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J Korean Acad Nurs > Volume 49(5); 2019 > Article
Review Article Changes in Strauss & Corbin's Grounded Theory
Ji Eun Ki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9;49(5):505-514.
DOI: https://doi.org/10.4040/jkan.2019.49.5.505
Published online: January 15, 2019
Department of Nursing, Chodang University, Muan,
Corresponding author:  Ji Eun Kim,
Email: mattanya@korea.ac.kr
Received: 20 February 2019   • Revised: 24 July 2019   • Accepted: 1 August 2019

next
  • 42 Views
  • 0 Download
  • 7 Web of Science
  • 0 Crossref
  • 9 Scopus
next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nd elucidate changes i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nd discuss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of nursing in South Korea.

Methods

The changes in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grounded theory from its inception.

Results

Strauss and Corbin acknowledged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symbolic interactionism and pragmatism; however, their methodology based on positivism overwhelmed their epistemology and ontology. This inconsistency has been represented by the coding paradigm and the premise of “emergent from the data.” In the revised version of Basics, Strauss and Corbin modified their theory to weaken the coding paradigm and strengthen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Conclusion

Strauss and Corbin's revised grounded theory did not fully address the inconsistency of their epistemology and ontology between their acknowledgement and methodology. However, these changes constitute a meaningful step toward resolving inconsistencies and highlight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This has implications for Korean nursing researchers who have utilized methodologies in grounded theory with dogmatic approaches; grounded theory, with its evolving nature, is not a finalized method and calls for open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nded theory that fits Korean nursing.


J Korean Acad Nurs. 2019 Oct;49(5):505-514. Korean.
Published online Oct 30, 2019.
© 2019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Review
Strauss와 Corbin 근거이론의 변화
김지은
Changes in Strauss & Corbin's Grounded Theory
Ji Eun Kim
    •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Department of Nursing, Chodang University, Muan, Korea.
Received February 20, 2019; Revised July 24, 2019; Accepted August 01, 2019.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Derivs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If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nd retained without any modification or reproduction, it can be used and re-distributed in any format and medium.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nd elucidate changes in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nd discuss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of nursing in South Korea.

Methods

The changes in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grounded theory from its inception.

Results

Strauss and Corbin acknowledged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symbolic interactionism and pragmatism; however, their methodology based on positivism overwhelmed their epistemology and ontology. This inconsistency has been represented by the coding paradigm and the premise of “emergent from the data.” In the revised version of Basics, Strauss and Corbin modified their theory to weaken the coding paradigm and strengthen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Conclusion

Strauss and Corbin's revised grounded theory did not fully address the inconsistency of their epistemology and ontology between their acknowledgement and methodology. However, these changes constitute a meaningful step toward resolving inconsistencies and highlight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This has implications for Korean nursing researchers who have utilized methodologies in grounded theory with dogmatic approaches; grounded theory, with its evolving nature, is not a finalized method and calls for open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nded theory that fits Korean nursing.

Keywords
Grounded Theory; Symbolic Interactionism; Review
근거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종설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근거이론은 1987년 대한간호학회 춘계학술대회 보고서[1]를 통해 국내 간호학계에 소개된 이래로 많은 학위논문과 연구에서 사용되어 왔다. Strauss와 Glaser가 병원 현장에서 환자와 주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래로 건강 현상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왔다[2, 3, 4, 5]. 근거이론은 Strauss가 Glaser와 함께 1967년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이하 Discovery)에 처음 소개하였는데 이 둘의 근거이론은 제1세대 혹은 고전적 근거이론이나 객관주의 근거이론으로 불린다[6, 7]. 이들이 가르친 제자 세대들은 제2세대로 분류되는데, 제1세대를 객관주의라 칭하며 상대적 개념으로서 구성주의에 입각한 Charmaz의 근거이론이나 Clarke의 상황적 분석과 같이 다양한 근거이론이 있다[6, 7].

이러한 근거이론의 구분은 단순히 시간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근거이론의 이론적 기반에 따른다. Strauss와 Glaser의 ‘Discovery’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및 실용주의와 실증주의를 근간으로 하나 이후 Glaser의 근거이론은 실증주의적 관점에 몰두하는 반면, Strauss와 Corbin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실용주의를 중점으로 하고, Charmaz는 객관적 실재(reality)를 부정하는 구성주의와 주관주의를 통해 근거이론을 전개한다[6, 8, 9, 10, 11]. 이론의 인식론과 존재론을 확인해야 하는 것은 그 견지에 따라 구성과 의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11, 12]

이 가운데 Strauss와 Corbin의 버전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13, 14, 15]. 이는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이 자료수집과 분석에 있어 구체적인 절차와 기법에 대한 제시로 연구자의 접근성을 높여 주기 때문이다[16, 17]. 즉 Strauss와 Corbin 방법론으로의 편중된 선택은 근거이론에 대한 이론적 인식에 기반하기보다는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편리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13]. 문제는 이러한 접근이 근거이론에 대한 이해 부족과 방법적 절차로 치우치게 하고, 연구 주제 선정과 해석에 괴리를 유발하여 근거이론의 특성을 발현하지 못하게 된다는 데 있다[8, 11]. 실제 국내 근거이론의 사례를 분석하였을 때,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분석절차에서 축 코딩만을 주된 개념적 분석과정으로 사용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과정으로 대체하고 오인하는 식의 오류가 흔히 나타나고 있다[18]. 특히 국내 연구들에서 획일적으로 사용하는 패러다임 모형의 경우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적 없는 Creswell의 사례이다(Figure 1) [13, 19, 20]. 정확하게는 Creswell과 Brown [21]에서 제시된 형태를 기반으로 Mastera [22]가 박사학위논문에 제시한 것을 논문의 심사위원이었던 Creswell [19]이 자신의 저서에 소개한 것이다. 국내 간호학계에서는 Choe [23]가 최초로 패러다임 모형(Figure 2)을 Mastera와 같은 해에 제시하였는데, 결과의 이분적 구도라는 차이가 있으나 패러다임 모형의 도식화라는 전형성 측면에서 Creswell의 사례로 통칭되며 사용되고 있다[13].

Figure 1
An example of Korean researcher's paradigm model using Creswell version.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Ji Eun Kim, Ph.D. [20].

Figure 2
An example of Korean researcher's paradigm model leading to binary consequences.
Reprinted with permission from Mi Hye Choe, Ph.D. [23].

이러한 근거이론방법론의 잘못된 적용은 일선 연구자의 몰이해만이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각 근거이론의 인식론과 존재론 자체의 오류와 방법론적 결여에서 비롯되는 부분이 있다[12, 24]. Strauss 학파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를 실증주의적 방법론으로 구현하는데 있어 연구자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변화가능한 사회현상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하였다[10]. 이것이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이 과연 실증주의적 관점에서 완성가능하냐는 지적을 받는 부분이다[12]. Glaser의 경우 간호학계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인식론과 존재론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을 근거이론에 대한 이해 결여로 여길만큼 인식론과 존재론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였다[12, 13, 25]. 따라서 그가 문헌고찰없이 연구자의 수동적 자세에서 이론적 실재의 출현을 기다릴 것을 요구하는 것은 순전한 실증주의자이기에 가능한 요구라고 지적된다[12, 13]. 특히 Strauss 학파가 제시한 구체적 분석전략은 이론의 출현이라는 고전적 근거이론 고유의 특성을 훼손시키며 근거이론의 생성 자체를 방해한다고 비판받게 되었다[16, 26, 27].

이에 따라 Strauss와 Corbin은 자신들의 저서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이하 Basics)의 개정판에 여러 비판들을 반영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들의 경우 Strauss와 Corbin의 초기 방법론을 답습하는 형편이다[12, 13, 28]. 이는 Strauss와 Corbin 버전의 축 코딩과 선택 코딩 용어 사용 중단을 적용한 연구가 본 학회지에서도 단 한편에 불과하다는 데서 알 수 있다[29].

국내 간호학계의 경우 근거이론 소개[1, 30]와 Strauss와 Glaser 이론에 대한 방법론 비교 연구[31] 등이 근거이론 수용 시기에 일부 시도되었다. 그러나 타 학문 분야에서 근거이론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지속적으로 제시해 온 것과 달리[12, 14, 32, 33] 최근 10년 간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없다. 또한 Strauss 학파의 변화는 어느 분야에서도 다루어진 적이 없다. 그러므로 근거이론이 지속적 논쟁 속에 변화와 개발을 이루어 왔음에도 불구하고[34] 이에 대해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근거이론 연구를 양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방법론적 도구로 접근하는 데 그침으로써 방법론에 매몰되어 자료와 유리된 해석을 하고 근거이론의 특색을 상실한 질적 연구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Strauss와 Corbin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변화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한 간호학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Strauss와 Corbin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변화를 확인하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근거이론의 본질적 관점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국내 간호 현장에 맞는 근거이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간호 실체이론 개발을 도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종설 논문으로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의 태동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문헌을 고찰하였다. 태동 시의 연구는 Strauss와 Glaser의 공동 연구 및 개별 연구를 모두 검토하였다. 이후 Strauss와 Corbin의 연구를 고찰하고 Strauss와 Corbin 이론에 대한 논쟁을 다룬 국내외 문헌을 비롯하여 근거이론 전반에 대한 고찰과 논의를 다룬 문헌을 확인하였다. Strauss 학파 이론의 주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른 주요한 근거이론과 Glaser와 Charmaz의 연구와 저서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1. 근거이론의 태동

근거이론이 개발되던 당시 사회학은 실제 사회와는 관계없는 거대 이론이 주류를 이루는 한편, Strauss와 Glaser가 조우한 Chicago 대학은 질적 연구의 전통 속에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를 발전시키고 있었다[17, 35, 36]. Strauss와 Glaser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자로서 사회의 구조 안에서 과정을 기술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여기며 ‘구조적 과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9, 10, 36, 37]. 그들은 이러한 사회과정의 연구를 이론 검증(verification)으로 그치지 않고 이론 생성에까지 이르는 것을 근거이론 개발의 동기로 삼았다[36, 38]. 근거이론은 이론의 수준을 실체이론으로 하여 특정 영역에 한정된 문제를 설명할 수 있게 하고, 연구방법은 자료의 체계적 수집, 분석이라는 질적 연구로 이루어지게 되었다[6, 39, 40].

근거이론의 철학적 기반은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Dewey의 실용주의를 포함하며 두 이론은 모두 지식이 작용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생성된다는 가정을 갖고 있다[10]. 특히 Blumer가 명명하고 계승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는 근거이론의 핵심이 되었다[3]. 이론의 주요 전제는 인간의 정신과 행위는 분리되지 않으며, 인간의 정신은 유기체들이 상호작용하는 인간 사회로부터 유래한다고 보는 것이다[2, 41]. Blumer의 제자였던 Strauss는 Glaser와 함께 이를 인식맥락(awareness context)이라는 파생된 개념으로 발전시켰다[2, 5]. 이를 통해 인식맥락을 ‘각각의 상호작용주체들이 타인의 정체성과 타인의 시선 속에 있는 자신의 정체성을 아는 것의 총합’이라고 규명하였다[5]. 또한 그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하는 인식맥락의 다양한 유형으로 개방형, 폐쇄형, 의심형, 가장형의 4가지를 제시하였다[4, 5].

인식맥락 연구는 기존의 사회학자들이 민속지학 연구와 사례 연구들에서 사회과정을 기술하는 데 이미 사용하고 있는 방법들을 활용하였다[3, 42]. 이 방법들은 이전에 방법론으로 소개된 바 없던 것들이어서 그들은 실제 적용한 연구 방법을 연구의 부록에 첨부하였다[4]. 이를 기반으로 1967년 근거이론이라는 명명과 방법론을 교재로 제시한 것이 바로 ‘Discovery’이다[3, 10]. 따라서 ‘Awareness of Dying’은 Strauss와 Glaser의 첫 근거이론 연구이다[4, 5].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데는 양적 연구에 훈련된 Glaser의 역할이 컸다. 그는 Columbia 대학에서 수학하며 Lazarsfeld와 Merton으로부터 양적 조사방법론과 중범위 이론을 배운 것을 활용해 근거이론이 실체이론으로서 중범위 이론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36].

이와 같이 상이한 이론적 배경을 가진 Strauss와 Glaser가 질적 연구로서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을 구현하는 틀을 마련한 것이 근거이론이다[35]. 이는 훗날 그들이 생각하는 근거이론의 차이와 균열로 이어졌으나[12, 14, 43] 이론이 스스로 출현한다는 근거이론의 전제는 유지되었다. 이는 근거이론이 자료의 수집과 분석에 있어 타 질적 연구방법론과 구별되는 특성을 갖게 하였는데, 이론적 표집, 지속적 비교분석, 그리고 이론적 민감성이 대표적이다[40, 44].

이론적 표집은 도출된 개념과 주제를 근거로 개념을 개발하고 변화를 확인하며 개념 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더 이상 새로운 개념이 나오지 않는 포화에 이를 때까지 진행하는 것이다[9, 10, 45]. 따라서 근거이론에서는 초기의 표집을 출발점으로 삼아 이론적 표집을 통해 연구자가 이론의 방향성과 범주를 명확히 알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념과 이론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6]. 이론적 표집의 길잡이가 되는 것은 지속적 비교분석인데, 분석과정 중 자료의 다른 사항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가며 유사한 개념들은 하나의 명명된 개념 하에 묶고 이를 자료분석의 수준이 다른 분석단계에도 적용해 반복 시행하는 것이다[9, 10, 45]. 지속적 비교분석은 개념을 구별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공통된 맥락으로 통합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10]. 이론적 민감성은 이론적 표집, 지속적 비교분석과 함께 연결된다[39]. 이는 객관성의 상대적 개념으로 설명되는데, 연구자가 연구에 출현하는 이론에 관련 내용들을 조율하고 추출하며 통찰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9, 10, 37, 45].

그 외 Strauss와 Glaser 학파에서 강조하는 핵심범주가 있다. 바로 핵심범주가 기여하는 이론의 일반화에 따른 것으로, 그들은 핵심범주가 발현되는 행위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게 한다고 보았다[17, 45]. 핵심범주의 도출은 지속적 비교분석을 사용하여 연구자가 ‘주요 주제’를 끊임없이 주시해야 가능하다고 하였다[17, 39]. Strauss [17]는 Glaser [39]가 작성한 핵심범주의 기준 중 일부를 발췌하여 제시하였다: 1) 중심성, 2) 빈번성, 3) 풍부한 관련성, 4) 형식이론의 가능성을 위한 명확한 함의, 5) 분석력을 통한 이론의 적절성 확보, 6) 최대한의 변이 가능성. Glaser [39]가 핵심범주와 함께 기본 사회적 과정을 이론통합의 분석방법으로 함께 제시하는 것과 달리, Strauss 학파는 이론통합은 핵심범주가 나타내는 ‘중심현상’에 있다고 하였다[17, 35, 46].

2. Strauss와 Corbin 방법론의 변화

1) Strauss와 Corbin 방법론에 대한 비판

Strauss 학파가 비판받은 문제점을 본 연구에서는 (1) 코딩 패러다임의 작위성과 (2) 근거이론 생성의 실패, 두 가지로 구분해 보았다. Strauss 학파의 근거이론에 대한 비판은 체계적으로 정교화된 분석 기법에서부터 비롯된다. Glaser [26]는 이러한 분석과정이 연구자를 경직되게 하여 발견을 출현이 아닌 강제적 산출이 되게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Strauss 학파의 근거이론은 발견에 도달하지 못한 채 서술적이고 경험 차원의 주제에 머무르게 되고 사회적 과정과 거시 구조의 맥락을 파악하지 못하게 된다[14, 27]. 결과적으로 실체이론 생성이 되지 않으므로 그 많은 분석과정들이 절차로의 매몰만 유발하는 소모적이고 불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게 되었다[16, 24].

특히 Strauss 학파 고유의 코딩 패러다임에 다양한 학자들로부터 비판이 집중된다. Ellis [16]는 Strauss와 Corbin의 방법론이 자료분석에 있어 다차원으로 구조화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그래서 정작 제시된 이론생성 분석전략으로 이론생성이 힘들뿐 아니라 생성된 경우라도 귀납적 이론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하였다. Charmaz [6]는 연구 내용의 모호성을 다루기 힘든 연구자에게는 축 코딩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연구자의 능력 개발에는 방해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주관적 상황을 연속선으로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것 자체가 가능하지 않기에 축 코딩이 사실상 내용 채우기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Kwon과 Choi [32]는 이러한 내용 채우기 식의 패러다임 모형 분석은 연구자의 자의적 속임수라는 위험성을 방조한다고 지적하였다.

Strauss와 Corbin의 방법론은 Strauss가 생존하여 직접 저술에 참여한 제1, 2판[35, 37] (이하 ‘1기’로 표기)과 Corbin의 주도로 개정된 제3, 4판[9, 10] (이하 ‘2기’로 표기)으로 크게 구별된다. ‘Basics’의 저술은 그동안 받아온 비판을 반영해 변화해 왔다.

2) 코딩 패러다임의 축소

코딩은 고전적 근거이론방법론의 주된 분석과정으로, ‘자료로부터 개념의 추상화와 재통합’을 가능하게 한다[28]. Strauss [17]는 Glaser [39]의 개방 코딩, 선택 코딩, 이론 코딩에 대응되는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의 3단계 코딩을 제시하였다. 개방 코딩은 개념과 범주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른 질적 연구에서처럼 근거이론에서도 분석의 기본 단계가 된다[45].

축 코딩은 Strauss 학파의 핵심으로, 개방 코딩 이후 범주 주변에 대한 심화된 분석으로 범주간 관계를 만드는 일련의 분석과정을 의미한다[17, 35, 37]. 축 코딩은 조건(conditions), 작용-상호작용(actions-interactions), 결과(consequences)를 포함한다[17, 35]. 2기에서는 패러다임의 구성이 맥락을 제외하고 조건, 작용-상호작용, 결과(consequences or outcomes)로 한정된다. 조건은 ‘왜, 어디서, 어떻게, 무엇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답변을 주는 것’으로, ‘사람들이 작용-상호작용에 대응하는 양식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9, 10]. 조건의 명명은 제2판에서만 예시들을 제시한 바 있는데,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며 변화시키’는 중재적 조건, ‘시간과 장소라는 차원에서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반응하게 되는 상황이나 문제를 만들어내는 조건의 집합’인 맥락적 조건이 해당된다[37]. 작용-상호작용은 ‘사건이나 문제 상황에서 사람들이나 그룹들이 만드는 실질적인 반응’을 의미하고[10], 결과는 ‘작용과 상호작용으로 초래되는 것이 예측되는 혹은 실질적인 결과물’을 말한다[9, 10].

‘Basics’ 1기와 2기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축 코딩과 선택 코딩의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Corbin은 제3판에서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이 자연상태에서 혼재할 수 밖에 없으므로 축 코딩이라는 구분이 인위적이라고 밝혔다[9, 10]. 따라서 2기에서는 축 코딩을 위한 가설적 관계진술이나 축소형 구조틀의 분석기술은 더 이상 제시하지 않는다. 축 코딩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보는 패러다임 모형과 선택 코딩의 분석기술이던 조건-결과적 매트릭스는 함께 새 분석 개념인 맥락에 포함된다.

3) 실체이론 생성 강조

‘Basics’ 2기에서는 현상이 나타나는 과정과 사회체계의 규명을 강조하고 있다. 근거이론의 본질이 과정을 규명하는 실체이론의 생성이라고 본다[9, 10, 37]. 이를 위해 1기에서 3단계 코딩 외에 별도의 분석기법으로 제시되던 과정 분석과 조건-결과적 매트릭스가 주요 분석기법으로 부각된다.

Strauss 학파는 이론의 통합적 제시를 위한 기법으로 선택 코딩을 1기에 제시한 바 있다[35, 37]. 1기에서 선택 코딩의 첫 단계였던 핵심범주는 2기에서도 맥락과 과정을 거쳐 이론적 통합을 모색하는 첫 단계로 제시되고 있다[9, 10]. 그러므로 맥락의 정의는 2기에서 이론통합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제1판[35]에서는 맥락을 ‘현상을 포함하는 일련의 특정 속성들로 범주의 범위에 따라 현상에 관련된 사건이 자리하는 곳’이라고 표현하였다. 제3판에서는 맥락이 ‘패러다임의 구성 조건들의 집합에 부여하는 개인의 인식’이라고 하여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기본 철학과 연결된다[9]. 더 나아가 제4판에서는 맥락이 ‘패러다임 모형에서 이루어진 작용-상호작용을 설명하므로 이는 개념으로 이어지게 하고 이론의 설명력을 갖게 한다’고 하였다[10].

과정 분석은 사건에 대한 개인의 경험을 관계성 규명을 통해 국면과 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6]. Strauss와 Corbin이 보는 과정은 개인이 경험하는 사건이 작용-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9, 10]. 이와 함께 개념이기도 한 하위과정으로 나뉠 수 있어서 과정을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하고 선형적이지 않은 내용을 함축할 수 있게 한다[9, 10]. 이렇듯 과정은 선형적으로 시간성을 가지며 설명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조건-결과적 매트릭스는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수직적 차원으로 제시하는 것이다[10, 43]. 제2판에서 제시된 매트릭스는 근거이론을 거래 체계로 바라보는 관점만을 제시한 데 반해, 제3, 4판에서는 작용과 상호작용의 발현을 중심으로 조건과 결과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즉 작용-상호작용을 개인에 한정하지 않고 사회의 범위로 확장하여 알 수 있게 하므로 작용-상호작용의 복잡성을 매트릭스라는 하나의 도식에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한다[9, 10].

이를 종합해 볼 때, 2기의 변화는 기존의 코딩 패러다임을 통한 개념 도출 위주에서 벗어나 맥락과 과정 및 조건-결과적 매트릭스를 통한 ‘구조적 과정’을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론의 생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논 의

근거이론은 이론개발이 핵심으로, 수집된 자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된 이론을 합리화하고 질적 연구로서 타당화하고자 한다[39, 40]. Strauss [17]는 근거이론 자체가 특정 방법이나 기술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으나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은 코딩 패러다임으로 특징되는 분석방법과 함께 면담, 현장작업, 해석 등을 활용하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알려져 왔다[40]. 이에 따라 근거이론의 활용은 인식론, 존재론적 견해에 따른 접근보다는 연구자 친화적인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의 접근이 주로 이루어졌다[13, 15].

코딩 패러다임은 인과적 관계성을 통해 현상을 파악하도록 하는데, Strauss 학파는 이것이 인간이 실제 세계를 이해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사고방식이므로 설명에 적합하다고 보았다[35]. 그러나 축 코딩은 인과성을 강제하는 작위적 해석의 문제와 함께 시간성을 요구하는 문제를 내포한다[33, 43]. 그러므로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은 이론개발의 온전한 귀납성에 위배된다는 지적을 받으며 근거이론 자체로의 정체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6, 26]. 이에 따라 ‘Basics’ 제2판에서는 코딩 패러다임이 자료에 대한 여러 관점의 하나이자 분석적 입장이라고 한발 물러난 태도를 보이게 된다[37]. 결과적으로 제3판에 이르면 코딩 패러다임을 축소하고 축 코딩과 선택 코딩이라는 용어를 삭제한다[9].

이러한 변화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이 일반화와 추상화 및 자료 분석과정의 객관성과 같은 엄격한 분석과정을 상대적으로 강조한 데 따른 반성으로 볼 수 있다. 이론의 개방성은 근거이론방법론에서 탄력적인 분석을 위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6]. 그러므로 Corbin은 연구자가 개방적인 태도로 조사에서부터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 임할 것과 독단성과 경직성을 경계할 것을 요구한다[9, 10]. 제4판에서는 연구 주제와 연구자의 견해에 따라 분석과정을 일괄 따르지 않고 임의로 선택하여 유연하게 연구를 행할 수 있다고까지 설명한다[10].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형식적으로 그치는 것은 비판을 유발한 인과적 진술 체계로서의 코딩 패러다임이 유효하기 때문이다. 이는 패러다임의 기능을 개념의 연결과 조직화라는 축 코딩의 정의로 대체하고 있는 데서 확인할 수 있다[10].

코딩 패러다임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는 맥락이 ‘Basics’의 2기에서 분석과정 전반에 대두되는 재구성으로 나타난다[9, 10]. 맥락은 1기에는 패러다임 모형의 한 구성 요소에 불과했지만 2기에서는 개인의 인식과 이론의 설명을 아우르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제3판에서는 패러다임의 모형에 대한 개인의 ‘인식’ 차원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확장되었고[9], 제4판에서는 개념과 이론의 차원에 이른다[10]. 따라서 2기에서 맥락은 과정 분석과 조건-결과적 매트릭스를 포함하게 된다. 이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기반을 둔 근거이론의 정체성이 맥락의 인식 확보에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10].

근거이론의 이론통합을 위한 시도는 2기에서는 1기의 선택 코딩에 국한하지 않고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확인이 가능한 실체이론 생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9, 17, 47]. 그러나 이 역시 과정이 궁극적으로 작용-상호작용으로서 조건과 결과를 염두에 두는 패러다임의 체계 내에서 이해되므로 패러다임 모형에 종속적이다. 이것은 과정이 반드시 선형일 필요는 없다고는 하나 기본적으로 인과성과 시간성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9, 10] 과정의 중복 혹은 회귀, 건너뛰기 등의 경우를 설명하지 못한다. 과정의 하위과정을 두는 것 역시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개념과 범주처럼 하위과정과 과정이 위계적 관계인 것을 생각할 때 개념의 재조합이나 이론의 변이를 보여주는 데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또한 핵심범주를 첫 단계로 하여 이론적 통합을 모색하는 식의 구성과 역할은 선택 코딩이라는 용어의 사용만 삭제하였을 뿐 크게 바뀌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제4판[10]에서는 핵심범주가 ‘연구의 모든 대상자에서 나타나’야 한다는 식의 제한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이는 이론통합 시 변이를 허용함으로써 내용의 다각화를 모색한다는 설명 및 제2세대 근거이론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다[6, 9, 10]. 특히 핵심범주는 이론의 일반화를 위해 제1세대 근거이론에서 강조되는 것으로, 제2세대인 Charmaz와 Clarke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Birks와 Mills [45]의 경우 이론적 포화 및 메모 축적과 함께 이론통합 이전 단계에서 핵심범주를 찾아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럼에도 Strauss 학파가 핵심범주를 고수하는 것은 이론적 통합 방법에 있어 근본적으로 근거이론이 생성하는 이론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다[6]. 객관주의 근거이론은 개념을 통해 변수를 제시하고 설명력을 가져야 하고, 구성주의 근거이론은 개념을 통해 해석적 틀을 제시해야 한다[6]. 그러나 ‘Basics’에서는 이론의 형태에 대한 구체적 요소를 제시한 적이 없다.

Strauss와 Glaser 모두 형식이론을 최종의 결과물로 보며 실체이론을 과정으로 보고 있었으므로 사실 그들이 말하는 근거이론의 형태를 별도로 설명할 필요가 없었던 듯 하다[17, 25]. 객관주의 근거이론학자들에게 핵심범주는 그들이 반발하였던 거대이론 생성에 합리적으로 이를 수 있게 해주는 도구로 간주된다. Glaser [25]는 형식이론의 개발이 ‘Discovery’에서부터 의도되었다고 말하며 이론통합의 도구로서 핵심범주가 실체이론에만 국한되지 않고 형식이론으로 연결이 용이함을 강조한다. Strauss [17] 또한 개인 저술에서 형식이론 개발을 별도의 장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이를 궁극적 지향점으로 밝힌 바 있다. 이후 Basics 제3, 4판에서는 이론으로의 발전가능성 기준을 일반이론으로 두고 있다[9, 10]. 그리고 이는 사실상 핵심범주만이 전부인 내용의 척박함으로 이어졌다. 그러므로 제4판에서야 전략의 하나인 ‘이야기 윤곽그리기’가 삭제된 것이 거의 유일한 변화다. 형식주의적인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이 행위보다 주제를 우선하여 분석하므로 서술적이라는 비판과 연관된다[6, 27]. 이에 대해 ‘Basics’ 제3, 4판은 서술적인 것이 비객관성과 추상성을 가지므로 개념의 위계를 가능하게 한다고 항변한다[9, 10]. 그러나 이 역시 객관주의로 기인한 서술의 문제점을 구성주의적 관점으로 해결하려는 것에 그친다. 결과적으로 이론통합을 위한 분석기법의 변화가 1기와 차별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았을 때 1기의 코딩 패러다임에서 축 코딩과 선택 코딩이라는 용어만 제외한다고 코딩 패러다임이 사라지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2기의 제시된 내용은 기존의 방법에서도 모두 이루어지던 것의 형식 재구성에 불과해 근본적인 변화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없다. 오히려 축 코딩과 선택 코딩의 내용을 한 데 묶어 제시하는 식으로 연구 절차의 모호성을 야기하여 이해가 어렵다. 코딩 패러다임의 해체를 위한 무리한 시도는 ‘Basics’ 제3판에서 맥락과 이론통합을 한 장에 제시하였으나 제4판에서는 다시 맥락과 이론통합을 분리하는 시행착오로 나타난다[9, 10]. 그러므로 2기의 난해한 방법론 적용이 무의미한 것은 출간이 10년이 지났음에도 이를 적용한 국내 연구가 희박한 것으로 반증할 수 있다. 또한 그들의 이론이 근거이론가들에게 여전히 코딩 패러다임이라는 1기의 형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45].

그럼에도 불구하고 2기의 시도는 근거이론의 인식론과 존재론에 대한 성찰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trauss 학파는 그들의 이론적 토대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실용주의와 실증주의로 밝히고 있다[9, 10, 35]. 문제는 Strauss 학파의 설명과 일치하지 않은 인식론과 존재론이 혼재되어 있다는 점이다[12]. 다른 이론적 배경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다. 문제는 이론의 상반되는 철학적 토대가 혼재되는 것에 대한 불명확한 인식이 모순된 방법론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순은 불가침한 교리로 계승되어 온 ‘자료로부터 이론의 출현’이라는 신령한 표현에 집중된다[28, 48]. 이 객관주의 근거이론의 최대 명제는 Strauss의 회고처럼 당시 거대이론에 대한 반박으로 모호함을 가진 채 강조되었고 그 결과 오늘날 많은 근거이론가들이 더 이상 인용하지 않게 되었다[17, 28].

Strauss 학파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를 실증주의적 방법론으로 구현하는데 있어 연구자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현상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하였다[9, 10]. 따라서 이론적 민감성이 ‘연구자의 개인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및 연구과정의 진행, 분석전략의 사용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하였다[10]. 이것은 Strauss 학파의 방법론에 구성주의적 관점이 혼재되어 있다고 지적을 받는 부분이다[12, 13]. Charmaz [6]는 이를 실용주의의 인식론을 공유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결국 ‘Basics’ 제3, 4판에 이르러 Corbin은 이론과 개념에 대한 구성주의적 관점에 동의한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였다[9, 10]. 그러므로 Strauss 학파가 연구자의 통찰력을 기반으로 하여 이론적 민감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은 Glaser가 연구자의 개입을 부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론적 민감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막연히 창의력이라고 보는 것과 매우 다르다[12, 39]. 이와 같이 ‘발견’에 대한 그들의 상반된 견해는 ‘이론이 자료로부터 출현한다’는 명제의 적용을 달리해야 함을 의미한다. 안타깝게도 이러한 상충된 인식에도 불구하고 Strauss와 Corbin은 이 명제를 지속함으로써 자신들의 인식론과 방법론의 모순을 방치해 왔다[28].

연구자의 통찰력에 대한 모순된 태도는 핵심범주에 대한 정의에서도 나타난다. 핵심범주는 제1판[35]에서는 ‘확인’해야 하는 것으로 본래 Glaser [39]가 ‘찾아야’ 한다고 표현한 것처럼 이론의 출현에 의한 수동적 대상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실제 Strauss 학파의 방법에서는 핵심범주의 발견에 연구자의 상당한 개입이 필요하다[48]. 그래서 제4판에서는 핵심범주를 연구자가 ‘결정’하는 것[10]이라고 하여 분석의 주관적 태도를 인정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분석은 자료의 수집에서부터 전 과정에 걸쳐 연구자의 해석으로 이루어진다[9, 10]. 더 나아가 객관적 실재와 주관적 실재를 모두 인정하며 이의 발견은 저절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데에 이른다[9, 10]. 그러므로 Strauss 학파는 핵심범주를 발견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반면[9, 10], Glaser는 핵심범주는 지속적 비교분석으로 최적의 범주를 찾아가면 자연히 나타나므로 쉽다고 보게 된다[39].

연구자뿐 아니라 대상자의 역할에서도 이러한 모순된 설명이 나타난다. 객관주의 근거이론에서 연구자는 경험 세계의 외부에 있는 객관적 관찰자로 명백한 진술과 행동만을 인정하기 때문에 대상자는 자료의 원천으로만 존재하게 된다[8]. 그러나 Strauss 학파의 경우 연구자와 대상자 간의 상호작용을 인정하여 대상자의 수동성을 해제하는데, 조건적으로나마 연구가 잘 집중되었을 때는 상호호혜적 관계가 가능하다고 보았다[40].

이러한 모순들은 Strauss 학파 스스로 혼돈이 있음을 보여준다. 과정 분석의 개념화에 대한 태도 변화가 바로 그 예이다. 과정에서 개념화를 결정하는 것을 ‘Basics’ 제2판에서는 ‘자료와 연구 질문’이라고 하였다가[37] 제3판에서는 ‘자료와 연구자의 해석’이라고 연구자의 주관적 통찰력을 더욱 강조하였다[9]. 그러나 제4판에서는 이러한 언급 자체를 삭제하고 작용과 상호작용을 개념에 의해 수동적으로 도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10].

근본적으로 이러한 모순과 혼돈은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이 Glaser보다는 객관주의 정도가 약하나 Charmaz의 구성주의보다는 강한, 둘 사이의 중간 쯤에 위치하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12, 43]. Strauss 학파의 분석 방법은 ‘Discovery’에서는 현상주의적 태도로 기술되었고 후에는 소박한 귀납주의, 실용주의를 적용하였다[12, 28]. 그러나 이는 사회의 특징을 ‘변화’로 보는 Strauss 학파의 인식론과 맞지 않는다[10, 17]. 이러한 점에서 Strauss 학파의 80년대 이후 근거이론의 논리는 귀추법(abduction)이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49]. 실용주의자 Peirce가 제시한 귀추법은 놀라운 현상을 발견했을 때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추론한다는 점에서 귀납법과 구분되며 사실상 근거이론 논리의 핵심이다[28, 49]. 실제 연구에서 연구의 시작 전에 가설이 존재한다는 것은 Glaser [39] 또한 인정하였다. 그러므로 Strauss 학파가 귀추법을 체계화하지 못한 것과 별개로[49] 코딩 패러다임이 소박한 귀납법으로 존재하는 것은 그들 이론의 일관성에 모순이 되는 것이다.

간호학문에 근거이론을 적용할 때 인식론과 존재론의 재정립은 더욱 필요해 보인다. 간호 현장에서 경험하는 문제를 파악하는 연구자에게, 현상주의적이고 소박한 귀납주의의 객관주의적 인식론을 관철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31, 44]. 근거이론의 형성에 영향을 준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이 제국주의의 영향 하에 완벽한 관찰자로서 현상에 접근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8].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자 Goffman [50]은 낙인을 가진 대상자들의 연구에서 대상자와 연구자 외에 의료진이나 가족은 비대상자로 구분하여 객관적 제3자인 연구자와 다른 입장임을 분명히 하였다. 간호 현장의 실무자로서 갖는 독특한 위치를 객관적 관찰자로 거세하는 근거이론방법론의 활용은 연구자의 통찰력을 간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의 간호학 연구 다수가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와 다를 바 없이 ‘lived experience’에 그치고 있는 점은 근거이론의 이해에 대한 반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33].

내용의 전형성뿐 아니라 형식의 전형성에 매몰된 국내 근거이론방법론에 대한 반성도 요구된다. 특히 Creswell 버전의 패러다임 모형을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식으로 국내 근거이론 연구의 경직된 풍토는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90년대에 Strauss와 Corbin은 간호학을 비롯한 실무학문 분야의 경우 다른 질적 연구 방법과의 혼용이 종종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고 인정하였다[40].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을 활용한다고 해서 단일 방법론의 모든 내용이 절대적으로 연구자에게 수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trauss 버전을 포함하여 근거이론은 완성된 것이 아니므로 이론가들과 연구자들에 의해 진화하고 있다[15]. 코딩 패러다임, 핵심범주와 같이 용어 그 자체나 분석방법의 활용은 이론가들에게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별적 적용은 연구자의 근거이론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따라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제4판에서는 특정 분석 방법에 집중하거나 구성주의와 같은 다른 방법론과의 결합된 실제 연구 사례를 제시하며 이러한 연구방법을 허용하고 장려하고 있다[10].

근거이론은 형식의 진화뿐 아니라 페미니즘, 민속방법론, 정치 경제학, 포스트 모더니즘과 같이 다양한 학문적 트렌드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 왔다[40]. 현재 간호학 연구에 초기 Strauss 학파의 방법론을 고수하는 것은 학문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연구의 다양성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호학문적 특수성을 반영한 연구의 특색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근거이론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모색을 시도해야 한다.

결 론

Strauss와 Corbin은 실용주의와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기반하여 근거이론을 개발하였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그들의 실증주의적 접근으로 나타난 방법론은 다른 인식론적, 존재론적 접근을 압도하며 이론의 모순성을 보였다. 이에 대한 비판은 근거이론방법론의 변화로 반영되어 ‘Basics’ 2기에서 코딩 패러다임이 축소되고 과정의 확인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기존 Strauss 학파의 코딩 패러다임으로 대표되는 방법론의 특성을 벗어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축 코딩과 선택 코딩의 용어가 삭제되었을 뿐 그 기능은 남아 있고 여전히 인과적 관계를 통한 설명이 지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trauss와 Corbin 방법론의 변화는 상충되는 인식론과 존재론에 대한 지각과 함께 그에 대한 해결을 모색하며 근거이론 생성에 대한 본래의 목적을 재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근거이론의 본태적 역동성은 원래의 철학적 배경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8, 40].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간호학의 경우 근거이론에 대한 변화의 이해나 논의없이 제1세대 방법론적 접근에 치우쳐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근거이론의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무비판적 자세로 수용하는 것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반성과 함께 국내 간호학계에 30년 간 축적된 근거이론방법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의 학문적 성과와 발전가능성을 확인하는 것 역시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국내 간호학 분야의 근거이론은 연구자가 간호전문가로서 실무 현장의 높은 통찰력을 기반으로 한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국내 근거이론방법론 활용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 추후 연구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시도와 함께 근거이론에 대한 논의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근거이론의 개발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간호학문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적 근거이론이 제시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The author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ACKNOWLEDGEMENTS

The author acknowledges the valuable comments and guidance provided by Sun Hye Choi, PhD, RN, Korea University.

References

    1. Lee KS. Report on symposium: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in nursing research.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87;17(2):105–109. [doi: 10.4040/jnas.1987.17.2.105]
    1. Hewitt JP, Shulman D. In: Self and society: A symbolic interactionist social psychology. 11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011. pp. 147-149.
    1. Morse JM. Situating grounded theory within qualitative inquiry. In: Schreiber RS, Stern PN, editors.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Springer Pub. Co; 2001. pp. 1-16.
    1. Glaser BG, Strauss AL. In: Awareness of dying. Chicago (IL): Aldine; 1965. pp. 1-262.
    1. Glaser BG, Strauss AL. Awareness contexts and social inter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64;29(5):669–679. [doi: 10.2307/2091417]
    1. Charmaz K. In: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2nd ed. London: Sage; 2013. pp. 1-208.
    1. Morse JM, Stern PN, Corbin JM, Bowers B, Charmaz K, Clarke AE. In: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Walnut Creek (CA): Left Coast; 2009. pp. xiii-xvi.
    1. Charmaz K. Shifting the ground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s. In: Morse JM, Stern PN, Corbin JM, Bowers B, Charmaz K, Clarke AE, editors.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Walnut Creek (CA): Left Coast; 2009. pp. 127-193.
    1. Corbin JM, ,Strauss AL, 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08. pp. 1-379.
    1. Corbin JM, Strauss AL. 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4th ed. Los Angeles (CA): Sage; 2015. pp. 1-431.
    1. Mills J, Bonner A, Francis K. Adopting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grounded theory: Implications for research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6;12(1):8–13. [doi: 10.1111/j.1440-172x.2006.00543.x]
    1. Lee YC. Reflecting on the grounds for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d method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2014;18(1):187–214.
    1. Kim E. A study of grounded theory research in Korean sociology: Trends, limits and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7;51(3):37–70. [doi: 10.21562/kjs.2017.08.51.3.37]
    1. Kim IS. Divergence of grounded theory: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Glaser and Straus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011;42(2):351–379. [doi: 10.16999/kasws.2011.42.2.351]
    1. Suddaby R. From the editors: What grounded theory is no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6;49(4):633–642. [doi: 10.5465/amj.2006.22083020]
    1. Ellis D. Modeling the information-seeking patterns of academic researchers: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Library Quarterly 1993;63(4):469–486. [doi: 10.1086/602622]
    1. Strauss AL. In: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pp. 6-34.
    1. Son HM.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trend analysis on grounded theory in South Korea. In: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Papers. Proceedings of the 2009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Conference; 2009 Nov 28;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Seoul, Korea. Seoul (Korea):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009. pp. 29-34.
    1. Creswell JW. In: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2008. pp. 1-670.
    1. Kim JE. In: The illness experience of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8. pp. 1-171.
    1. Creswell JW, Brown ML. How chairpersons enhance faculty research: A grounded theory study.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992;16(1):41–62. [doi: 10.1353/rhe.1992.0002]
    1. Mastera G. In: The process of revis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a in three private baccalaureate colleges: A grounded theory study [dissertation]. Nebraska: University of Nebraska; 1996. pp. 1-302.
    1. Choe MH.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Caring experience of the mothers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children. In: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Journal Papers. Proceedings of the 1996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Conference; 1996 Dec 12;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Seoul, Korea. Seoul (Korea):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996. pp. 115-136.
    1. Goulding C. In: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for management, business and market researchers. London: Sage; 2002. pp. 113-123.
    1. Glaser BG. The impact of symbolic interaction on grounded theory. Grounded Theory Review 2005;4(2):1–22.
    1. Glaser BG. In: Basics of grounded theory analysis: Emergence vs forcing. Mill Valley (CA): Sociology Press; 1992. pp. 1-128.
    1. Melia KM. Rediscovering glase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996;6(3):368–378. [doi: 10.1177/104973239600600305]
    1. Bryant A, Charmaz K. Grounded theory in historical perspective: An epistemological account. In: Bryant A, Charmaz K, editors.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2007. pp. 31-57.
    1. Park JE, Lee BS. Experience of becoming a father of a high risk premature infa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2):277–288. [doi: 10.4040/jkan.2017.47.2.277]
    1. Kim SS. Theory: Grounded theory.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2003;12(1):69–81.
    1. Choe KS. Original article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Strauss' version vs Glaserian vers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5;14(1):82–90.
    1. Kwon HW, Choi DL. Understanding the theorization logic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 Focused on decontextualization and methodological bia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011;45(1):275–302.
    1. Kwon HW. Understanding grounded theor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2016;20(2):181–216.
    1. Morse JM. Tussles, tensions, and resolutions. In: Morse JM, Stern PN, Corbin JM, Bowers B, Charmaz K, Clarke AE, editors.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 Walnut Creek (CA): Left Coast; 2009. pp. 13-23.
    1. Strauss AL, Corbin JM. 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0. pp. 1-170.
    1. Glaser BG, Strauss AL. In: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Aldine de Gruyter; 1967. pp. 1-271.
    1. Strauss AL, Corbin JM. 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998. pp. 1-312.
    1. Clarke AE. From grounded theory to situational analysis. What's new? Why? How?. In: Morse JM, Stern PN, Corbin JM, Bowers B, Charmaz K, Clarke AE, editors.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Walnut Creek (CA): Left Coast; 2009. pp. 194-235.
    1. Glaser BG. In: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Mill Valley (CA): The Sociology Press; 1978. pp. 1-164.
    1. Strauss AL, Corbin JM.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n overview. In: Denzin NK, Lincoln YS, editor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1994. pp. 273-285.
    1. Milliken PJ, Schreiber RS. Can you “do” grounded theory without symbolic interactionism?. In: Schreiber RS, Stern PN, editors.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Springer; 2001. pp. 177-190.
    1. Charmaz K. The search for meanings - grounded theory. In: Smith JA, Harré R, van Langenhove L, editors. Rethinking Methods in Psychology. London: Sage; 1996. pp. 27-49.
    1. MacDonald M. Finding a critical perspective in grounded theory. In: Schreiber RS, Stern PN, editors.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Springer Pub. Co.; 2001. pp. 113-158.
    1. McCann TV, Clark E. Grounded theory in nursing research: Part 2 – critique. Nurse Researcher 2004;11(2):19–28. [doi: 10.7748/nr2004.01.11.2.19.c5919]
    1. Birks M, Mills JE. In: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2nd ed. London: Sage; 2015. pp. 1-198.
    1. Corbin JM, Strauss AL.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990;13(1):3–21.
    1. Corbin JM. Taking an analytic journey. In: Morse JM, Stern PN, Corbin JM, Bowers B, Charmaz K, Clarke AE, editors.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Walnut Creek (CA): Left Coast; 2009. pp. 35-54.
    1. Schreiber RS. The “how to” of grounded theory: Avoiding the pitfalls. In: Schreiber RS, Stern PN, editors.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New York: Springer Pub. Co.; 2001. pp. 55-84.
    1. Reichertz J. Abduction: The logic of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In: Bryant A, Charmaz K, editors. The Sage Handbook of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2007. pp. 214-228.
    1. Goffman E. In: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New York: Simon & Schuster; 1986. pp. 1-147.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Changes in Strauss & Corbin's Grounded Theory
    J Korean Acad Nurs. 2019;49(5):505-514.   Published online January 15, 2019
    Close

J Korean Acad Nurs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Close layer
TOP