족, 인증 등이 포함되었다. 해당 토픽에는 임상간호사, 간호직 공무원, 간호대학생 등을 포함한 간호 관련 인력의 근무환경·실습환경의 개선 요구와 간호사의 복지 향상, 처우 개선에 대한 청원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신규간호사 태움 등 간호 조직문화의 개선 요구에 대한 청원, 간호인력 충원의 필요성에 관한 청원, 인증 지침서 외우기, 환경 정리 등 환자 간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초과 업무를 수행하게 하는 현행 인증평가 제도의 보완 필요성을 언급하는 청원, 임상간호사 및 간호직 공무원, 지역사회 간호사들의 처우 개선에 대한 청원 등이 포함되었다. 간호대학생 또한 미래의 간호인력이기에 간호관련 인력으로 해석하였고, 이에 해당 토픽을 ‘간호 전문직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으로 명명하였다(Figure 2, Appendix 2).
토픽 2는 전체 토픽의 12.8%를 차지하였으며 주요 키워드에는 사건사고, 의사, 조사, 직원, 수술, 처벌, 국민, 의료, 여성, 코로나19 등이 포함되었다. 해당 토픽에는 의료계의 각종 사건사고에 대한 진상조사를 요청하는 청원과 관련된 가해자 처벌 및 재발 방지를 위한 법 제정을 요구하는 청원이 포함되었다. 또한 대리 수술 등의 불법 의료행위와 의료법 위반 사항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달라는 청원이 있었으며, 각종 사건사고의 가해자와 피해자로 의료진이 등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환자 담당 의료진의 지원 미비, 수당 미지급과 관련한 대구시의 감사를 요청하는 청원이 포함되었다. 이에 해당 토픽을 ‘의료계 사건사고와 관련된 진상조사 및 처벌 요구’로 명명하였다(Figure 2, Appendix 2).
토픽 3은 전체 토픽의 21.8%를 차지하였으며, 주요 키워드에는 간호조무사, 의사, 인력, 의료인, 업무, 의료, 정부, 국민, 간호법, 의료법 등이 포함되었다. 해당 토픽에는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전문간호사, 응급구조사 등 의료관련 직종 간에 명확한 역할 규정과 법제화를 요청하는 청원이 포함되었으며, 의료법에 명시된 업무에 관한 조항 명확화, 간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제정을 요구하는 청원이 포함되었다. 또한 전문간호사 역할을 법제화하고 physician assistance 역할을 수행하는 전담간호사를 법의 테두리 안에 보호하여 인력을 확보하자는 청원 등이 포함되었다. 이에 해당 토픽을 ‘의료관련 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 및 법제화 요구’로 명명하였다(Figure 2, Appendix 2).
토픽 4는 전체 토픽의 16.3%를 차지하였으며, 주요 키워드에는 부모, 병동, 코로나19, 입원, 치료, 상태, 보호자, 어린이, 전화, 응급실 등이 포함되었다. 해당 토픽에는 의료사고·과실과 관련된 환자 및 환자 가족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청원과 의료관련 서비스와 제도의 부족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는 청원이 포함되었다. 또한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및 제도의 정비를 요청하는 청원과 코로나19로 변화된 의료환경과 관계된 청원들이 다수 등장하였다. 코로나19 시기 대면 면회가 제한된 상황에서 전화로만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보호자의 불만과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청원, 요양병원의 환자 관리 및 치료 미비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청원이 속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환자 담당 의료진 및 관련 직종에 정당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청원이 포함되었다. 이에 해당 토픽을 ‘기타 의료관련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요구’로 명명하였다(Figure 2, Appendix 2).
간호관련 국민청원의 4개 토픽에서 주요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는 Figure 2, Appendix 2와 같다. 토픽 네트워크를 토픽별로 살펴보면 토픽 1 ‘간호 전문직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과 토픽 3 ‘의료관련 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 및 법제화 요구’는 ‘인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토픽 2 ‘의료계 사건사고와 관련된 진상조사 및 처벌 요구’와 토픽 4 ‘기타 의료관련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요구’는 ‘코로나19’로 연결되어 있었다. 토픽 2와 토픽 3은 ‘국민’, ‘의사’, ‘의료’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간호와 관련된 청원들이 공통의 키워드를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Figure 2, Appendix 2).
총 995개의 청원을 2017년부터 2022년 5월까지 1년 단위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픽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는 Figure 3A와 같다. 2018년은 간호와 관련된 국민청원의 수가 가장 많았던 해로, 모든 토픽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토픽별로 살펴보면, 토픽 1 ‘간호 전문직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 토픽은 2018년도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토픽이었으며 2020년 이전까지는 모든 토픽 중 가장 청원 수가 많았으나 2020년 이후에는 다른 토픽들의 청원 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토픽 2 ‘의료계 사건사고와 관련된 진상조사 및 처벌 요구’ 토픽에 해당하는 청원들은 2019년부터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다. 토픽 3 ‘의료관련 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 및 법제화 요구’ 토픽은 모든 토픽에서 청원 수가 많았던 2018년을 제외하고 다른 토픽들에 비해 2021년에 청원 수가 가장 많았다. 토픽 4 ‘기타 의료관련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요구’ 토픽은 2018년을 제외하고, 2020년에 청원 수가 가장 많은 토픽이었다(Figure 3A). 간호관련 국민청원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픽별 비중의 변화는 Figure 3B와 같다.
Figure 3
Changes in annual topics of nursing-related national petition. (A) Changes in the number of petitions for topics by year. (B)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topics by year.
본 연구는 간호 분야의 국민청원을 대상으로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민청원에 나타난 국민들의 간호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간호계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간호에 대한 국민의 요구를 폭넓게 반영하는 정책 마련에 기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동의수가 높은 국민청원은 국민들이 청원이 타당하고 공감한다는 의미이며[32], 정책 입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13]. 본 연구의 개별 청원 동의 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편차가 매우 컸으며, 중위수 또한 낮았다. 이는 동의 수가 높았던 몇 개의 특정 청원을 제외하고 대다수의 청원은 동의 수가 낮았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5년간의 청원 중 200,000개 이상의 동의 수를 얻은 청원은 1개뿐이었으며, 타 분야의 국민청원 분석 연구에서도[15, 16] 동의 수 답변 기준점을 넘긴 청원이 없었다. 현 제도는 동의 수가 낮으면 답변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동의 수 기준을 현실적으로 낮추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2019년 3월 31일부터 SNS상 100명 이상의 사전 동의를 얻은 청원만 공개되도록 게재 방식이 변화되었으므로[10] 이후 동의 수 감소를 간호관련 청원 자체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의 수가 낮아 답변을 받지 못하였으나 정책에 반영될 가치가 있는 청원을 선별하고, 정책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TF 분석과 TF-IDF 분석 결과 ‘환자’, ‘병원’, ‘근무’와 같은 임상 중심의 단어들이 상위 순위에 있었으며, TF-IDF 분석 결과 ‘근무환경’, ‘태움’ 등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는 지난 5년 동안 ‘근무환경’, ‘태움’과 관계된 청원의 수가 많았으나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 조직, 국가 차원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18, 21]에 비해 네트워크의 밀도는 낮았고, 네트워크의 키워드 간 연결 정도는 높았으며, 평균 연결 거리는 짧거나 비슷하였다. 이는 특정 주제나 특정 키워드가 포함된, 대표적인 청원이 많았음을 의미하며, 청원의 주제가 한정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나, 이는 청원이 특정 시점과 사건을 반영하며 정책화를 위한 글이라는 특징이 반영된 결과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연결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을 비교하였을 때, 연결 중심성 상위에만 등장한 키워드는 ‘신규간호사’였으며, 매개 중심성 상위에만 등장한 키워드는 ‘처우’였다. ‘처우’는 동시 출현 네트워크에서도 상위 20위에 속한 단어로서 ‘간호사’, ‘개선’, ‘신규간호사’ 등의 주요한 키워드들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이겐벡터 중심성 분석 결과에서 ‘근무환경’, ‘간호조무사’, ‘간호대학’, ‘면허증’ 키워드가 새로 등장하였는데, 이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간호 교육, 직무 수행 시 갖추어야 하는 자격, 업무 범위에 대한 청원이 중요한 것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력’은 다른 중심성 분석결과보다 아이겐벡터 중심성 분석에서 두드러지게 순위가 높게 나타난 키워드로 간호와 관련된 청원의 핵심 주제어로 볼 수 있어 인력 충원, 인력 부족 등 인력 문제 해결을 원하는 청원이 많았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토픽모델링 시행 결과, 토픽 1 ‘간호 전문직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과 토픽 3 ‘의료관련 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 및 법제화 요구’는 주로 의료계 종사자의 요구와 관련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 문서의 70.9%를 차지하였다. 두 토픽은 ‘인력’이라는 키워드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를 통해 간호사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 및 의료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과 관련한 인력문제가 주요 이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의료계에서 인력문제를 우선적으로 논의하고,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토픽 1의 주요 주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충분한 인력 확보이며, 토픽 3 또한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의료관련 직종의 인력 문제와도 연계되어 있다. 전담간호사의 활동은 의사 인력 부족과 큰 관련이 있기에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력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며, 법의 테두리 안에서 적법한 인력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토픽별 청원의 세부사항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토픽 1 ‘간호 전문직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에는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를 감축하고, 법제화 요구에 관한 청원이 포함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재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1명이 16.3명의 환자를 간호하고 하는 상황으로[33], 간호인력은 1,000명당 8.4명으로 OECD 평균인 9.7명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34]. 이는 환자를 간호할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과도 연계된다. 간호사들이 현장에서 환자를 간호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간호사 1인당 적정 환자 수 감축을 명시하는 법안이 필요하며, 간호 현장에서 인력의 충분한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인력의 확보를 위해서는 간호인력취업교육센터(https://rnjob.or.kr/education) 등 경력 연계 교육을 통하여 유휴간호사들이 임상 현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간호사들이 간호현장을 떠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간호사 근무환경 개선의 일환으로 2022년 4월부터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간호사 교대제 개선 시범사업[35] 등을 통해 근무시간과 근무 형태를 다양하게 운영하면 임신, 병가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결원을 즉시 보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직장 내 괴롭힘도 개선될 수 있으므로[36]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간호조직 내부에서도 직장 내 괴롭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규간호사에게 존댓말 쓰기, 간호사 간 상호존중 캠페인 등을 통해 구성원들이 상호 존중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토픽 1에는 간호사의 인권보장과 처우에 대한 청원도 포함되었다. 간호사의 인권 침해 여부를 조사하는 중립적인 기관의 설립과 간호사의 인권보장을 명시하는 관련 법안을 입안해 줄 것을 요구하는 청원이 있었고, 코로나19 상황에서 간호직 공무원과 지역사회 간호사의 처우 문제,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현재 임상 현장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 처우 개선 대책이 있으나 그 적용 여부는 권고에 그치고 있어[37], 실효성을 갖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간호직 공무원 및 지역사회 간호사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선행연구[8]에서 확인된 비정규직 간호사와 정규직 간호사 간 수당, 휴가, 승진 체계에서의 불합리 등이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간호직 공무원과 지역사회 간호사가 과다한 업무를 감당해야 하는 비상 상황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충분한 지원과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토픽 3 ‘의료관련 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 및 법제화 요구’에는 직역 간의 역할을 명확화, 전문간호사 및 전담간호사 역할의 법제화 요구에 대한 청원들이 있었다. 현 의료법은 보건의료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38], 의료법 조항의 ‘진료의 보조’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38]. 의료법 제78조 제3항에도 전문간호사의 자격 등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으나[39], 업무 범위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Kim 등[40]의 연구에서도 전문간호사를 의료수요 증가 및 의료환경 변화에 필요한 최적의 의료인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전문간호사들이 의료법 상 모호한 업무 범위 기술로 인한 역할·제도의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는 점이 확인되었다. 추가로, 부족한 의사인력을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전담간호사 또한 법적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다. 업무 범위가 명확하지 않으면 분쟁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고, 올바른 법 적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업무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이 포함된 법 조항을 보완한 의료법 개정 또는 간호법 제정이 필요하다. 또한 전담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하여 법적인 보호장치 마련도 필요하다. 이러한 법안 마련과 정책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 대한간호협회 차원에서는 간호 조직 내의 직역 간 업무 범위 명확히 규정하는 간호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지속해야 한다. 간호 구성원들도 하나의 정책적 변화가 삶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정책 수립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간호사나 간호대학생들이 간호정책이나 법안에 관심을 기울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대학 과정에서부터 간호 정책이나 법안 관련 교과목을 개발하고 필수과목으로 지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한 간호정우회와 같은 단체 활동의 참여를 통해 간호사 개인의 간호정책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간호정치인으로서의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토픽 2 ‘의료계 사건사고와 관련된 진상조사 및 처벌 요구’와 토픽 4 ‘기타 의료관련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요구’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와 관련이 있었으며, 전체 문서의 29.1%를 차지하였다.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요구도와 관련된 두 개의 토픽은 ‘국민’, ‘의사’, ‘의료’의 키워드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는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자의 요구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계 내부 차원의 해결책보다는 보건 의료계 전체 또는 국가적인 차원의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국민들의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토픽 2와 토픽 4는 모두 의료계의 사건사고에 대한 처벌 및 의료서비스의 개선 등을 요구하였는데,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간호서비스와 제도를 긍정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토픽 2 ‘의료계 사건사고와 관련된 진상조사 및 처벌 요구’에는 각종 사건사고와 관련하여 법적 처벌을 요구하는 청원과 대상자들이 안전한 의료환경을 제공받기 원한다는 내용의 청원이 있었다. 현재 의료사고 입증 책임은 의료사고임을 제기하는 쪽에 있다[41, 42]. 그러나 의료관련 기록의 접근성과 의료적 지식의 차이로 볼 때, 환자가 의료사고를 입증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의료적 지식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한국 의료분쟁 조정위원회는 의료분쟁과 각종 의료사고에 대한 자문을 시행하고 있는데[43], 정부차원에서 이러한 제도를 안내해야 한다. 의료관련 분쟁 시 의무기록은 판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들은 간호기록을 작성할 때 환자에게 제공한 간호를 기반으로 정확하고 충실하게 기록해야 한다. 더불어 간호사는 환자의 옹호자로서 환자의 알권리 및 자기결정권을 존중해야 하며, 이러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각종 사건사고로부터 안전한 의료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사고의 위험요인을 사정하고 위험요인을 제거해야 하며 간호 수행 시 처방에 대한 정확한 확인과 주의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 부득이하게 환자안전사고 발생 시 투명하게 보고하는 조직문화와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환자안전사고의 보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환자안전관리 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44]를 기반으로 근접 오류와 같이 상대적으로 환자에게 직접 미치는 영향이 적은 사고라 할지라도 적극적으로 보고하는 태도를 가져야 하며, 환자안전사고의 당사자를 비난하지 않는 공정문화 조성이 필요하다.
토픽 4는 ‘기타 의료관련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요구’로, 의료관련 제도와 서비스에 대한 각종 불만과 개선을 요구하는 청원이 포함되었다. 의료 및 간호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면 해당 의료기관의 이용 의도도 높아질 수 있으므로[45], 기관 내 고객의 소리함이나 기관 내 민원 창구에 제시된 이용자의 불만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개선활동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토픽 4에는 간호·간병 통합 병동의 적절한 입실 기준안을 마련해 달라는 요구가 있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이용 만족도는 일반병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46] 청원에 나타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자들은 인지가 있으며 거동이 가능한 경증 환자 위주로 병실이 배정되어, 가장 간호·간병이 필요한 중증 환자들이 서비스에서 제외된다는 불만을 호소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보건복지부에서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47].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꼭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입실 기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중증 환자들이 배제된 이유는 간호할 인력의 부족과도 관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중증 환자를 간호할 수 있는 충분한 인력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코로나19 시기에 보호자들은 대면 면회가 제한되고 전화로만 환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현하였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대면 면회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 비대면 면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선행연구[48] 등을 참조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면회를 시행하는 방안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간호관련 국민청원의 분석을 통해 지난 5년간 간호에 대한 이슈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국민들의 간호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간호 분야에서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이용하여 국민청원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국민청원 자체가 청원 내용에 개인의 주장을 포함하고 있어 청원 내용의 객관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둘째, 국민청원 제도가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청원을 작성하므로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이 어려운 노인 및 정보 접근이 취약한 대상자들의 요구는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양적 내용분석 중심의 텍스트네트워크 분석 특성상 개별청원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점과 함께, 토픽모델링의 경우 토픽의 잠재적 경향성에 따라 주제를 할당하기 때문에 토픽과 해당 키워드가 명확한 연결성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단어 사이의 관계를 직접 추출하거나 추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49, 50]는 방법론적 제한이 있다. 따라서 주제의 경향성에 초점을 두고, 결과의 해석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 분야의 국민청원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 본 연구를 통해 간호와 관련된 국민들의 다양한 요구가 국민청원에 게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간호 전문직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 ‘의료관련 직종 간의 명확한 역할규정 및 법제화 요구’, ‘의료계 사건사고와 관련된 진상조사 및 처벌 요구’, ‘기타 의료관련 제도 및 서비스에 대한 개선 요구’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와 관련된 국민들의 요구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청원의 작성 주체별로 나누어 분석하는 연구의 수행을 제언한다. 둘째, 실무에서 일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및 처우 문제의 근본 원인인 인력 문제의 해결을 위한 간호조직과 국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안전한 의료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가 차원에서 의료과실, 의료계 사건사고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감시 기구를 마련할 것을 제언한다. 넷째, 국회와 정부는 본 연구결과 제시된 청원 내용을 반영하는 구체적인 정책 및 관련 법안을 제정할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대한간호협회 등 간호 관련 단체 차원에서 법안 마련의 필요성 등을 홍보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CONFLICTS OF INTEREST:Jeong, Seok Hee has been the editorial board member of JKAN since 2022 but has no role in the review process. Except for tha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or/and Methodology: Ko H & Jeong S & Lee E & Kim H.
Data curation or/and Analysis: Ko H & Jeong S.
Funding acquisition: None.
Investigation: Ko H & Jeong S.
Project administration or/and Supervision: Jeong S.
Resources or/and Software: Ko H.
Validation: Ko H & Jeong S & Lee E & Kim H.
Visualization: Ko H.
Writing original draft or/and Review & Editing: Ko H & Jeong S & Lee E & Kim H.
None.
Please contact the corresponding author for data avail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